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수능 국어에서 숫자가 언급된다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053510
2411_사회_경마식 보도.pdf
2311_사회_불확정 개념.pdf
2309_사회_유류분.pdf
2309_기술_웹 페이지.pdf
2306_사회_이중차분법.pdf
2211_사회_브레턴우즈.pdf
안녕하세요, 쑥과마늘입니다.
오늘은 수능 국어에 숫자가 제시된다면
어떻게 반응해야 할지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숫자가 제시되는 경우는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계산하거나.
비교하거나.
백문이 불여일견.
직접 기출을 통해 확인해봅시다.
*지문을 첨부해두었으니 읽고 보시는 게 이해하기 편할 겁니다.
1. 지문의 내용을 바탕으로 <보기>에서 연산을 요구하는 Case
[2023학년도 수능 ‘불확정 개념’ 지문]
사실 이건 수치라고 부르기에도 우스운 수준이지만, 칼럼의 목적에 부합하기에 들고 왔습니다.
<보기>에 100과 80이라는 수치가 나왔는데,
‘위약금’과 ‘손해’를 ‘위약벌’ 및 ‘증명’의 여부에 따라 숫자를 넣고 연산하면 됩니다.
[2023학년도 6월 모의평가 ‘이중차분법’ 지문]
이것도 연산이라고 부르기에는 부끄러운 수준입니다.
이중차분법의 정의에 입각하여 시행집단의 변화에서 비교집단의 변화를 빼는, 간단한 연산을 요구합니다.
[2023학년도 9월 모의평가 ‘유류분’ 지문]
유류분 부족액을 계산해서 풀어야 하는, 정말 ‘계산’을 요구하는 문제입니다.
5문단에서 서술된 ‘언제의 시가를 기준으로 삼을 것인가’를 고려하여 연산하면 해결됩니다.
[2023학년도 9월 모의평가 ‘웹 페이지 지문’]
사실 이 지문을 들고 오기 위해서 이 칼럼을 썼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것도 ‘유류분’ 지문과 마찬가지로 연산을 해야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사고를 통해 연산을 줄일 수 있습니다.
3번 선지가 그 예시인데, b와 c는 애초에 댐핑 인자 0.5를 곱해줘야 하기 때문에 중요도가 같다고 볼 수 없습니다.
댐핑 인자가 0.5라는 걸 인지하면 계산하지 않아도 풀 수 있죠.
2. 지문의 정보를 바탕으로 비교하는 Case
[2024학년도 수능 ‘경1마식 보도’ 지문]
중요한 건 숫자 그 자체가 아니라, 숫자가 상대적으로 갖는 의미입니다. 「공직선거법」과 「선거방송심의에 관한 특별규정」, 「선거여론조사보도준칙」의 나온 정보들을 바탕으로 ‘차이’와 ‘시기’를 구분해서 풀어야 하는 문제였습니다.
[2022학년도 수능 ‘브레턴우즈’ 지문]
‘비교’라는 단어를 쓴 이유는 바로 이 지문 때문입니다.
<보기>에 말이 많지만, 중요한 것은 A국 통화에 대한 B국 통화와 C국 통화의 환율이 50%, 30% 하락했다는 것이 열쇠입니다. 그리고 50% 하락한 환율과 30% 하락한 환율의 숫자 자체의 의미가 있는 게 아니라, 상대적으로 누가 더 평가 절상되었는지 따지면 풀 수 있는 문제였습니다.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평가원에서 숫자를 제시하는 경우에는
숫자 자체에 주목해서 계산해야 하거나,
상댓값을 활용해서 비교를 해야 한다.
계산을 묻는 경우에도 개념에 입각하여 연산을 줄일 수 있다.
이 행동영역은 우리가 <보기> 문제에서 막혔을 때 무엇을 먼저 해야 할지 정해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좋아요와 팔로우는 큰 도움이 됩니다.
(잡담 게시글 구독 해제를 권장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XDK (+2,000)
-
1,000
-
1,000
-
높공으로 옮김 ㅋㅋ…. 하 현타온다 시간이랑 돈이 아깝네
-
기초약화학에서 줌달일반화학으로 수업하는데 제가 화학을 공부한적이...
-
다 디시하는줄 앎 네..
-
"수의대." 4
"동무는 어느 쪽으로 가겠소?""수의대."그들은 서로 쳐다본다. 앉으라고 하던...
-
친목도 요즘 적당히 하고 최근들어서는 ㅇㅇㅂ도 없어서 클린함 그리고 입시나 수능쪽에...
-
시간대 하나놓쳐서 둘다 못들음 근데 둘다 필수임 ㅋㅋㅋㅋㅋ 인생 좃댐 ㅋㅋㅋㅋㅋㅋ
-
물론 입댄건책임져야하니까~ 원샷함 기분좋다~~~ 집에서 주스병에 입대고마시면...
-
다보인다
-
투과목은..
-
시골쥐상경 2
찍찍
-
다시일어남 2
-
베르테르 68번 2
음
-
엄청어렵다는디
-
ㅋㅋㅋㅋㅋㅋㅋㅋ 예습의 보람이 있노 ~
-
평생독신으로늙어죽어버려....
-
수강신청 멸망함 2
이게현실일리없어요
-
생기부 미련 없는데 제가 못 본 단점이 있을까요? 7주 정도 꽉 쓸 예정
-
어휴..
계산과 비교하면 1709 콘크리트가 떠오르는군요
개정 교육과정 이전 기출은 안 넣었는데 콘크리트도 있군요
킬러 배제 이후에 숫자를 이용한 사고력이 별로 안 나온 거 같은데 옛 기출처럼 나올 가능성이 있을까요?
음 그건 제가 평가원이 아니라서 모르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