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필의 테두리 4
색깔이 진할 수록 좋은건가요?
-
독서론 -> 독서 1,2번째 지문 -> 언매 -> 독서 3번쨰 지문 -> 문학...
-
왠지 피자 각인데 님들 피자 어디꺼 드심?
-
슈퍼스타는 2
까와 까를 미치게 한다
-
고소하겠습니다. 2
야
-
맞팔구 조금만 열심히 하면 은테까진 쉬움 금테는 레전드 뻘글을 몇개 쓰거나 칼럼을...
-
https://orbi.kr/00024616378/%EB%AC%B8%ED%95%99%...
-
맨날 보는 사람들 밖에 없는데 아 그냥 부계 하나씩 파주세요
-
밖에 돌아다니는 커플들 아니 주변 친구들만 봐도 그저그런 얼굴이나 솔직히 조금...
-
말로는 설명 못하는 묘한 끌림이 있는 사람이 있단말야
-
과제 해야지 2
보고서 다 쓰면 오겠다.
-
3모 성적 = 수능 성적이다. 탐구 한두등급 오르는 정도. 오르는 학생은 진짜 극소수라고 봄.
-
노베인데 수특 독서 풀면 도움 될까요? 수특 문학은 중요하다해서 하고 있습니다.
-
재생이되었으면 좋겠다
-
님들도 지금 방에 모기 들어옴? 아니 창문을 못 열겠노 방충망 뚫고 오는 건가
-
다니는 독서실 (잇올같은데에요)에 좋아하는 딴 학교 분이..있는데 서로 친한 사이도...
-
혀녁땐가 4
친구가 의자왕 에디션 인강커리탔는데 인강만 하루에 8시간씩봄.. 근데 인강공부법으루...
-
미분파트 가형부터 21 30번급만 쭉 풀었는데 이게 젤 오래 걸림... 계산이 ㅈㄴ많네
-
어떤 질문이든 좋습니다
-
이제 나도 어둠의 현강자료 받는다 히히
매체파트는 오히려 미컴이 관련전공 아닌가
너무 억지인가 ㅋㅋ
어쨌든 교육과정상 '국어과'의 과목인 건 또 맞기도 하고, 언론/미컴의 전공 포인트가 들어가기에는 애초에 교육과정이 너무 얕긴 해요... 그냥 이건 독서랑 묶어서 전공자가 따로 없다고 보는 게 더 맞을 듯
근본적으로는 교육과정 및 현 시험의 매체 파트 자체가 억지로 들어간 내용이긴 합니다 ㅠ
인정합니다 ㅋㅋ 그냥 문제수 끼워맞추기용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님..
문법이 독립된 과목으로 놓기에는 양이 적고 애매해서 자꾸 여기 붙였다 저기 붙였다 하는데 이번 교육과정에서는 (수능을 떼놓고 봐도) 억지로 매체랑 엮으려다 실패했죠...
이전 교육과정에서는 '독서와 문법' (독서와 한 지붕)
이후 교육과정에서는 '화법과 언어' (화법과 한 지붕)
국어가 전공과 관련없는 경우가 또 많죠
직접적인 특정 강사 저격이 될까 조심스럽기는 하지만 전 문학과 문법에서는 상기한 '전공자의 인사이트'가 가지는 이점이 분명하다 생각해요
이부분은 저도 극히 공감합니다.
독서는 몰라도 이 둘은 무저건 전공자로 들었어요 저도
이게 가끔 수능판에서는 전공지식에 대한 과대포장이 있는것 같기도해요
막상 진짜 공부는 석사부터 시작이거든요....
학사는 걍 아~무것도 전혀 모른다고 보면되요
그래도 일단 학사도 전공이니 전공이라고 치면
문학은 확실한 전공자들이 많은데
문법은 잘,,, 없고 해도 국어교육과에서 학사커리큘럼에서 잠깐 건들고 가는 정도고
독서도 국어교육과에서의 독서커리큘럼은 대부분 진짜 독서다보니 수능에 도움이 될건 딱히 없죠
일단 저도 학부를 졸업했기 때문에 아무 것도 모른 채로 쓴 글 아니고요,
오히려 대학원이야말로 (전공에 따라 차이는 있겠으나) 학위논문과 관련된 자신의 주 세부전공과 그 밖의 전공 내용에 대한 지식 편차가 크겠죠.
그리고 아무리 국내 어문계열에서 문학의 비중이 높은 편이라고 해도 국어국문학과에서 국어학은 국문학과 대등한 위치입니다.
정석민
김범준or 박승동
션티
렛츠고
뭐야 킹범준 건축이네 ㄷㄷㄷㄷㄷ
션티가 ㄹㅇ.. 전공도 전공인데 영포자에서 통번역대학원까지 간 레전드 인생이셔서 어떻게 가르쳐야 좋은지를 넘나 잘 알고 계신 느낌
수능 수험생들이 통대의 위엄을 잘 모르니까 통역장교를 이력에서 더 강조하시는 거 같은데
외대 통번역대학원은 입학만으로도 한국어와 해당언어 준네이티브 이상 보증수표나 다름없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