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꼽론 [1324551] · MS 2024 · 쪽지

2025-02-08 02:58:18
조회수 2,862

연논 합격 인문논술황 질문받는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855842

늦은 밤 어그로 죄송합니다... 논술시즌 한참 지나 뒷북 같지만 아직도 잊히지 않는 꿈만 같아 올려봅니다..ㅎ

안녕하세요 오르비에는 처음으로 글 남겨봅니다!

배꼽론이라고 합니다. (25수능 그 배꼽론 맞음)


<자기소개>


2024

학교 내신 3.02, 수능 43155

정시 한국공학대학교 재학 


학교 일주일 다니다가 각잡고 재수, 내신 버리고 논술과 정시만 팜


2025 

연세대 인문논술 철학과 최초합

고려대 인문논술 철학과 예비 3번

한양대 상경논술 한양인터칼리지학부 예비 1번

수능 22123, 미적분 물1 지1 응시

(수능은 과탐보고 인문논술 합격하는 ㄹㅇ 융합형 인재)


입시와 관련된 것들을 완전히 까먹기 전에 몇가지 질문 주고받고 싶습니다.

궁금한 점 있으면 질문 부탁드립니다! 남아도는게 시간이니 언제든 답해드리겠습니다 ㅎ

저는 개인적으로 인문논술 첨삭 조교나 수업을 진행해 보고 싶은데, 관련된 시장에 대해 아는 바가 전혀 없어 이에 대해 여쭙고 싶습니다,,

연대 합격과 고대 한양대 예비가 커리어가,, 될수 있나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체 스 · 1358110 · 02/08 02:59 · MS 2024

    ㄷㄷㄷ학원다니셧냐요?

  • 배꼽론 · 1324551 · 02/08 03:00 · MS 2024

    네 6모 이후로 연논 전까지 동네 학원 주 1회로 다녔어요!

  • 체 스 · 1358110 · 02/08 03:02 · MS 2024

    오 ㄷㄷ 저도 학원 다녓엇는데 저는 6광탈햇어요 ㅜㅜ 그래도 학원 다닌 덕분인지 국어 잘봐서 대학옴 ㅜ

  • 같이달빛걷기 · 1301500 · 02/08 03:07 · MS 2024

    우왕…25 때 처음으로 준비해보신 건가요?

  • 배꼽론 · 1324551 · 02/08 03:10 · MS 2024

    네 그렇습니다! 논술은 너같은 일반고 애는 하는거 아니고.. 소위 '대치동 그들' 의 전유물이라는 주변의 말에 시도조차 못하다가 그냥 했는데 숨겨진 능력을 발견했죠 ㅋㅋ

  • 탁극탁 · 1322566 · 02/08 03:13 · MS 2024

    철학황

  • 배꼽론 · 1324551 · 02/08 03:23 · MS 2024

    근데 윤리를 진짜 하나도 모르는데 어떡하죠 ㅋㅋㅋ

  • hardtoexplain · 1350865 · 02/08 03:15 · MS 2024

    오 논술러 흔치않은데 반갑습니다
    고대는 예비로 끝나신 건가요?

  • 배꼽론 · 1324551 · 02/08 03:22 · MS 2024

    한명도 안돌더라구요 ㅋㅋ 연고대 동시 시행해서 중복합격자가 꽤 있을 줄 알았는데, 원하는 인재상이 다른가봅니다

  • hardtoexplain · 1350865 · 02/08 03:24 · MS 2024

    고대논술이 많이 특이하긴 하죠.. 저희과는 3명정도 돌았던 것 같던데 과바과인가 보네요

  • 배꼽론 · 1324551 · 02/08 03:38 · MS 2024

    타과 보니까 고논 시행 전보다는 많이 돌긴 하더라구요,, 연철 고철은 둘다 0명입니다 전원등록했어요 ㅋㅋ

  • hardtoexplain · 1350865 · 02/08 03:42 · MS 2024

    저희과는 미터 가보니까 같은과 논술 학우 둘다붙어서 학우로 등록하신 분들이 은근 있더라고요..

  • 배꼽론 · 1324551 · 02/08 03:49 · MS 2024

    와 논술 예비돌라고 빠져주셨군요 진짜 감사한분들이네요 ㅋㅋㅋ
    근데 고대 논술이 은근히 '최저만 맞추면 거의 그냥 붙는다' 인식이 있는데 최저맞추고 떨어진 분들이 많더라구요
    변별 포인트가 충분히 있는 논술이였단 건데 어떻게 보셨나요??

  • hardtoexplain · 1350865 · 02/08 04:01 · MS 2024

    글의 논리나 완결성 같은걸 봤던 것 같아요! 사실 이 제시문 선택했으면 맞았어 틀렸어는 아니었던 것 같고.. 선택한 제시문들을 얼마나 잘 엮어서 독창적이면서 논리적인 답을 끌어냈냐?

    제생각에는 답안 중 최저 맞춘답안 1차로 걸러내고
    그중 교수님들 눈에띄는거 몇개 합격시켰지 않나 생각이 드네요.. 워낙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어려운 형식이여서

  • 배꼽론 · 1324551 · 02/08 19:00 · MS 2024

    전 현장에서 2번 문제 풀면서 모의논술 문제에 비해 난도가 다소 향상된 느낌을 받았습니다
    튀는 글 쓰는 걸 좋아해서 엮기 힘든 제시문들 과감하게 엮어 쓰고 했는데
    눈에는 들었지만 논리적 완결성이 살짝은 부족했던 것 같아요
    750자 짧은 글에서 논리력을 다 보여준다는게 보기보다 어려운 것 같습니다 ㅋㅋㅋ
    최저만 맞추면 붙을 거라는 인식에 비해 최저 맞추고 떨어진 사람 많은 것도 그 때문일 것 같아요

  • 이와냐ㅇㅁㄴ냐 · 1303145 · 02/14 21:02 · MS 2024 (수정됨)

    올해 생명지구에서 사탐런한 현역이고 당연히 정시가 우선순위, 논술은 일주일에 3-4시간 정도 공부할 예정입니다.. 내신도 바닥이라 아마 6논술로 지원할 것 같습니다.
    김종두쌤 수마캠 사놓고 몇 강 들어보긴 했는데 수학에도 강점이 딱히 없어서 인문논술을 준비해야 할 지, 수리논술 준비해야 할 지도 감이 잘 안옵니다. 목표는 학과 상관없이 논술로든 정시로든 연고대가 너무 가고싶어요.. 지금부터 뭐라도 준비하고 싶은데 뭘 해야할까요??

  • 배꼽론 · 1324551 · 02/17 04:47 · MS 2024

    제가 똑같은 고민 했었는데, 연고대 수리논술 문제랑 인문논술 문제 동시에 펼쳐서 본다음 든 생각이 '아 수리는 다음생에 태어나야 한다 재능충 미친' 인 반면 인문은 '뭐야 이정도면 할만한데?' 였습니다.
    인문이든 수리든 둘중 하나에 뭔가 벽이 느껴진다면 깔끔하게 다른 전략을 보시는게 맞고 '아 뭔가 쪼금~만 하면 될것 같은데' 하시는 느낌이 든다면 준비해보셔도 좋을 것 같아요

  • 배꼽론 · 1324551 · 02/17 04:48 · MS 2024

    인문논술은 붙을 사람이라면 어차피 6모 이후로 시작해도 붙어서,, 독해력 베이스를 쌓기 위해 수능 국어를 문풀보단 논리 위주로 공부하시면서 수능베이스 쌓으시면 논술에도 함께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 abiol · 1327439 · 02/16 22:30 · MS 2024

    평소에 책 같은 거 많이 읽으시나요? 저도 이번에 정시 최저 맞추는 정도로 공부 하고 다양한 책 읽으면서 혼자 학교 기출도 풀고 글 쓰기 연습도 하려고 하는데 혼자는 좀 무리겠죠..? 아무래도 첨삭이 필요하니 ㅜㅜ 근데 학원 비용도 만만치 않아서...

  • 배꼽론 · 1324551 · 02/17 04:44 · MS 2024

    전 책을 많이 읽는 편은 아니였습니다. 오히려 영상 보는 걸 좋아해서 각종 사회 이슈 시사적인 부분을 영상으로 남기고, 직접 정리해서 발표하는 걸 좋아했었습니다.

  • mwxmm · 1351358 · 02/17 13:53 · MS 2024

    연대는 학원 안다니고 독학으로 하면 붙기 힘들까요??

  • 배꼽론 · 1324551 · 02/17 20:13 · MS 2024

    '수능 독학으로 하겠다' 랑 비슷하다고 느껴집니다.
    천하제일논술대회라는 별명이 있지만 어쨌든 연논도 유형이 정해진 '수험'의 개념으로 접근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 수능 학원이랑 비슷한 정도의 중요도를 띈다고 생각합니다.

  • 배꼽론 · 1324551 · 02/17 20:15 · MS 2024

    누구는 대치동 뺑뺑이 풀로 돌려도 2등급에서 멈추고, 누구는 독학으로 인강 들으며 해도 올1뜨는 수능판처럼 논술도 학원이 큰 도움은 주지만 절대적 합불을 결정하진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한 마디만 첨언해드리자면 연대는 학원에서 배우는 '전형적이고 논리가 깔끔하기만 한 답' 보다 '약간 거칠어도 분석력 뛰어난 빛나는 답' 을 선호하는 편이긴 합니다.
    저는 문체가 거칠어서 후자처럼 글을 쓰려고 노력했지만, 학원은 다니긴 했습니다.

  • mwxmm · 1351358 · 02/18 00:32 · MS 2024

    현역 정시공부를 거의 독학으로 해서 논술반수도 독학으로 해볼까 질문드렸던건데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ㅏ~~~

  • 미다 · 1357973 · 02/18 12:09 · MS 2024

    현역인데 대치 너무 멀어서 동네 논술학원 알아보는 중인데 학원 알아보기가 너무 어려워요ㅜ.ㅠ동네 논술학원 고르는 기준 어떻게 잡아야 할까요.. 대충 첨삭 원장이 해주면 더 좋고 소수면 더 좋다 이정도는 아는데 다녀보지 않고 상담만 가서는 첨삭을 제대로 해주는지 알 수 없는거 아닌가여,,

  • 배꼽론 · 1324551 · 02/18 23:33 · MS 2024 (수정됨)

    첨삭 시 내 답을 살려서 수정해주며 '붙는 답'으로 이끌어주도록 하는지,
    내 답을 갈아엎고 그들이 '정해 놓은 붙는 답'에 맞추라고 하는지가 가장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후자는 아무리 연습해봤자 결국 내 글이 아닌 남의 글로 남죠. 결국 우리에게 남는 건 전자의 방식이라고 생각합니다. 대학에서 '글을 통해 너를 알고싶어' 라는 취지로 내는 논술인데, 후자처럼 첨삭하는 경우 다소 아쉬운 면이 있었습니다.
    아무래도 첨삭은 제대로 판단해보기 위해선 수업을 직접 들어보실 필요가 있을 것 같아요.
    아직은 학원을 옮겨 다녀도 되는 시기니까, 이곳저곳 다녀보시면서 6월 정도까지만 정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연상논술 김태규T · 597198 · 02/19 16:41 · MS 2015

    오마에, 내 조교가 돼라!

  • 배꼽론 · 1324551 · 14시간 전 · MS 2024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배꼽론 · 1324551 · 14시간 전 · MS 2024

    우왁 간택당했다 희희 전 열려있습니다 연락주세요!

  • 배꼽론 · 1324551 · 14시간 전 · MS 2024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