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월 언어연구소] (개화)칼럼1. 독해에 대한 고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296716
이전 칼럼 목록)
[일월 언어연구소] 교재 예고 및 칼럼1. 환율 | 오르비
Intro) 안녕하세요. 일월 언어연구소 입니다.
마무리와 정오표를 제외한 개화 관련 작업들은 거의 다 끝나서 연초에 기획했던 칼럼들을 올려보려고 합니다.
칼럼은 아마 3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1부: 국어 전반에 대한 논의, 2부: 필요 배경지식, 3부: 고난도 기출 지문 분석 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모든 칼럼을 퇴고하기 전에 돌아보니 1부는 국어 학습에 대한 제가 했던 생각들을 편한 문체로 작성한 것입니다.
소설처럼 편하게 읽을 수 있을 겁니다.
반면 2부와 3부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하여 다소 딱딱하게 올라갈 것 같습니다.
어쨌든 제가 일을 쉬고 있어서 꽤 활발하게 올릴테니, 원하시는 부분이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시길 바랍니다.
특히 지문해설이 필요한 지문들은 다음 링크에 댓글 달아주시면 확인하고 최대한 반영해서 3부로 업로드 하겠습니다.
((1) 님들 국어 평가원 독서 지문에서 가장 힘들었던 지문? | 오르비 )
자 그러면, 시작하겠습니다.
1.독해와 독서의 차이
독서와 독해에 대해 여러가지 의견이 있지만, 제가 생각하기에는 독서와 독해의 차이점은 '시간 압박'입니다.
독자가 '글'을 읽고, 어떠한 반응을 하는 과정임을 동일하지만, 독해에는 시간 압박이 전제되어 있다는 것이죠.
대충 독서는 이런 느낌인 반면
독해는 이런 느낌입니다.
AI로 만든 그림이지만, 어느 정도 제가 생각하는 독해와 독서의 느낌을 잘 반영하는 것이죠.
독서는 여유롭게 글을 씹고 맛보고 뜯고 음미하는 것, 독해는 제한된 시간 안에 정확하게 이해하는 과정입니다.
여러분들이 갈 시험장에서는 아무래도 독해를 할 것입니다.
몇몇 특이 케이스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학생들은 시험장에서 압박감을 느낄 것입니다.
물론 모든 시험에는 압박감이 있다고 생각하지만, 저는 수능 국어 시험에는 특히 압박감이 많은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합니다.
2.압박감
적당한 압박감은 나쁘지 않지만, 지나친 압박감은 수능 국어와 같은 정보처리가 필수적인 시험에서 독이 됩니다.
그 정확한 기전은 전공 분야가 아니라서 명확히 답할 수는 없지만, 암기했던 것들을 뱉어내는 시험과 그 자리에서 해석하고 추론하는 비중이 많은 시험은 분명히 차이가 있더라고요.
그래서 이러한 압박감을 어떻게 해결할까 고민을 많이 해봤습니다.
결론은 완벽히 해결하지 못했지만, 어느 정도 성과가 있었습니다.
시험에 느끼는 압박감은 개인차가 크고, 피실험자의 주관적 지각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라 정량화가 힘들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생들을 가르치며 귀납적으로 느낀 것은 '압박감을 조금 낮출 수 있는 것 같은 대안'이 있었습니다.
그 대안은 알고 보니 머지 않은 곳에 있었습니다.
현재 사교육 강사분들이 주로 가르치는 기술들이 어쩌면 그 압박감을 해결하는 대안으로 작동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 거 있지 않습니까. PS(문제와 해결), CE(원인과 결과)...와 같은 것들.
오래됐지만 저도 수험생활 한 적이 있어서 유명 강사들의 강의를 아무 생각 없이 수강했는데, 그 분들이 설명했던 기술들이 어쩌면 압박감에 대한 해결책도 되는 것을 알았습니다.
3.체화
그래서 시중에 알려진 이러한 기술들을 하나씩 정리했습니다. 그리고 나서 또 문제점에 도달했습니다.
"대체 왜 기술을 배웠는데 실전에서 쓰지 못하는가?" 하는 의문이 머릿속에 남네요.
자세히 말하면 대한민국 사교육 시장은 매우 커서 강사들의 퀄이 상향 평준화 되어 있고, 그들이 가르쳐 주는 것들은 아주 좋다고 생각하는데, 왜 학생들은 그것들을 흡수하지 못하는지 궁금한 겁니다.
특히 저는 연구소에서 교재를 만드는데, 그때마다 기존에 집필하시던 분들에게 벽을 느낍니다.
그만큼 시중에 교재들이 퀄이 높은 교재들이라는 것이죠.
어쨌든 이러한 문제를 고민하다보니, '배경지식', '호르몬', '마음가짐'의 문제로 설명할 수 있겠다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4.마음가짐
'배경지식' 부분은 2부에서 설명하기로 했고, '호르몬'에 대한 논의는 연구소 내 약사분과 함께 공부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저는 잘 모르는 분야에 그 분이 현재 연구소에 소속되어 있으신 바쁜 분이라 시간이 걸릴 듯 하네요.
(참고로 저희는 그냥 가오잡으려고 '연구소'라는 이름을 쓰는 거지만, 그분은 진짜 랩실에 소속되어 있으십니다.)
그래서 마음가짐에 대해 언급하려 합니다.
그런데 여러분. 이 마음가짐에 대해 퇴고분을 올리려는데, 분량이 너무 많은 것 같습니다.
그러면 당신들이 읽지 않을 것 같아요.
그래서 이 마음가짐은 다음 칼럼에 쓰겠습니다.
그럼 다음에 봐요! 안녕~
참고로 책 나왔습니다. 사주시면 제가 먹고 삽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신상정보 빼고 최대한 답해드릴게요!
-
요즘 그래서 게이력 풀충전중
-
기준은 제가 보자마자 분노를 주체 못하고 책상에 샷건 때렸을때 덕코는 500덕 드림
-
ㅋㅋㅋㅋ아
-
분명 올해초랑 12월달만 해도 귀여운 피죤투였는데? 나 왜 이상성욕 오리비박이가 되어있냐
-
게이가 이해가 안 되나? --> O 나는 일단 이럼 굳이 예쁜 여자 놔두고..?
-
죽 2
ㅇ
-
초특급 사건에 공부 시간 다 빨렸네
-
게이싫어하는사람을 너무 싫어함
-
등비급수 이쪽 좀 어려워서 요새 기조 29번 대비하기 정말 좋고 나머지 문제들도 꽤...
-
불가능 10
불꽃가능
-
돈안받고이러는게 말이 안된다 ㄹㅇ
-
노데카솔은...
-
용기업!용기업! 11
개추드리겠ㄱ습니다
-
불가피하게 한글자 넘어서 글자가 추가될때마다 100덕 드림
-
로하 사진 레어로 쓰고 싶은데
-
수특 문학 1
이미 수특 문학 한번 다 돌렸는데 좀 까먹은게 많아서 며칠전부터 다시 처음부터...
-
저는 우선 코스모스 책 다 읽기! 건강하고 긍정적으로 살기! 일본어 공부 기초 다지기에요!
-
ㅋㅋㅋㅋㅋ
-
뻘글이나 속마음 털어놓을데가 여기밖에 없음
-
마그마 분출 오지네
-
허수노베28수능때문에배수진을친존못08년생오르비언질문받습니다
-
엔제를 풀라고하시네 미적엔제같은거 일주일에 하나씩은 갈아치우셨다함 이거 듣고...
-
오늘 불꽃 축제였구나.. 나도 보고시프
-
연휴에 할 거 0
국어 기출ing, 이감모, 간쓸개 수학 23 24 드릴 공통, 22 23 24 드릴...
-
믿어바글편교재만있는데 지루..올인원 ㄱㅊ?
-
고딩?커플이 초등학교 담넘어 나오는거 봄 안에서 뭘 한걸까?
-
이감 ㅈㄴ 오랜만에 봤는데 상반기 회차랑 너무 다른디요 ㅠㅠ 파이널 2 7차 봤는데...
-
고동빈은 또 럼자오를 넘겨줬음
-
수학황들의 세계가 궁금해 나도 그들만의 리그에 껴보고싶어
-
가장 맛있다고 하던데
-
점수가 에휴..
-
ㅈㄴ달달한 12
당뇨병 걸리는 순애물 추천 ㄱㄱ
-
연애는 비참함 1
헤어지면 그 동안의 추억이 담긴 물건들을 다 버린다고 하던데 잔인하다. 사진도 다...
-
뭐든지 처음이면 어떻게 시작할까 고민하고 방법 찾을시간에 냅다 학원,동아리 부터...
-
하나는 공통 0틀 미적 4틀 ㅋㅋ 하나는 공통 3틀 미적 0틀
-
그 어떤 고민, 수험생활 관련 상담, 질문도 좋습니다. 편하게 하세요 ㅎㅎ
-
연세대 인문논술 때문에 정신을 못 차리겠다... 나머지는 그래도 다른 사람들 복기...
-
9모성적표 받기싫다.. 12
수학영어 커리어로우 찍어서 학교가서 받아오기 부담스러움.. 학교선생님들 재수생들...
-
아 맹구 ㅅ발 3
영혼까지 털리네 븅신련들 진짜 감독 홍명보가 해도 저거보다 잘하겠네
-
불꽃이 터질때 사랑을 고백하고 싶어요
-
국영탐이야 하던 대로 꾸준히 계속하면 잘 보겠다만 수학이 자꾸 불안해보임. 특히...
-
내년엔 이감 말고 서바만 살까
-
물리1 질문 4
이거 ㄷ 왜 틀렸나요?? 가속도 비 (가) :(나)=3: 2 니깐 합력으로 계산하면...
-
있어요? 봤던거 같은데 어디있는지 모르겠음
-
따라갔는데 ㅅㅂ 총집편이었어서 ㅋㄲㄲ 별내용 없이 시간날리고 나옴 에휴다누
-
국어 회상 질문 0
현대 소설에서 작품 속 서술자가 과거형으로 서술하는것은 무조건 회상이라고 볼 수는...
-
저 이제 막 들어온 신규생인데(이신혁t한번도 안들어본 현역) 아폴로 n인가 이거...
-
??
-
학교가서 숨좀 텨야겠다 답답해 죽겟노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