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ola] 방식의 25 수능 생윤 복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597047
25 수능 생윤문제.pdf
25수능생윤해설ebs.pdf
Zola임당
뒤늦은 25 수능 생윤 간단 복기입니다.
저도 시험지 보고 직접 풀어봤기에
Zola라는 '학생'의 풀이와
Zola라는 '강사'의 풀이가 섞여 있다고 보면 됩니다.
(기출 문제지+ebs 풀이 첨부하였으니 참고하세요.)
당연 제 방식, 제 수업 기준으로 푼 것인데
정형적인 사탐 지식형 수업에 익숙한 분들은
저를 특이하다고 얘기하는 분들도 있습니다만....
이렇게도 풀리는구나라고 생각하시면 될 듯요.
지금부터 말투는 입에서 나오는대로 막 사용할거임.....
총평. 어렵다고 느낀 시험임. 근데 특별난 건 없음.
글고 생윤 역사에서는 1컷 41~43 시험이 최소 2회 이상 존재했음(평가원 기준)
맨 아래 역대 6평-9평-수능 1컷 자료 확인하면 됨.
Zola가 처음 풀고 예상한 1컷은 43~44였음. 1컷 예상 실패하긴 했는데...ㅜㅜ
4번 죽음관(20~30%대) - 3점
11번 동양윤리(30~40%대) -2점
13번 국어형 과학 지문(30~40%대) -3점
위 세 문제에서 1~2개만 더 맞으면 1컷 44~46되는 시험임.
(정답률은 ebsi와 메가스터디 정답률 참고했음)
지금부터 간단 풀이????임
1. 풀이 안 함. 풀이가 필요없음.
낯선 주제이고 지식이겠지만, 지식 난이도는 낮음.
낯설다와 어렵다는 다른 것임.
이 둘을 구분해야 하위권에서 탈출할 수 있음.
2. 쟁점은 100% 독해임.
틀리면 진심 '국어' 샘을 찾아가시길.....
3. 국어로 풀림. 틀리면 국어샘 찾아가면 됨.
ebs에 아리스토텔레스 나와서 평가원이 연계했다는 생색내려고 출제한 문제 같음.
선지 ① 판단은 제시문 첫 줄 그리고 중간 아래 쯤에서 판단 가능함. 악인을 모방함. 악인을 재현함. 그러면 이 선지 문제 없음.
이걸 지식으로 접근했다면 플라톤-도덕주의-①로 판단해서 틀릴 가능성 높음.
님들은 플라톤이 누군지는 알고 있음??? 나는 잘 모름.
그래서 최소한 평가원은 일단 제시문에 집중함.
4. Zola의 1컷 예상이 빗나가게 한 문제 중 하나임.
예상 정답률이 20~30%대임.
갑 도가, 을 불가임. 사상가 필요없음.
②하신 분들 님들 인륜, 천륜이 뭔지 앎? 이게 어디 나오는지 앎? 이게 무슨 사상인지 앎?
인륜은 기출(평가원)에도 나오고 교육청에도 나옴.
참고로 Zola는 교육청'도' 풀어보라는 입장임(샘들마다 입장이 다름).
내 기준에서 선지 ⑤는 바나나 선지임.
2월 중순에 올라올 [Zola 생윤 O <바나나 제거 특강>]을 권함. 강의 들어보시길...
5. 독해일까?
엘리아데는 늘 강조하는 사상가 중 하나임. 공부 조금만 하면 됨.
이번 문제는 쉬운 편임.
왜냐하면 정답되는 선지가 너무 윤리틱함....선지를 고민하게 하지를 않음...
6. 요나스임. 공부 좀 하면 됨. 힘내셈~
7. 3단 논법(도덕적 추론 모형)임.
솔직히 3단 논법은
중3도 풀 수 있는 애가 있고,
고3도 풀 수 없는 애가 있음.
이런 게 공부의 기본기임.
이 지식은 생윤뿐만 아니라 여러분 입시와 인생에도 도움이 되는 것이기에
Zola는 기본 논리 구조 별도로 시간내서 가르침.
올해는 작년과 달리 별도 강의로 강의했음.
[Zola 생윤 1 <개념의 모든 것>]
8. 무난하게 잘 풀었습니다. 칼뱅, 순자인데, 이 문제는 사상가 몰라도 대충 윤리빨, 국어빨로도 풀림.
9. 환경윤리 딱 평균치 정답률 나옴. 40%~50% 전후.
ㄹ은 바나나 선지.
ㄱ과 ㄷ은 개념형 선지.
ㄴ은 ... 하도 답답해서 유투브에서 한 소리 했음.
ㄴ 틀리신 분은 아래 영상 8분부터 한 번 봐보셈. 님들이 진짜 궁금함....
https://www.youtube.com/watch?v=j_4hpG3P4C8
10. 소거법+독해로 풀림.
일단 ㄱ 홉스 몰라도 사회계약론인 걸 알면 개념적으로 제낄 수 있음.
(근데 다들 홉스인 걸 알겠죠)
ㄷ은 독해로 제끼면 됨.
ㄷ 판단 틀리신 분들이 또 답답해서..유투브에서 간단 풀이했음.
아래 강의 2분 30초 정도부터 보면 됨. 제발 좀 읽고 판단해라!!!
https://www.youtube.com/watch?v=---eET8Pq_o
11. Zola의 1컷 예상을 빗나가게 한 문제 중의 하나임.
정답률이 30~40%대임.
선지 ① 틀리신 분들한테 궁금한 것이 있음.
본성 형성(생성, 만듦) O? X? 이거 알지 않음.
만약 모른다면 드릴 말씀 없음(공부 안 한 거임).
만약 안다면....왜 틀린 거임?
'수오'가 뭔지 몰라서? 아니면 문장을 끝까지 안 읽어서???
필요 지식: 본성-사단-수오지심-생겨남(형성됨)XXXXX
제 강의는 동양 윤리의 기본 강의에 해당함
[Zola 생윤 1 <개념의 모든 것>]
12. 국어임.
13. 국어임.
근데 Zola의 1컷 예상을 빗나가게 한 문제 중의 하나임.
정답률이 30~50%대임.
바나나 특강할 때 이런 독해 문제를 맞추다가 틀리다가 틀리다가 맞추다가..
이러는 바람에 님들 등급이 불안정하다는 지적을 했음.
당연 올해도 할거임. (이 문제는 올해 바나나 제거 특강에서도 다룰 것임.)
근데 솔직히 국어 4등급도 맞출 수 있는 게 생윤 독해 문제임!
국어 과학지문(정확히는 과학철학)이라고 생각하고 다시 한 번 풀어보세용~~
틀리신 분은 아마 유일한 사탐 '독해' 강좌인
[Zola 생윤 O <바나나 제거 특강>]을 권함.
14. 일단 ㄱ을 제껴야 함. 기출임.
ㄴ/ㄷ은 공리주의 개념 응용으로 풀림.
이것도 너무 개답답해서 유투브서 언급함.
아래 영상 5분 전후로 보면 됨
https://www.youtube.com/watch?v=---eET8Pq_o
여튼 공리주의 개념 응용으로 ㄴ/ㄷ 판단이 되면 이 문제는 정답률이 100%임.
참고로 ㄹ은 좀 공부가 필요하긴 한데, 기출 선지 가지고 연결 가능함.
틀리신 분들은 일단 공부를 더 해 보셈.
15. 음....어떤 분이 바나나 제거 특강 듣고 가서 살아남았다고 하던데
일단 공부를 했다고 한다면 ㄱ, ㄴ 판단이 중요함.
ㄱ, ㄴ 틀리신 분은 사회계약론 공부를 다시 해야 함.
롤스인데 뭔 사회계약론???...이런 생각을 하신다면 롤스 처음부터 공부하시길 권함.
ㄷ 틀리신 분들아...노직 입장에서 우리나라는 최소국가는 아니지 않나?
근데 우리나라에서도 개인의 소유권리는 있지 않나? 뭐가 문제지? 왜 틀린 거야???????
ㄹ은.....님들 중에 권리 '제한'과 권리 '침해'를
헷갈려 하는 분들이 많은 것이 현실임을 알고 있기에
더 이상의 설명은 하지 않겠음.
권리 침해와 권리 제한 구분부터 먼저 할 수 있기를 바람.
'침해'와 '제한'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은 국어이지 않나요????
16. 선지 ① 보면서 뜬금없이 왜 지금???이라는 생각을 해 봤음
(7~8년전에 나왔으면 납득했을 것 같은데)
작년 자료 교재 루소 부분 일부임.
루소 응보론을 이렇게 적어둔 이유가 있긴 한데
자세한 것은 나중에 말할 기회가 있을 것임.
④는 루소-베카리아 모두 계약론이지만 사형제에 동의/부동의하는 것으로 풀면 답 나옴.
(근데 나는 다른 부분에서 좀 의문이 남음...)
17. 선지 ① 선택하신 분들아
님의 심정은 나도 개씹공감함.
사기꾼 새끼들 잡아서 족쳐야 함......참고로 내 자전거 훔쳐간 도둑놈 새끼도 잡아서 족쳐져야 함...
그딴 것들이 나와 같은 인간이라고 생각할 수 없음...도저히...쓰블....
근데 칸트는 그렇게 생각 안 함...
칸트는 살인자도 생득적 인격성은 있다며...
18. 평가원이 잘 낚시(?)한 문제 같음...
일단 선지 ①을 보고
롤스 다수의 정의관 OX로 판단했으면 선
지 보는 눈을 길러야 함.
하나 더. 국어로도 추론 가능할 듯.
펑가원이 제시문에서 굳이 '공공적 정의관'이라고 명시해준 것은
수험생들을 위한 배려이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해 봄.
또 하나 더. 23-9-8 제시문과도 연결 가능함. 자세한 분석은 생략함.
여튼...롤스.....시불하겠다는데 뭔 말이 그렇게 많은지...쓰블...
선지 ②는 너무 눈에 보이는 함정(?)이지 않나요??????
차등의 원칙에 '어긋나는' 법은 시민 불복종의 대상은 아님.
1년 열심히 공부한 수강생인데 ② 선지에 말려서 틀린 분이 있어서
개인적으로 너무 아쉬운 문제입니다.....ㅜㅜ
입시를 가르치면 님들의 감정이 전해질 때가 있어서....힘듦
19. 정답률이 50%대여서 조금 놀랐음. 왜??? 그 정도 문제는 아닌 것 같은데..
앞에서 너무 힘들어서 그했던 것 같다는 생각을 해 봄.
예전에 비슷한 상황이 한 번 있긴 했음.
1컥 41점 나온 시험이 이전에도 1번 있었는데
그때도 독해형 문제인데 수험생들이 앞에서 너무 당황해서
4페이지 문제를 너무 허겁지겁 풀었다고 함.
이런게 입시 경험인데 이런 경험은 안 하는게 좋음...
여튼....
칸트의 영구평화론은 통으로 외우는 지식형 주제임.
글고 선지 ⑤는 바나나&기출 선지 아님?????
바나나 특강에서도 비슷한 선지 다루었음.
유투브에 올라갈(촬영은 끝냈음) <주제 8 생윤이 무근본이어서 개꿀이다> 꼭 보시길 바람.
(현재 주제 6까지 올라갔으니 1주 혹은 연휴 생각하면 2주 정도 더 있어야 할 듯.)
유투브에 6평 전까지
50개 이상 영상의 본영상(쇼츠 말고 10분 내외짜리)이 올라갈 예정임.
생각날 때마다 조금씩 봐 두시길 바람.
이것도 쌓이면 양이 꽤 많음.
20. 수능 생윤 강의할 때 통일 주제 강의 안 함.
틀리신 분은 국어샘 찾아가셔야 함. 진짜 농담 아님.
대충 이러합니다.
열공+즐공=대박!!
덧붙임.
(1) 나도 프리패스있음.
https://special.orbi.kr/threepass2026/
(2) 나도 현강있음.
2월 단과 현강 안내
https://class.orbi.kr/teacher/164/notice/116659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서울 교대와 고대/서울대 국어교육과 비교하면 어디가좋을까요? 9
표점 542에 이번에 올 1나왔습니다. 서울교대나 서울대국교,고대국교 쓸수있다고...
-
1. 이과기준으로 가기 어려울까요??2. 졸업후 진로가 어떻게 되나요...? 보통...
-
(색시한 BigJohn) 수능 알짜 비법(선택지 구성)! 0
- 지문을 읽고 난 뒤, 찍어야 하는 선택지 비법 - [선택지의 특징] 1. 지문...
-
(색시한 BigJohn) 이 놈의 EBS와 기출을 어떻게 해야 하나요? 10
안녕하세요. Big John 입니다. 이미지가 요즘 잘 안 들어가서 저의 특기인...
-
병원에서 일할수 있나요?
-
ㅇㅇ국가적으로는 좋은 일이 아닐 수 있겠지만,개인적으로는 공무원보다 나은 선택지가...
-
30대 아재가 들려주는 진로 선택에 관한 조언... (동사서독님글펌) 9
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
-
2달 전 부터 9급 준비하는 22살 남자입니다 국숭라인 공대다니다가 물리랑 너무...
-
언제부터였는지는 모르겠지만 방귀를 남들보다 많이 뀝니다.큰거 마려울때 방귀가 나오는...
-
좋은 명언이 있어서 같이 공유해요 :)
-
로스쿨 준비하시는 분들 SKY 아니라고 좌절할 필요 없습니다 8
저도 사법시험은 꼭 남아야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지만(왜 대학원까지 나와야만 법조인이...
-
전기전자 기계 컴공... 이런곳은 뭐랄까 '내가 이 학과를 나와서 취직하면...
-
저는 pd가되고싶은데요 사람들이 과는 중요치 않고 간판이라는데sky 체교도 될수있나요?
-
출처는 서울대 로스쿨 홈피- 합격자 학점(GPA) 평균 : 96.0 (66%의...
-
오르비에도 사관학교 준비하는 상위권 수험생들 많을텐데 (특히 요즘같이 취업 힘든...
-
(스압) 전문의 공보연 대체복무등등 다 사라졌을때 방법 3
1. 고시를 합격한다 (문과는 행시나 외교관후보시험 / 이과는 기술고시)장점 :...
-
행정고시- 총 3차에 걸쳐 실시되는데 1차 붙기도 어려움. 1차 PSAT의 경우...
-
오늘, 전문연 등 박사 전문연구요원의 병역 특례를 폐지한다는 결정을 담은 기사를...
-
이과 반수생인데 gist에 관해서 질문드리고 싶은게 몇가지 있어서 그러는데.....
-
로스쿨 준비생인데 여기 계시는 분들은 부디 저같이 후회하지 말라고 써봅니다...
-
문과에서 교차지원하셨으면 더더욱 좋고요.. 과에 대해서 궁금한 것들이 많은데 좀...
-
학부는 경희대 국제학과입니다. 어릴 때 부터 자동차에 관심이 많았던터라 자동차...
-
이쪽에 관심이 좀 있어가지구요... 근데 건축쪽이 아무래도 좀 어둡다 어둡다 하니까...
-
참고로 50%에서 50% 증가하면 75%, 50%P 증가하면 100%입니다.
-
의대에 안 가는 거에 꼭 대의가 필요하진 않습니다 11
의사라는 직업이나 의대를 폄하할 생각은 전혀 없고요. 의대와 다른 곳(여기서는...
-
현재 석사 마치고 직장 근무중(군대 전문연구요원 대체복무 준비중)(학부는 포항공대,...
-
지극히 주관적인 의견입니다.현재 중경외시 행정학과 다니고 있는데솔직히 다른 학과...
-
불안장애 1
현역시절 재수는 필수라고 생각하고 입시를 안이하게 생각했습니다. 당연히 재수를...
-
안녕하세요 공군복무중인 군인입니다 10개월 남았구요 건동홍 라인 기계공학과 다니다가...
-
신문방송학과 (a.k.a. 언론홍보영상학부, 커뮤니케이션학과, 미디어학부,...
-
재수하고 대학 1학년때까진 오르비를 쭉 보곤 했는데 어느샌가 천지개벽이...
-
이게 문제가 생기자...이렇게 바꿈...명예퇴직을 거부한 직원에게 ‘면벽(面壁)...
-
작년 수능치고 수시로 입학한 16학번입니다. 수시로 간놈이 무슨 미련이냐고 하겠지만...
-
미녀사감? Ji사감과 함께 일할 원장/실장 모집 !!! 18
안녕하세요. 오르비 독재학원 5호점 오픈을 준비하고 있는 Ji사감입니다. 저번에는...
-
오르비 를 운영하는 무브 주식회사가 비둘기 새끼 디지털 마케터를 뽑습니다창의력 대장...
-
로스쿨 4
로스쿨을 진학 목표로 하고있는 새내기입니다. 로스쿨에 진학하려면 학점 리트등 공부를...
-
국과수 법유전학과에 들어가고싶습니다. 질문드려요 꼭 답변부탁드려요. 1
정확하게 어떻게 들어가는지가 궁금합니다. 현재 목표대학은 서울시 상위권대학이구요,...
-
둘 중에 뭐가 더 어려울까요?? 궁금궁금
-
법조인으로 살고 싶은데 사시는 사실상 폐지 같고... 로스쿨에 가고싶습니다. 이번에...
-
이과 공기업 3
음 오르비에서 의대vs공대 싸우는것 보면 고용안정성이나 정년 얘기가 많던데......
-
대기업 vs 의사 핵심 29
점수가 안겹치는대 요즘 계속 자꾸 대기업vs의사 구조네여. ㅋㅋ오르비님들 의대...
-
물론 법무사에 관심있으신 분은 많지 않겠군요 ㅋㅋ 인지도도 크지않고 변호사의...
-
회계사에 관심있으신분 13
인터넷에 떠돌아다니는 회계사업계현황같은 것들을 주저리 떠드는 것입니다. 진로에...
-
나이 상관없이 바로 취업, 자영업 할 수 있는 전공이 뭐가 있을까요? 4
제가 나이가 좀 많아서요. 30 좀 지났어요. 대학졸업 후 나이상관없이 바로...
-
맨날 취업률 취업률만 이야기해서 문득 대학원을 얼마나 가는지 궁금해졌습니다. 그래서...
-
자신의 일부 경험을 기반으로 완전히 일반화 하시는 분어디서 카더라 통신듣고 와서...
-
저 두 학과중 뭐가더 비젼이 더좋을까요..? 선택할수있는상황이라 여쭤보겠습니다...
-
수의대, 약대 6
수의대 가는거랑 약대가는거 중에 뭐가 날까요? 약대가면 제약회사나 화장품회사 쪽으로...
-
딱히 진로는없는데 국제기구에서 종사하고싶네요.. 진로찾는데 뭐가 도움이 될까요
-
왜 많은 사람들이 모든 공대를 뭉뚱그려서 얘기해요? 제가 지켜본 바 전문직 전망...
안 쉬시나요???ㅋㅋㅋㅋ
빠나나 ㅋㅋㅋ
빨리 올해 빠나나 강의 찍고 싶어서 몸이 근질근질합니다...ㅋㅋ
열공+즐공=대박!!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생윤 첨공부해서 막막한데 생윤은 개념을 달달 외워야 하나요 아님 기출하고 개념강의를 병행하는게 좋나요? 현돌 기시감 사놓긴 했습니다
지나가는 n수생입니다. 선생님이 시키는 것 반의 반만해도 1등급 가능합니다.
달달 외울 것도 있고 아닌 것도 있어요
감사해용~~올해는 좀 쉽게 나왔으면 좋겠네요...ㅜㅜ
외울 것도 있고 아닌 것도 있는데...일단 처음 시작하시면 개념 강의 들으시구요, 그 샘의 방식을 일단 따라가세요. 저는 외우는 부분과 응용, 독해 부분이 나눠진다는 입장이구요...기출하고 개념 강의는 병행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열공+즐공=대박!!
국어1등급인데 이번 생윤에서 털린 이유가 뭘까요?
백분위80떴고 평가원 고정 높2였습니다
털렸다는 게 3등급 혹은 4등급? 어차피 조건은 같았기 때문에 3등급 이하 받았다면 인강이나 교재에 문제 있었던 것임. 국어 1등급 받을 정도면 중간은 넘을 텐데
낮은3떴고 임정환림잇하고 현돌 대충 풀고 수특수완하고 실모조금했는데 제 ㅈ대로한듯
아는 선지라고 너무 덤빈건(?) 아닐까요???? 아니면 너무 당황해서 오히려 혼자만의 생각에 갇혔든가....
혹시 한번 더 입시를 해야 하는데 나름 이유를 알고 싶다면 쪽지로 틀린 문제와 본인이 풀었던 사고의 흐름을 알려주세요..제 나름대로 분석해 보도록 할게요...열공+즐공=대박!!
쪽지 보냈어요!
결국 결론은 학생들이 어려워했던 이유가 낯선 제시문이나 선지도 지식+독해력으로 풀 수 있어야하는데 지식으로만 풀려고 하다가 낯설어하다가 털렸다는거죠?? 궁금한 게 생윤이라는 과목의 만점까지는 어렵더라도 1컷까지 생윤에서의 독해력(?)을 기를 수 있는 공부법은 무엇인가요? 그리고 그 공부법으로 하다보면 수능에서 당황하지않고 음~ 이건 독해력~ 음 이건 지식~ 하면서 풀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개인차가 있고, 문제 난이도 차는 있겠지만 아래 글이 실제 수강생이 보내준 손편지 내용 중 일부입니다. 저는 연습이 되면 어느 정도 가능하다고 봅니다. 위에서도 '바나나 제거 특강' 덕을 봤다는 글이 그 사례입니다.
[정말 제시문에 나와 있는 그대로 읽어 이해하고 충분한 상식 선에서 유추가 가능한 필자의 주장까지 포괄하니 강조해 주신 선지 뿐만 아니라 다른 선지도 단순 일치 불일치로 풀려서 놀랐습니다. 또 지식 차원의 선지도 금방 눈에 들어오게 되더라구요. 선지를 읽자마자 어느 차원에서 접근해야 하는 선지인지 보이는게 신기했습니다.]
분명한 것은 안 하는 것보다는 하는 것이 점수 향상, 현장 대응력 기르는데 도움이 된다는 거겠죠.
열공+즐공=대박!!
50 받고 대학갑니다.. 효자과목
50..ㅎㄷㄷ...축하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