[하드워커 생1 칼럼] 연관 중 일부의 확률 ≥ 연관 전체의 확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370066
안녕하세요, 생명과학 I 과목을 가르치는 하드워커입니다.
‘여러 가지 유전’ 단원(‘유전 현상’, ‘형질 교배’ 등으로도 불리는 단원)에서 쓰이는 잡스킬 4가지를 설명해드리기로 했는데요, 오늘은 마지막 4번째 잡스킬을 소개해보겠습니다.
1. 이형 염색체 논리
2. 무시
3. 독립 표현형 가짓수 ≥ 연관 표현형 가짓수
앞서 1~3번째 잡스킬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했으니 궁금하신 분들은 위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오늘은 ‘4. 연관 중 일부의 확률 ≥ 연관 전체의 확률’ 에 대해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주로 다인자 유전이 포함된 문제보다는, ‘단일 인자 유전의 연관’ 문제에서 쓰이는 내용입니다.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제 교재 내용을 붙여넣고, 설명할 부분이 있으면 추가로 해보겠습니다.
“단일 인자 유전의 연관에서, 연관 중 일부만 고려했을 때의 확률은 연관 전체를 고려했을 때의 확률보다 크거나 같다. 따라서 연관 전체의 확률이 주어졌을 때, 연관 중 일부의 확률은 주어진 확률보다 크거나 같다는 것을 이용하거나 연관 중 일부의 확률을 알 때, 연관 전체의 확률은 그 확률보다 작거나 같다는 것을 이용해서 정보를 얻어낼 수 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내용만 보면 당연한 이야기입니다. 그렇지만 은근히 많은 학생들이 간과하고 있는 포인트입니다.
“예를 들어서 사람의 상염색체 유전 형질 (가) A > a or A = a, (나) B > D > E 가 있고 부모가
와
일 때, 자손의 (가)와 (나)의 표현형이 ㉠이라는 사람과 같을 확률이
이라면, 자손의 (나)의 표현형이 ㉠과 같을 확률은
이상이다. 이를 통해 (가)가 A > a 이고, ㉠의 표현형은 ‘우성, B’라는 것을 빠르게 구할 수 있다.”
위의 예시에서 연관 전체의 확률이 1/2이라는 것을 통해, 연관 일부의 확률은 1/2 이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BEⅹDE에서 자손 표현형은 B : D : E = 2 : 1 : 1 로 나오기에, 자손이 ㉠과 (나)의 표현형이 같을 확률이 1/2 이상이 되려면, ㉠의 (나)의 표현형이 B가 되어야 합니다.
조금 더 가보면, 자손에서 나오는
와
의 표현형이 모두 ㉠과 같아야 하므로, (가)의 우열 관계는 A > a 이고, ㉠은 (가)에 대해서 우성이라는 것도 알 수 있습니다.
위의 예시는 연관 전체의 확률이 주어졌을 때, 연관 중 일부의 확률이 주어진 확률보다 크거나 같다는 것을 이용한 것인데, 반대로 연관 중 일부의 확률을 알 때, 연관 전체의 확률이 그 확률보다 작거나 같다는 것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연관/독립 상태가 2연관 1독립(단일 인자 유전)이고, 자손에서 특정 표현형이 나올 확률이 3/8이라고 하면, 2연관과 1독립 각각에서의 확률은 3/4과 1/2 중 하나입니다. 이때 부모의 2연관 쪽의 일부 유전자형이 AAⅹAa(A = a)라면, 연관 중 일부의 확률이 1/2이므로, 연관 전체의 확률은 1/2 이하임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2연관 쪽의 확률이 1/2, 1독립 쪽의 확률이 3/4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연습을 한 번 해 보겠습니다.
ex) 사람의 상염색체 유전 형질 (가) A > a or A = a, (나) B > b or B = b 가 있다.
부모가
와
(㉠)일 때, 자손의 (가)와 (나)의 표현형이 ㉠과 같을 확률이
이다. (가)와 (나)의 우열 관계와, 부모의 (나)의 유전자형을 구하시오.
연관 전체의 확률이 3/4이라고 주어진 상황입니다. 따라서 연관 중 일부의 확률은 3/4보다 커야 합니다. 부모가 AAⅹAa이므로, (가)가 중간 유전이면 연관 중 일부의 확률이 1/2이 되니까. (가)는 완전 우성이 되어서 연관 중 일부의 확률을 1로 만들어야 합니다.
이때 자손의 (가)의 표현형이 우성이 될 확률이 1이므로, 이는 ‘무시’될 수 있습니다. (이해가 안 되시는 분들은 위의 ‘2. 무시’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따라서 부모가 _bⅹB_ 일 때 자손의 (나)의 표현형이 ㉠과 같을 확률이 3/4이 되어야 하고, 이를 통해 부모가 모두 Bb이며, (나)는 완전 우성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연관 중 일부의 확률 ≥ 연관 전체의 확률’은 잘 익혀두면 ‘단일 인자 유전의 연관’ 문제 유형에서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잘 공부해두시길 바랍니다.
이렇게 해서 ‘여러 가지 유전’ 단원의 4가지 잡스킬에 대해서 모두 설명이 끝났습니다. 앞으로 원하시는 칼럼 주제가 있다면 댓글이나 쪽지로 자유롭게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간식 안먹기 도전 1일차 4 0
간식먹으면 살찔거같다는 스트레스가 와서 배고파도 참을거에요. 아점저만 충실하게...
-
열심히 살아서 나쁜 점 1 1
그런건 없다 근데 난 왜 열심히 안 사냐 크하하하
-
NEVEREMIND 0 0
-
스펙 1 0
오르비 팔로워 2.07
-
안녕하세요 :) 디올러 S (디올 Science, 디올 소통 계정) 입니다....
-
워드? 한글? 워드는 수능 글씨체가 없더라구요..
-
고3 영어학원 다녀야할까요? 5 0
고2때 모고 안정적으로 4등급 나오는 편입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단어와 문법이 약한...
-
나.. 7 0
피곤해....
-
하루만 기다리면 수능이에요! 4 2
왜냐면 이제부터 기다림이 24시간이 넘을 때마다대가리를 존나 쎄게 쳐서 제 머릿속을...
-
26수능화1만백99기원36일차 6 1
-
다들 아시다시피 생명과학I 모의고사는 비유전 13문제(세포 주기 포함) 중난이도...
-
테디 drx 영상 보다가 어떻게 한판에 우리 스킨이 담원 니달리, 담원 진...
-
공예과 가고 싶은데 0 0
3수생이고 미대입시는 한번도 해본적이 없어서 정시 비실기로 공예과 가고싶은데 어떤...
-
강기원 0 0
코어모어 영상 따로 주나요? 교재가 안와서..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