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월 언어연구소] (개화)칼럼1. 독해에 대한 고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296716
이전 칼럼 목록)
[일월 언어연구소] 교재 예고 및 칼럼1. 환율 | 오르비
Intro) 안녕하세요. 일월 언어연구소 입니다.
마무리와 정오표를 제외한 개화 관련 작업들은 거의 다 끝나서 연초에 기획했던 칼럼들을 올려보려고 합니다.
칼럼은 아마 3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1부: 국어 전반에 대한 논의, 2부: 필요 배경지식, 3부: 고난도 기출 지문 분석 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모든 칼럼을 퇴고하기 전에 돌아보니 1부는 국어 학습에 대한 제가 했던 생각들을 편한 문체로 작성한 것입니다.
소설처럼 편하게 읽을 수 있을 겁니다.
반면 2부와 3부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하여 다소 딱딱하게 올라갈 것 같습니다.
어쨌든 제가 일을 쉬고 있어서 꽤 활발하게 올릴테니, 원하시는 부분이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시길 바랍니다.
특히 지문해설이 필요한 지문들은 다음 링크에 댓글 달아주시면 확인하고 최대한 반영해서 3부로 업로드 하겠습니다.
((1) 님들 국어 평가원 독서 지문에서 가장 힘들었던 지문? | 오르비 )
자 그러면, 시작하겠습니다.
1.독해와 독서의 차이
독서와 독해에 대해 여러가지 의견이 있지만, 제가 생각하기에는 독서와 독해의 차이점은 '시간 압박'입니다.
독자가 '글'을 읽고, 어떠한 반응을 하는 과정임을 동일하지만, 독해에는 시간 압박이 전제되어 있다는 것이죠.
대충 독서는 이런 느낌인 반면
독해는 이런 느낌입니다.
AI로 만든 그림이지만, 어느 정도 제가 생각하는 독해와 독서의 느낌을 잘 반영하는 것이죠.
독서는 여유롭게 글을 씹고 맛보고 뜯고 음미하는 것, 독해는 제한된 시간 안에 정확하게 이해하는 과정입니다.
여러분들이 갈 시험장에서는 아무래도 독해를 할 것입니다.
몇몇 특이 케이스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학생들은 시험장에서 압박감을 느낄 것입니다.
물론 모든 시험에는 압박감이 있다고 생각하지만, 저는 수능 국어 시험에는 특히 압박감이 많은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합니다.
2.압박감
적당한 압박감은 나쁘지 않지만, 지나친 압박감은 수능 국어와 같은 정보처리가 필수적인 시험에서 독이 됩니다.
그 정확한 기전은 전공 분야가 아니라서 명확히 답할 수는 없지만, 암기했던 것들을 뱉어내는 시험과 그 자리에서 해석하고 추론하는 비중이 많은 시험은 분명히 차이가 있더라고요.
그래서 이러한 압박감을 어떻게 해결할까 고민을 많이 해봤습니다.
결론은 완벽히 해결하지 못했지만, 어느 정도 성과가 있었습니다.
시험에 느끼는 압박감은 개인차가 크고, 피실험자의 주관적 지각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라 정량화가 힘들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생들을 가르치며 귀납적으로 느낀 것은 '압박감을 조금 낮출 수 있는 것 같은 대안'이 있었습니다.
그 대안은 알고 보니 머지 않은 곳에 있었습니다.
현재 사교육 강사분들이 주로 가르치는 기술들이 어쩌면 그 압박감을 해결하는 대안으로 작동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 거 있지 않습니까. PS(문제와 해결), CE(원인과 결과)...와 같은 것들.
오래됐지만 저도 수험생활 한 적이 있어서 유명 강사들의 강의를 아무 생각 없이 수강했는데, 그 분들이 설명했던 기술들이 어쩌면 압박감에 대한 해결책도 되는 것을 알았습니다.
3.체화
그래서 시중에 알려진 이러한 기술들을 하나씩 정리했습니다. 그리고 나서 또 문제점에 도달했습니다.
"대체 왜 기술을 배웠는데 실전에서 쓰지 못하는가?" 하는 의문이 머릿속에 남네요.
자세히 말하면 대한민국 사교육 시장은 매우 커서 강사들의 퀄이 상향 평준화 되어 있고, 그들이 가르쳐 주는 것들은 아주 좋다고 생각하는데, 왜 학생들은 그것들을 흡수하지 못하는지 궁금한 겁니다.
특히 저는 연구소에서 교재를 만드는데, 그때마다 기존에 집필하시던 분들에게 벽을 느낍니다.
그만큼 시중에 교재들이 퀄이 높은 교재들이라는 것이죠.
어쨌든 이러한 문제를 고민하다보니, '배경지식', '호르몬', '마음가짐'의 문제로 설명할 수 있겠다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4.마음가짐
'배경지식' 부분은 2부에서 설명하기로 했고, '호르몬'에 대한 논의는 연구소 내 약사분과 함께 공부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저는 잘 모르는 분야에 그 분이 현재 연구소에 소속되어 있으신 바쁜 분이라 시간이 걸릴 듯 하네요.
(참고로 저희는 그냥 가오잡으려고 '연구소'라는 이름을 쓰는 거지만, 그분은 진짜 랩실에 소속되어 있으십니다.)
그래서 마음가짐에 대해 언급하려 합니다.
그런데 여러분. 이 마음가짐에 대해 퇴고분을 올리려는데, 분량이 너무 많은 것 같습니다.
그러면 당신들이 읽지 않을 것 같아요.
그래서 이 마음가짐은 다음 칼럼에 쓰겠습니다.
그럼 다음에 봐요! 안녕~
참고로 책 나왔습니다. 사주시면 제가 먹고 삽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서울대의대생의 학종칼럼 1] 좋은 생활기록부란 무엇인가? (자연계열 기준) 0
안녕하세요? 국수입니다. 저는 현재 개인 과외와 자연계열 수시 컨설팅을 전문으로...
-
고2 행발에 1
위에 내용은 다 좋은데 마지막 줄에 ’나아가고자 하는 목표의식이 강하여 주변을...
-
[학생부를 잡아라! 세특 A to Z] 세특 A to Z! 세특으로 대학가자! 0
어느덧 마지막 칼럼이다. 이번 시간에는 입시 커뮤니티 등에 자주 올라오는 학생들의...
-
[학생부를 잡아라! 세특 A to Z] 혼돈의 입시, 중심을 잘 잡자! 0
현 고1, 고2의 학생부 작성 요령에 많은 변화가 생겼음을 앞선 칼럼들에서...
-
[학생부를 잡아라! 세특 A to Z] 좋은 세특은 좋은 주제에서 시작한다! 0
필자가 고등학생 1,645명을 대상으로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
[학생부를 잡아라! 세특 A to Z] 면접, 세특의 진정성 검증을 위한 자리 0
힘들었던 해의 수능이 끝났다. 수험생들 모두에게 정말 고생 많았다는 격려의 인사를...
-
6개쓸려는거중에 2개학교가 면접날짜 겹치는데 그거 2개써서 시간 안겹치기를...
-
안녕하세요.. 저가 학생부 종합 상향을 써도될까요?(성적향상그래프) 4
안녕하세요 여기에 처음 글을 올려보는데 , 저가 학생부 종합을 넣어도 될지에 관해...
-
서울 광역 자사고 다니는데 제가 전교 1~2등이거든요? 내신은 1.4~1.5 정도...
-
외고 내신 5점댄데 붙을 수 있을까여?ㅜㅜ 학종으로 생각합니당
-
현재 서울 목동권 인문계 고등학교 다니는 이과 학생이구요 내신은 1.2 후반 ~...
-
진심으로.. 네이버 댓글 이상한것같아요
-
수시 한양대 인문 의류학과 학종으로 썼는데요. 일반적으로 충원율이 얼마나될까요?...
-
학부모입니다. 학생부종합때문에 검색해서든 책이든 많은 내용을 읽어보고 학교선생님들...
-
고2 문과생입니다. 지방 교육특구(?) 일반고 다닙니다. 고2 모평성적이 뭐그래...
-
제 외부활동이 학교장 허락 안 받은 건데 추천서에 기재해도 될까요?
-
1. 선생한테 아부를 잘해야함 2. 학교가 돈이 많아야함.학교가 비리 없어야함.3....
-
대입 수시 학생부종합 자기소개서 첨삭합니다. 저는 모든 수시전형을 입학사정관제(현...
-
이과 학생부종합 1
분당에있는 일반고에 재학중인 이과생이고 내신은 2.2정도 나옵니다 생기부는...
-
이제 곧 원서도 써야되서 자소서를 슬슬 써야할것같아 학교, 학과에대해 고민중인...
-
회귀분석?? 0
고등학교 3학년, 학생부 종합전형을 목표로 교내 팀프로젝트에 참가하여 4명이서 같이...
-
아직 고1이라그런지 딱 와닿는게 없달까요?ㅠㅠ내신은 아무리해도 4점대 후반에서...
-
그냥 버리는게 맞나요? 이제 고2인데 학교가 평준화 일반계 고등학교임에도 불구하고...
-
저는 재수생입니다. 지방에 있는 일반계고를 졸업했습니다. 제가 하고픈 이야기는...
-
일반고 내신 3.4로 한양대 학생부종합 합격했다는데........ 5
셀파스라는 학종인강사이트에서 봤는데 일반고 내신 3.4로 한양대 전자공학부......
-
의예과에 수시로 학종을 넣으려하는데 독서기록에 의대와 관련된 것이 없네요 6
원래 화학과에서 약대를 가려했기때문에 거의 다 화학이나 과학자에 대한 책인데 저가...
-
안녕하세요3학년 때 진로가 갑자기 틀어진 고삼 현역입니다지금 상황에서는 (제...
-
올해 1월부터 독학재수시작했습니다.. 이런저런상황도있었지만 맘잡고 열심히 공부중인...
-
Chain Link에서 꿈을 실현할 아이디어의 연결고리를 만들어나갈 학생을 모집합니다 0
안녕하세요.각자의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해왔고, 현재도 그 꿈을 실천하고자 노력하고...
-
안녕하세요. 저는 이번 입시에서 학생부종합으로 대학을 진학하게 된 현역입니다.제가...
-
안녕하세요. 저는 이번 입시에서 학생부종합으로 대학을 진학하게 된 현역입니다. 제가...
-
이과고 화1 지1 선택이고 국수영탐순으로95 88 92 44 45로2 3 2(3?)...
-
내신은 3.5정도 되는 일반계고등학교 문과 학생입니다. 학교 활동을 활발히 해서...
-
한양대가 이번에 최저도없고 자기소개서도없고 내신도안봐서 카오스라고생각하는사람이많던데...
-
고등학교 재학기간 중 진로 선택을 위해 노력한 과정 또는 개인적인 어려움이나 좌절을...
-
정확하게1학년 z 점수 1.92학년 z 점수 2.03학년 z 점수 2.0인데 연세대...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