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한 상쇄 풀이는 오류가 아닙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570408

h(x)의 식이 우극한으로 정리된 형태라 복잡하니
g(x+) x g(x+2)로 편하게 바꾸겠습니다 다른 보기는 넘어가고 ㄴ보기만 보겠습니다
h(x)의 연속 여부를 따지고 있습니다. 일단 의심되는 지점으로 1, -1 , -3지점을 잡는건 당연하고 직접 함수식을 적어서 다뤄도 되지만 저는 g(x+) x g(x+2)의 극한식에서 처리했습니다 (두 관점이 정확히 같습니다)
h(x)의 좌극한값을 파악할때는 x값을 정의하는것이 뒤의 우극한을 보내는 것 보다 우선입니다 x를 1보다 작은 값, 좌극한 값으로 이미 정의되어있으니 뒤의 우극한이 붙어있어도 1의 왼쪽의 값을 보는것이 맞습니다.
즉 사진에 첨부된 것 처럼 g((1-)+)의 이중 극한 형태는 결국
g(1-)로 볼 수 있으니 결국 f(1-)와 같습니다 이때 f는 다항함수라는 조건이 있므로 f(1-) =f(1)과 같게 볼 수 있고 이 경우가 흔히 상쇄의 케이스로 말해지는 것 같습니다 이 경우 f(1)=1임을 확정할 수 없으므로 ㄴ 보기는 모순입니다
풀이에 오류가 있다 생각하시는 분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23회 - 86분 100 전 어려웠음 24회 - 77분 100 이것도 어려운편..같은데
-
안녕 2
좋은 아침이야
-
(예고) 2
오전 10시에 업로드 예정 많관부
-
너무귀여움
-
D-225 0
영어단어 영단어장 day 2(80단어) 추가 표제어 암기 국어 내신 범위...
-
성적 오엠알 돌린거 오늘 나눠줫는데 국수영탐 12111인디 표점?으로 등수매긴거...
-
눈도 건조하고 미치겠네잉
-
내 생일이 17일이여서
-
진짜 잡니다 2
하 7시일어나야하는데 수행도 있고 몸은 아프고 정신도 왔다갔다 하고 에휴
-
그래서 지금은 작년에 리트 풀다 남은거 끄적이는 중인디 앞으로도 걍 강의 거의...
-
취르비 질받 0
사실 한병이라 거의 안취함
-
무물보 받아요 2
일하느라 잠못자는중
-
차단한 사람이 탈릅하면 차단이 해제돼서 그 사람이 썼던 글들이 다 보인다
-
현역 74347 입니다(화작 미적 지1 물2) (물2는 가오용) 시립 경희 홍익...
-
인생을 살아 제발
-
음식 자주 끼네 님들은 평소에 양치 잘 하셈
-
한 10개 남았는데 완결까지 극장판을 봐서 결말을 아니까 슬픔
-
첫번째 별은 사랑 너와 나는 둘이면서 하나 두번째 별의 소원은 거기 있는 너는 너,...
-
잘자요 6
조용한밤
-
와 갸졸려 ㅁㅊ 5
근데 게임 일퀘 안한거같아 어제도 안하고 그냥 잠들었능데
-
한계를 느꼇다 0
진짜 도무지 모타겟다 GG
-
한의대가고싶어 근데학교수업도듣고생활도하고공군준비도하고수능준비도해야되고알바도해야됨
-
잠 이 안 와 4
ㅈ 대 따
-
시간 ㅈㄴ 빠르다 ㅋㅋ
-
50만원 날림 6
메가스터디 환급 4/2까지인 줄 알았어요 안 그래도 돈 모자라서 힘든데 다른 일로...
-
ㅈㄴ 빨리 먹기 ㅇㅇ
-
제발 내 마음 설레이게 자꾸만 바라보지 말아요 아무 일 없던 것처럼 그냥 스쳐...
-
. 7
(삭제) 매일 일상이 잇올간다 or 쉰다밖에 없는 요즘 2주마다 쿨 도는 대로 바로...
-
여친이랑 맞춘건데 차임 아.
-
억잠 자러 감 2
학원 일 끝나고 자버려서 잠이 안 오네요 그치만 난 아기정벽이니까 코코낸내햐야지
-
야간뇨 탁한 소변 배뇨통(작열감)있는데 큰 병은 아니겠져
-
올리는 글이라곤 개버러지쌉똥글뿐인데 왜 굳이 팔로우를 하는걸까
-
뭐 집중하거나 불안할때마다 뜯어제낌..
-
이거 흉진거 어캄 19
친구들이 자해 했냐 이러던데 그건 아니고 팔찌 안빠져서 걍 뜯었다가 ㅇㅈㄹ됨
-
오늘 그냥 사문 기출 끝까지 조져서 마스터해야지 6평목표(백분위) 언매 98 확통...
-
가 이 세상에 존재할까 죽을때까지 못 만날듯
-
연세대에 갈거야 8
연세대가면 알바 빠짝해서 500벌고 300짜리 중고차 사서 송도에서 차타고 서울도...
-
매새에 소주 6
일단 까자
-
아 과제 ㅈ같다 1
9시에 발표인데 PPT 아직 못 만듦 살자마렵다
-
지금 개때잡,쎈 풀고있는데 쎈을 풀때 너무 안풀릴때가 많아서 자주 답지를 확인하는데...
-
셀럽미.해보앗다 1
무쌍이라그런가 뭔가 무쌍분들 많이나오는..
-
물론 김치랑 김 꺼내서 같이 먹음
-
언제왕 ?
-
안할거임 과정에서의 힘듦을 타인에게 의지하는 것으로 회피하지 않고 온몸으로 느끼며...
-
담배 끊을생각없어
-
오늘 하루도 너무너무 고생하셨어요 ( ˶ー̀֊ー́ )੭ 내일은 더 나은 하루가...
-
셀럽미 결과 5
흐음 딱히 안 닮았는데
-
맛은 있음
-
거울봣음..
-
너무 신경쓰고 그럴 필요 없음
아니요 정확히는 그 개념자체가 틀린거에요
이 문제푸는게 중요하기보단
그래서 다른 문제 나오면 틀릴수있어요
본문에 나온 부분 중 개념 오류는 없다고 생각하는데 어느 부분이 틀렸다고 생각하시나요??
위에서 쓰신 풀이는 아무 문제도 없어요
문제는 “g((1-)+)” (=lim (x->1-) lim (t->x+) g(t)) = g(1)이 다항함수가 아닌 케이스에서 일반적으로 성립하지는 않는다는 거죠
극단적으로, g(x) = 2(x-1) sin(1/(x-1)) (x<1, x는 무리수), (x-1) sin (1/(x-1)) (x<1, x는 유리수), 0 (x>=1)에 본문의 논리를 적용하려 한다면, g((1-)+) = lim (x->1-) g(x)조차 성립하지 않아요(첫 번째 극한은 정의되지 않지만, 두 번째 극한은 정의됨)
극한상쇄 풀이가 욕먹는 건 마치 항상 성립하는 내용처럼 말해서 그런 거에요
예를 들어 방정식 dy/dx = 1, y(0)=0을 y에 대해서 풀 때, 위아래의 d를 ‘약분‘해서 y/x=1, y=x와 같이 얻는다면 답은 맞고 풀이도 ‘미분계수=기울기‘라는 점에 집중하면 어느정도 정당화가 가능하지만, dy/dx = x같은 거에서는 성립하지 않으니까 바람직한 풀이는 아니겠죠
저는 2024 6월 미적분 28번과 같은 상황이라 생각하는데요 그 문제 역시 특정 풀이법 (f(x)를 구하는 것 등)이 문제 조건이 조금만 바뀌었어도 바람직한 풀이가 아니라는 논란이 있었죠
고등 수학과정에서 출제진들이 바라던 풀이는 딱 본문정도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풀이는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 상황하에서 성립하면 문제가 없는거지 굳이 문제에서 나오지 않은 상황을 생각하여 문제삼는게 필요가 없다는게 제 입장입니다.
조금 더 예시를 들어보면
당장 우리가 도함수의 극한의 존재여부로 함수 f(x)의 미분가능성을 따지는게 (연속임이 전제 되었을 경우)
수학 2 문제에서는 전혀 잘못된 것이 아니잖아요?
그런데 우리가 굳이 xsin(1/x)과 같은 무한 진동함수의 반례를 생각하면서 도함수의 극한을 쓰는게 옳지 않다!
라고 하지는 않습니다
실제로 님이 문제삼으시는 문제의 형태가 나왔다면 상쇄라는 해당 풀이는 애초에 나오지 않았다는게 제 입장입니다
저건 아예 글의 기본적 가정조차 성립하지 않는 극단적인 케이스로 잡은 거고, 그냥 g(x)=x (x<1), g(x)=0 (x>=1)만 들고 와도 g((1-)+)=g(1)이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 건 알 수 있어요
진동 발산의 케이스는 g((1-)+)=g(1-)조차 성립하지 않는 걸 보여주려고 제시한 거에요
그 상황은 다른 상황을 제시하셨으니까요
상쇄가 가능했던 "이유"는 수능 14번 문제의 경우에는
f(x)가 다항함수라 좌극한 값이 곧 함숫값으로 확정이 되성 가능했던 거죠
저 상황에서는 잡으신 함수에 우극한을 취해봤자 그대로인 함수가 되는거니 당연히 g((1-)+)는 함숫값과 같지 않는거니 저런 상황이었다면 애초에 상쇄 풀이가 나오지 않았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앞에서 말했던 거랑도 겹치는데, “현우진은 극한상쇄, 즉 g((1-)+)=g(1)과 같은 식이 항상 성립한다고 주장한 게 아니라, 그 문제의 상황에서만 성립한다고 말한 거다“라고 밀고 나간다면, 해설에서 답이 틀린 것도 아니니까 ‘해설에 오류가 없다‘고 말할 수는 있어요
문제는, 글쓴이님과 다르게(그리고 현우진 강사님의 의도와는 별개로) 대부분의 학생들은 저 극한상쇄를 항상, 또는 최소한 문제의 상황보다 훨신 넓은 범주에서 성립하는 걸로 이해했다는 거죠. 그래서 오개념 논란이 생긴 거고요.
수학은 객관성의 과목이지만, 결국 자연어에는 애매함이 있을 수밖에 없어요. 하지만 현우진 강사님의 말을 객관적으로 해석해서 해당 풀이가 어떤 의미였는지를 알 수는 없어도, 아직도 231114의 수분감 해설을 듣고 오개념을 가진 채 질문하는 학생들이 있는 걸 보면 바람직하지 못한 해설이라고는 할 수 있을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