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잘래그냥 · 1280658 · 6시간 전 · MS 2023

    불가피하다, 불가피하지 않다 둘이 달라요

  • 하니대제발 · 1069502 · 6시간 전 · MS 2021

    어느 부분이 납득이 안되는건가요

  • 희원 · 1314721 · 6시간 전 · MS 2024

    궁극적으로 양극화된다는 말을 궁극적으로 사회 불평등이 고착화된다는 말로 해석했어요.. 갈등론에서는 궁극적으로 사회 불평등이 제거된다고 보는 게 아닌가요? 마르크스 사상이랑 동일시해서 이해한 게 문제인 것 같은데.. 맞을까요?

  • 하니대제발 · 1069502 · 6시간 전 · MS 2021

    양극화 된다고 보기에 그거에 대해 저항하는겁니다 가장 밑에 분이 잘 설명해주신 것 같아요

  • 희원 · 1314721 · 6시간 전 · MS 2024

    아하 그렇군요.. 답변 감사합니다ㅠㅠ

  • 저스트퍽힝두잇 · 1213542 · 6시간 전 · MS 2023

    양극화의 의미를 잘 찾아봅시다

  • 저스트퍽힝두잇 · 1213542 · 6시간 전 · MS 2023
  • 희원 · 1314721 · 6시간 전 · MS 2024

    갈등론은 피지배 계급의 투쟁과 저항을 통해 궁극적으로 구조적 변혁이 일어날 수 밖에 없다고 보지 않나요..? 마르크스 사상을 너무 끌고 들어오면 안 되는 건가요ㅠㅠ?

  • 생윤지구도생지아닌가요 · 1265067 · 6시간 전 · MS 2023

    말이 중의적이긴 하네요.궁극적으로가 수식하는 대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 같아요

  • 저스트퍽힝두잇 · 1213542 · 6시간 전 · MS 2023

    투쟁과 저항을 하는 이유는 궁극적으로 양극화되있기 때문에 그렇지 않을까요

  • 희원 · 1314721 · 6시간 전 · MS 2024

    아 그럼 궁극적이라는 말을 사회가 발전해오며 현재에 도달하여 나타난 결과가 양극화이다 이렇게 해석해도 될까요? 그럼 기능론은 사회가 양극화되어 있지 않다고 보는 게 맞을까요?

  • 저스트퍽힝두잇 · 1213542 · 6시간 전 · MS 2023

    아래 분이 훨씬 자세히 설명해주었네요 전 간단하게라도 도움드리겠습니더

    같은 주제 현상이라도 보는 관점에 따라 다를수있다는것이 기본이면서 가장 중요한거 같아요. 기능론이나 갈등론이라 나눠진것은 마찬가지이지만 그것을 보는 ”태도“가 다른거잖아요? 워딩과 말투에 더 집중하면 좋을것같습니다

  • 한봄 · 1377887 · 6시간 전 · MS 2025

    갈등론의 대표적인 특징이 세상을 이분법적으로 바라보는거죠
    사회는 애초에 불공평하니 그걸 갈아엎자는게 주된 논리입니다

  • 한봄 · 1377887 · 6시간 전 · MS 2025 (수정됨)

    기능론은 사회 구조가 불평등하다는건 인정하지만, 그걸 문제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양극화된다고 생각하지도 않을겁니다. 지배/피지배의 계급이 있는게 아니라 그냥 개개인마다 수많은 연속적인 부/권력/지위의 차이가 있을 뿐이니까요

  • 한봄 · 1377887 · 6시간 전 · MS 2025 (수정됨)

    어느 부분에서 이해가 안되시는건지 질문해주시면 대답해드릴게요

  • 희원 · 1314721 · 6시간 전 · MS 2024

    친절하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해요ㅠㅠ 읽자마자 이해 됐습니다

  • 한봄 · 1377887 · 6시간 전 · MS 2025 (수정됨)

    넵 좀 더 자세한 이해를 돕기 위해 윗분께 주신 질문에 조금 답변을 드리자면
    갈등론은 본질적으로 세상이 지배계급/피지배계급으로 나뉘어있다고 생각합니다. 굉장히 극단적이고 이분법적이죠. 즉, 세상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고, 사회의 불평등한 체계가 어떻게 생겨먹었든 결국 궁극적으로 지배<->피지배의 이분법으로 양극화된다고 봅니다. 그러니까 그 양극화를 피지배 계층이 들고 일어나서 깨부숴야 한다! 라는게 갈등론자의 주된 논리입니다.
    그리고 문제 푸실때 좋은 도구를 드리자면, 사회 불평등을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지문이면 갈등론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위에 설명드렸듯 기능론은 사회 불평등을 전혀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고, 오히려 사회가 건강해지는(?)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사회불평등? 당연히 있을 수 밖에 없지. 근데 그게 꼬우면 니들이 우리처럼 노력해서 부/권력/지위를 얻든가ㅋㅋ 가 주된 논리입니다.

  • Serene_ · 1051936 · 6시간 전 · MS 2021

    기능론은 불평등 구조라 생각하질 않고, 갈등론은 이대로 가다간 불평등해지니까 부수자! 라고 이해하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