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월 언어연구소] (개화)칼럼1. 독해에 대한 고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296716
이전 칼럼 목록)
[일월 언어연구소] 교재 예고 및 칼럼1. 환율 | 오르비
Intro) 안녕하세요. 일월 언어연구소 입니다.
마무리와 정오표를 제외한 개화 관련 작업들은 거의 다 끝나서 연초에 기획했던 칼럼들을 올려보려고 합니다.
칼럼은 아마 3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1부: 국어 전반에 대한 논의, 2부: 필요 배경지식, 3부: 고난도 기출 지문 분석 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모든 칼럼을 퇴고하기 전에 돌아보니 1부는 국어 학습에 대한 제가 했던 생각들을 편한 문체로 작성한 것입니다.
소설처럼 편하게 읽을 수 있을 겁니다.
반면 2부와 3부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하여 다소 딱딱하게 올라갈 것 같습니다.
어쨌든 제가 일을 쉬고 있어서 꽤 활발하게 올릴테니, 원하시는 부분이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시길 바랍니다.
특히 지문해설이 필요한 지문들은 다음 링크에 댓글 달아주시면 확인하고 최대한 반영해서 3부로 업로드 하겠습니다.
((1) 님들 국어 평가원 독서 지문에서 가장 힘들었던 지문? | 오르비 )
자 그러면, 시작하겠습니다.
1.독해와 독서의 차이
독서와 독해에 대해 여러가지 의견이 있지만, 제가 생각하기에는 독서와 독해의 차이점은 '시간 압박'입니다.
독자가 '글'을 읽고, 어떠한 반응을 하는 과정임을 동일하지만, 독해에는 시간 압박이 전제되어 있다는 것이죠.
대충 독서는 이런 느낌인 반면
독해는 이런 느낌입니다.
AI로 만든 그림이지만, 어느 정도 제가 생각하는 독해와 독서의 느낌을 잘 반영하는 것이죠.
독서는 여유롭게 글을 씹고 맛보고 뜯고 음미하는 것, 독해는 제한된 시간 안에 정확하게 이해하는 과정입니다.
여러분들이 갈 시험장에서는 아무래도 독해를 할 것입니다.
몇몇 특이 케이스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학생들은 시험장에서 압박감을 느낄 것입니다.
물론 모든 시험에는 압박감이 있다고 생각하지만, 저는 수능 국어 시험에는 특히 압박감이 많은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합니다.
2.압박감
적당한 압박감은 나쁘지 않지만, 지나친 압박감은 수능 국어와 같은 정보처리가 필수적인 시험에서 독이 됩니다.
그 정확한 기전은 전공 분야가 아니라서 명확히 답할 수는 없지만, 암기했던 것들을 뱉어내는 시험과 그 자리에서 해석하고 추론하는 비중이 많은 시험은 분명히 차이가 있더라고요.
그래서 이러한 압박감을 어떻게 해결할까 고민을 많이 해봤습니다.
결론은 완벽히 해결하지 못했지만, 어느 정도 성과가 있었습니다.
시험에 느끼는 압박감은 개인차가 크고, 피실험자의 주관적 지각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라 정량화가 힘들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생들을 가르치며 귀납적으로 느낀 것은 '압박감을 조금 낮출 수 있는 것 같은 대안'이 있었습니다.
그 대안은 알고 보니 머지 않은 곳에 있었습니다.
현재 사교육 강사분들이 주로 가르치는 기술들이 어쩌면 그 압박감을 해결하는 대안으로 작동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 거 있지 않습니까. PS(문제와 해결), CE(원인과 결과)...와 같은 것들.
오래됐지만 저도 수험생활 한 적이 있어서 유명 강사들의 강의를 아무 생각 없이 수강했는데, 그 분들이 설명했던 기술들이 어쩌면 압박감에 대한 해결책도 되는 것을 알았습니다.
3.체화
그래서 시중에 알려진 이러한 기술들을 하나씩 정리했습니다. 그리고 나서 또 문제점에 도달했습니다.
"대체 왜 기술을 배웠는데 실전에서 쓰지 못하는가?" 하는 의문이 머릿속에 남네요.
자세히 말하면 대한민국 사교육 시장은 매우 커서 강사들의 퀄이 상향 평준화 되어 있고, 그들이 가르쳐 주는 것들은 아주 좋다고 생각하는데, 왜 학생들은 그것들을 흡수하지 못하는지 궁금한 겁니다.
특히 저는 연구소에서 교재를 만드는데, 그때마다 기존에 집필하시던 분들에게 벽을 느낍니다.
그만큼 시중에 교재들이 퀄이 높은 교재들이라는 것이죠.
어쨌든 이러한 문제를 고민하다보니, '배경지식', '호르몬', '마음가짐'의 문제로 설명할 수 있겠다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4.마음가짐
'배경지식' 부분은 2부에서 설명하기로 했고, '호르몬'에 대한 논의는 연구소 내 약사분과 함께 공부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저는 잘 모르는 분야에 그 분이 현재 연구소에 소속되어 있으신 바쁜 분이라 시간이 걸릴 듯 하네요.
(참고로 저희는 그냥 가오잡으려고 '연구소'라는 이름을 쓰는 거지만, 그분은 진짜 랩실에 소속되어 있으십니다.)
그래서 마음가짐에 대해 언급하려 합니다.
그런데 여러분. 이 마음가짐에 대해 퇴고분을 올리려는데, 분량이 너무 많은 것 같습니다.
그러면 당신들이 읽지 않을 것 같아요.
그래서 이 마음가짐은 다음 칼럼에 쓰겠습니다.
그럼 다음에 봐요! 안녕~
참고로 책 나왔습니다. 사주시면 제가 먹고 삽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운동신경 장애인인데 자꾸 뭐 시켜서 쪽팔림 당하고 사춘기 자존감 박살난 주요원인중 하나였음
-
쟤는 청춘을 살고 있구나
-
이번엔 더이상 실모 도배질하다 수능날 꼬라박을수가 없어서 뭔가 좀 해보려고 하는데 문학 ㅇㅇ
-
얼버기 0
크크크
-
ㅎㅇ 1
ㅅㅂ
-
그냥 평가원 기출 변형이구나… 김이 팍 센다
-
기상기상 3
-
모닝앨범추천2선 1
-
으으으으 저능기분좋음
-
속보)기상 2
-
아침 ㅇㅈ 6
김밥 라볶이 였는데 라볶이 기다리는 동안 김밥 다먹음
-
얼버기 3
-
아무도 없어 5
-
학원 선생님들이나 진짜 대학 잘 간 사람들 보면 신뢰성 떨어지고. 포만한이 훨씬...
-
기차지나간당 4
부지런행
-
기차 지나간당 4
부지런행
-
아까까지 0
까까
-
지1 뭘로 바꿀까요...계산실수 많이 하고 암기에 약해요 투과목이나 사탐 생각도 있슴니다
-
25수능 언매 미적 물1 생1이고요 백분위 92/81/3/94/94 입니다 동국대...
-
잠이 안온다 어제 아프다고 너무 많이 잤나보다
-
모기 어디로 숨은거니 11
잠 좀 자게 해주세요..
-
오르비 클래스 0
일반 화질은 영상 자체가 재생을 안 하는데 이거 왜 이러나요?
-
형잔다 19
빠이
-
고3 정파인데 고1때 내신돌려서 개념은 어느정도 아는데 모고때 자꾸 한두개씩 틀려서...
-
10시에 일어나야하는데 13
아아아아아아 잘자요
-
쓸데 없이 긴 어제까지 생지러의 사탐런 1일차 첫인상 후기 2
간략하게 제소개를 하자면 현역이고요. 정시를 준비하기로 마음먹고 한지로 도망칠?...
-
마지막 시험을 앞두고 싱숭생숭합니다.
-
뱃지 없어서 울었어요 16
저만 없네요 뱃지..
-
설뱃이 젤 간지남 16
ㄹㅇ임 개똑똑해보여
-
졸리다 5
-
__ 10
-
으흐흐 1
서울대 2명 암살 성공. 근데 의대생 2명이 늘어남
-
아아이건의뱃이란거다 착용하면 ㅈㄴ 카르텔같지
-
와 새르비에 4
서울대 4분이나 계시네
-
몰아보기 vs 쿠키 여러개 지르기
-
물리제외 사유 ㅈ망해서.
-
진짜 찐 문과 애들은 10
나랑 안 맞음 그냥 서로 안 맞음 성향이 ㅈㄴ 다르고 대화가 안 통해서 막 울분이...
-
저 해괴망측한 개구리 프사는 뭐임;;;
-
초특급 얼버기 6
-
국어 유대종 수학 이미지 영어 이명학 풀커리 가려는데 목표 만점임 피드백ㄱㄱ
-
낼 국어 한과목인데 2.2회독 밖에 못함… 이주전 1회독 끝내고 1주전에 2회독...
-
난 태생이 이과임 18
문과 못 감 ㄹㅇ 안 가는 게 아니라 못 감 사탐은 잘할 자신 있는데 사람들이랑...
-
언매 끝 자야지 3
-
07시치 말을너무안들어 21
공부를!!! 하란!!! 말이다!!! 라고 공부를 안하는 대학생이.
-
살찌려고 하는 건가
-
형은 죽었어 10
이제 더는 없어! 하지만, 내 등에, 이 가슴에 하나가 되어 계속 살아가! 구멍을...
-
가난이 군대같이 찾아올 동안 자자
-
신켜노분베츠와도오시타라이이
-
ㅇㅈ 10
제 소울메이트래요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