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대렐라 · 1358343 · 02/16 11:56 · MS 2024 (수정됨)

    1.수열 자체를 느낀다 (이건 문제에 따라서 다름)

    2.적당한 시작지점을 찾고, 거기서부터 차근차근 나열을 시작한다(미지수가 필요하면 도입)

    24수능 15번을 예로 들면
    a1이 자연수네
    어 근데 이 수열에 따르면 수열 모든항이 자연수겠네

    a6+a7이 3이라고 나와있으니꺼
    a6=1인 경우와 2인경우로 나눠서
    나열해야겠다(a1을 구하라고 했기때문에 역방향)

    이정도?

  • 에보닉 도르트문트 · 1149704 · 02/16 12:02 · MS 2022

    첫번째 방법은 무슨 뜻인가용?? 해당 수열을 일반화 하라는 뜻인가요?

  • 에코라 · 1345683 · 02/16 12:04 · MS 2024

    조건 보고 대충 뭉개라는 의미 아닌가ㅇ ㅛ? 만약 조건에 루트가 있으면 아! 1과 4와 9번째 항에서 특이 점이 있겠네
    a1xa2xa3<0 조건이 있으면 아 여기서 음수의 개수가 1개 또는 3개고 0은 안 들어가구ㄴ ㅏ 이런거?

  • 순대렐라 · 1358343 · 02/16 12:04 · MS 2024 (수정됨)

    제가 설명에 적어놓은거 처럼 수열자체의 구조파악입니다

    (24수능 15번) a1이 자연수라는 조건으로
    그 수열전체의 모든항이 자연수다 라는것을
    스스로 이끌어내는게 중요합니다



    아 그리고 제가 1번 2번 적어놓은것은
    방법이 아니라 평가원 수열문제를 풀때 하는
    순서입니다
  • 새별비 · 1189427 · 02/16 11:57 · MS 2022

    양치기하셈
    해강 무조건 듣고 ㅇ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