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친구가 일본에서 사왔어요
-
아주대 지반공 최초합 발표 당시 예비 8번인데 오늘 두 명 빠졌어요.. 가능할까요?
-
전혀 상관없는 과를 와버렸네
-
한의대 가면 예+본과 6년에 군대 3년이면 9년인데… 열심히 공부한단 전제하에...
-
있으신가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하 시발
-
그러하다
-
이말투쓰면바로찐따행
-
기하->미적런 1
지금 겨울방학동안 기하 시발점 벡터부분 하고있었는데 전기전자가 목표라 대학가서도...
-
잃은거 언제 다 복구 하지
-
올해 처음 뽑는 자전인데 28명 뽑고 처음에 예비 21뜸 2차까지 보면 8떴는데...
-
언미물2화2 97 100 1 47 47
-
그 피지컬이란것은 타고난것도 매우 크고 수험생활 이전에 경험한것들도 매우 크게...
-
이번주 월욜에 막 올러오ㅓ서 시작했는데 너무외롭고 걍 계속 눈물만나옴.. 학사에선...
-
난니들과다른사람이야
-
오티갈때 팬티는 4
켈빈이랑 떠그 언제나 준비되어있는 곰돌이
-
옆사람이랑 응원할때 손잡으래서 계속 손 깍지끼고 있었음
-
한 20억 모이서 파이어족 하고 싶다 일하기 싫어
-
ㄷㄷ
-
하하
-
외화유출범 잔다 4
컹컹
-
와꾸빨로 그냥 연애섻 프리패스 가능한 얼굴들
-
아 롤할까 7
ㅈㄴ 피곤한데 잠 안 오는 상태 굿
-
누구말투임 진짜 ㅋㅋ
-
요즘은 디지털 시대라 세미 정장까진 허용되나요?
-
잘꼬야 0
-
어 왜 0빙고지
-
나도 해볼까해서
-
의대가시는분들 4
올해 학교 가실건가요?
-
교환학생으로 미국 쪽 갔다 오면 미식축구 관심 가지는 경우가 은근히 생기더군요. 0
일단 미국에서 NFL 다음으로 인기 높은 스포츠가 대학풋볼이라서 그런가...슈퍼볼...
-
그 사람들중에 팔로워수가 팔로잉수보다 꽤 많은 사람들이 있음 근데 그 사람들이 날...
-
나랑 쪽지할 6
여르비 급구
-
얼마안가 다 탈릅했던데
-
12광탈의 여파로 한 2달 죽어있다가ㅠㅠ 1월쯤부터 친구들 만나고 힐링 좀 하면서...
-
흐엉엉엉엉
-
재미없어 다시 오르란 말이야
-
인거요? 현역이고 지금까지 미적만 파느라 수12를 못했었어요 3모 전까지 완강할려고...
-
옯창빙고 ㅇㅈ 7
분명 뉴비 맞는데
-
새터갈때 0
옷 뭐입지 사야되는데 돈쓰기 아깝고 나 대학생하기싫어
-
진짜 개춥네 0
히터도 고장났고.. 심지어 라디에이터도 안켜주네
-
올해 수능보는 현역입니다 선택과목은 확통입니다 미적 하고싶었는데.. 선행 안해놓아서...
-
섭3주자 서브 330주자가 대체몇명이야 ㅡ여기들어가면 서브3주자에게 배울수있는건가
-
유튜부에서 보던 분이셨는데 메가런칭하셨누 ㄷㄷ
-
여사친 남사친 하하호호 장난치면서 걸을때 부럽더라..
-
소주는 그냥 5잔정도 마시면 바로가네
-
추구할 수 있는 나이가 되었으니
-
슬슬잘까 0
볼게없네
-
근데 발문만 해석되면 3점 수준임
-
가방에 주렁주렁 매달고 다녀야지 혹시 몰라서 두개씩 삼 저번에 나중에 사야지 했다가...
-
문제 접근방식과 사고흐름을 잘 설명해주시는 분이면 좋겠어요
-
너희들에게 100점이 주어지리라
How are you?
리버풀에서는 How are we?랍니다.
한국식 문법을 거의 모르는데 영어 과외하기 위해서 한국식 문법 공부를 하는 것이 좋다 생각하시나요?
내신 및 중고등 과외를 해야 하면 당연히 필수구요. 적어도 고등 범위 내의 문법 체계는 다 알고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아예 모르시면 수업을 안 하시는게 맞을 정도로 꼭 하셔야 합니다.
수능을 가르치시는 것이라면 적어도 기본적으로 구문을 설명할 수 있을 정도는 갖추시는게 맞습니다.
감사합니다. 꼭 공부 해야겠네요..
영어 수능 3등급이 2등급이 되려면
뭘 어떻게 공부하면 좋나요
듣기는 다 맞추고 빈순삽, 어법은 다 찍습니다
니머지는 풀구요
최우선 순위는 단연코 단어일테구요, 괜찮은 구문 강의 하나 떼서 많이 복습해주시면 좋습니다(그냥 듣고 필기에서 그치는게 아니라 진짜 체화하기 위한 공부. 국어 방법론 적용처럼). 그리고 어법이 한 문제긴 한데, 나오는 것만 나와서 어법 굉장히 볼륨 작은걸로 하나 들어주세요
그리고 그 이후에는 유형별 접근 방식 얻어서 무한 체화하면 됩니다.
슬롯은 1년만에 우승하는데 졸장테타는 뭐하는거지
아스날은 억까가 심한 것 같네요..ㅎㅎ
어릴때 외국에서 2년 정도 살면서 영어를 배웠습니다. 그래서 영어에 큰 부담은 없는데 수능을 보면 고난도 문제를 정확하게 해석해서 엄밀하게 푸는 느낌이 안 듭니다... 좀 뭉뚱그려서 이런 의미 같은데? 그럼 이게 좀 더 맞지 않나? 이런 느낌으로 풉니다. 25수능은 92점 받았습니다. 어떤 점을 보완해야지 안정적인 고득점을 받을 수 있을까요? 참고로 문법은 거의 모르고 구문독해 그런 강의도 들어본적이 없습니다. 단어랑 기출만 했습니다.
전형적인 유학파 감독해를 하는 타입이신건데요, 이 경우에는 사실 다른 학생들이 하는 것처럼 한국식 영어 공부 위주로 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빈출 구문 공부 이후 고난도 문제 많이 풀어주면서 문제 풀이 자체의 피지컬을 키우는게 좋습니다. 당연히 그 과정에서 단어는 외워야 하겠고요.
일단 뭉뚱그려서 푼다는게 1. 해석을 뭉갠다는 것인지 2. 논리가 명확하지 않으나 감으로 찍는다는 것인지에 따라 해야 하는 공부가 다를 듯 합니다.
2번입니다
2번이시라면 해석의 영역보다는 이해와 논리 도출의 영역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빈순삽 풀이에 있어서 지문을 근거로 일관된 로직을 잡고 오선지를 제거해내는 것에 포커스를 맞춰서 적용하도록 해보세요. 와닿지 않으시다면 인강의 도움을 받는 것도 방법입니다.
25수능 잘 찍어서 68점입니다.
고1-2수준 단어부터, 구문부터 다시 하는게 좋겠죠??
네. 무조건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