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 기능론 갈등론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183550
납득이 안 되어서요.. 왜 갈등론인가요? 기능론이 아닌 이유도 잘 모르겠습니다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니 게이테스트 뭐냐 12
-
흐흐흐흐흐흐흐
-
짝사랑을 했을때 상대방이 모두 나를 싫어했다 살면서 방학때 친구를 만나본 적이 없다...
-
찐따테스트 1
-
탐구바꿈 똑같은 걸 1년을 더 하기엔 뭔가 지루함이 있음뇨
-
실모에서 미적 주관식을 처음으로 맞음 물론 학원 단과 쌤이 제작해서 나눠준 실모지만...
-
쩬떠테스트 0
나는~ 개찐따~ 허~~접♡♡
-
그냥 눈떠있기 좆같노
-
푸리 8
배가아파요
-
돼지가되 0
밥 먹은지 얼마 안 됐는데 좀 있다가 라면 먹고 자야지
-
경ma식 보도의 문제점을 줄이려는 조치가 있다. > 뭐 어쩌라고요. ㉮「공직...
-
기하 고수님들 0
ebs 안국선 선생님 개념강의랑 병행할 교재를 찾고 있습니다 쎈이 가장 좋나요?...
-
걍 딥피드에 뜨나 검색해서 오는건 아닐거아니야
-
https://orbi.kr/00067115711 옛날에 이 글을 끝으로 오르비를...
-
특히 물2는 차별대우하는 느낌이네 1은 다 해주고 2만 안해줌 1만 해본 조교밖에업나
-
갑자기 왜 형광펜 친 부분이 수렴한다고 하는지 모르겠어요ㅠㅠ
-
241114(1번선지):1모둠 내용(과 2모둠 내용)에서 문화 공존이 나타나기에...
-
수영탐탐1인증함 헤헤
-
중앙대 수강신청 0
관련해서 알려주실 선배님이나 아는 분 연락주세요ㅜㅠㅠ 1.1학년 필수교양 몇 개...
-
많은 수험생분들이 실수 때문에 고민하시더라구요. 저도 항상 실수가 많았어서, 정말...
-
게이테스트는 뭘까아 12
흠..
-
대 현역한양대의대님이 맞팔을 해주어서 뻘글을 쓸수없어
-
야발 2월 말에 뭔 눈이냐
-
아버지와 예전에 입시 이야기 하다 보니 옛날에는 진짜 상상도 안 되더라고요. 0
명문 고등학교를 가려 재수를 하는 경우도 많았다고 하니... 보통 전기에 모집하는...
-
재밋는뎅
-
찐따테스트 ㅇㅈ 4
힝..
-
저녁 ㅇㅈ 2
알바끝나고 혼자 쓸쓸하게 ㅠㅠ 옆에는 양주..
-
우리 오뿡이들 평균아니였나? 우리끼리 재미있게 놀자~
-
ㄱㅇㅌㅅㅌ ㅇㅈ 0
참고로 찐따 테스트는 레전드급 찐따
-
브릿지랑 자료들때문에 듣는거 어케생각하세오
-
이게 더 심각한건가?..
-
휴…그래도 날 포획해주는 곳이 있어서 다행이다
-
납득이 안 되어서요.. 왜 갈등론인가요? 기능론이 아닌 이유도 잘 모르겠습니다ㅠ
-
짝사랑을 할때 원래 티를 내나요? 말한번도 제대로 걸어본적 없는데..
-
정답을 다 알지만 고능아머리로 피해가는거임 ㅇㅇ
-
아까게 7회꺼엿네
-
얘들아 트라우마 5
도대체 언제 나아질수 있음? 한동안 괜찮았다가 또 트라우마 도져서 돌아버라겠네
-
ㅈㄱㄴ
-
사탐 과목 추천 2
작년에 사문 지구 둘 다 1등급 받았는데 사탐 가산점을 하나 못 받아서 연대 점수가...
-
특히 적분 파트
-
시대인재 브릿지 0
언제부터 나오나용 지금 미적이랑 지구를 듣고 있는데 지구는 12주차부터 나오는데...
-
이거 왜이럼요? 21
e^t>t 이걸 어떻게 알아요? 그냥 상식인 거예요?
-
네
-
물리적으로 시간적으로 불가능한거임? 아니면 아니면 효율적으로 공부하면 가능함?...
불가피하다, 불가피하지 않다 둘이 달라요
어느 부분이 납득이 안되는건가요
궁극적으로 양극화된다는 말을 궁극적으로 사회 불평등이 고착화된다는 말로 해석했어요.. 갈등론에서는 궁극적으로 사회 불평등이 제거된다고 보는 게 아닌가요? 마르크스 사상이랑 동일시해서 이해한 게 문제인 것 같은데.. 맞을까요?
양극화 된다고 보기에 그거에 대해 저항하는겁니다 가장 밑에 분이 잘 설명해주신 것 같아요
아하 그렇군요.. 답변 감사합니다ㅠㅠ
양극화의 의미를 잘 찾아봅시다
갈등론은 피지배 계급의 투쟁과 저항을 통해 궁극적으로 구조적 변혁이 일어날 수 밖에 없다고 보지 않나요..? 마르크스 사상을 너무 끌고 들어오면 안 되는 건가요ㅠㅠ?
말이 중의적이긴 하네요.궁극적으로가 수식하는 대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 같아요
투쟁과 저항을 하는 이유는 궁극적으로 양극화되있기 때문에 그렇지 않을까요
아 그럼 궁극적이라는 말을 사회가 발전해오며 현재에 도달하여 나타난 결과가 양극화이다 이렇게 해석해도 될까요? 그럼 기능론은 사회가 양극화되어 있지 않다고 보는 게 맞을까요?
아래 분이 훨씬 자세히 설명해주었네요 전 간단하게라도 도움드리겠습니더
같은 주제 현상이라도 보는 관점에 따라 다를수있다는것이 기본이면서 가장 중요한거 같아요. 기능론이나 갈등론이라 나눠진것은 마찬가지이지만 그것을 보는 ”태도“가 다른거잖아요? 워딩과 말투에 더 집중하면 좋을것같습니다
갈등론의 대표적인 특징이 세상을 이분법적으로 바라보는거죠
사회는 애초에 불공평하니 그걸 갈아엎자는게 주된 논리입니다
기능론은 사회 구조가 불평등하다는건 인정하지만, 그걸 문제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양극화된다고 생각하지도 않을겁니다. 지배/피지배의 계급이 있는게 아니라 그냥 개개인마다 수많은 연속적인 부/권력/지위의 차이가 있을 뿐이니까요
어느 부분에서 이해가 안되시는건지 질문해주시면 대답해드릴게요
친절하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해요ㅠㅠ 읽자마자 이해 됐습니다
넵 좀 더 자세한 이해를 돕기 위해 윗분께 주신 질문에 조금 답변을 드리자면
갈등론은 본질적으로 세상이 지배계급/피지배계급으로 나뉘어있다고 생각합니다. 굉장히 극단적이고 이분법적이죠. 즉, 세상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고, 사회의 불평등한 체계가 어떻게 생겨먹었든 결국 궁극적으로 지배<->피지배의 이분법으로 양극화된다고 봅니다. 그러니까 그 양극화를 피지배 계층이 들고 일어나서 깨부숴야 한다! 라는게 갈등론자의 주된 논리입니다.
그리고 문제 푸실때 좋은 도구를 드리자면, 사회 불평등을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지문이면 갈등론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위에 설명드렸듯 기능론은 사회 불평등을 전혀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고, 오히려 사회가 건강해지는(?)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사회불평등? 당연히 있을 수 밖에 없지. 근데 그게 꼬우면 니들이 우리처럼 노력해서 부/권력/지위를 얻든가ㅋㅋ 가 주된 논리입니다.
기능론은 불평등 구조라 생각하질 않고, 갈등론은 이대로 가다간 불평등해지니까 부수자! 라고 이해하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