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데 왜 수능수학에서 복소수는 안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293325
왜?
집합도 내면서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좀 처자자 그만좀 올려르 0 0
아오 ㅅㅂ
-
자기는 엄마한명밖에 못만나봤다고 근데 난 동성친구도몇없는걸요
-
아 안잘려했는데 1 0
2시간 자버렸네
-
아이디어 0 0
올해꺼 들으시는 분 있나요 작년이랑 얼마나 달라졌는지 궁금해서 ㅜ
-
띵곡
-
공부 좀 하렴 1 0
나야
-
3월 4일이 두렵다 0 0
쌉허수 현역의 마지막 학교생활 ㅠ
-
한완수 평수능 0 0
한완수 평수능에는 only 평가원 문제만 있나요? 앞부분 보니까 5월달 기출 이런거도 한번씩 있던데
-
이제 정신차림 0 0
김구라임
-
시대인재 단과 질문 2 0
시대인재 단과 강기원,김현우,박종민 중 한명을 듣고 싶습니다 일단 현강듣고 싶은데...
-
오늘부터 국어도 이제 무한 실모단에 합류한다
-
히히 밤샜다 8 0
오겜 재밌어
-
오르비 안녕히 주무셨어요 2 1
굿모닝
가상의 존재여서
굳이 라서?
낼 만한 소재가 없음
수1수2미적은 배우는 함수가 죄다 실수에서 정의된 실함수인 데다
복소함수 미적분 따로 배우면 감당됨?
그래도 옛날 기출 따라 복소수 활용한 수열 같은 거 내줄 수 있지 않나
복소수열 문제를 제대로 낸 적이 있음? 없을 거 같은데 수열 모를 때 수열처럼 정의해서 내는 문제 말하는 거 아님? 그건 수열이 아니라 복소수가 본질이니까 안 내는 거고
복소수는 order가 없어서 복소수열을 지금 내는 스타일처럼 못 냄
수능에서 다루는 건 등차 등비수열과 귀납적 정의의 이해니까
글쿠나..
복소수에서 실수처럼 1 < 2 같은 순서를 정의하려 dictionary order 같은 방식을 써야 하는데 그럼 그거대로 또 설명을 해줘야 하니 등차수열은 걍 못 쓰는 게 되고..
등비수열이야 낼 수 있겠지만 그리 어려운 건 못 내겠죠
귀납적정의 문제들은 대부분 각 항이 뭔지를 이용해서 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게 복소가 되면 ..
한 13번 정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