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대일대응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534667
일대일 대응이 일대일함수이면서, 치역=공역인거잖아요. 문제에서 두 일차식이 둘다 기울기가 양수거나 둘다 음수면 일대일 함수가 되는건 이네했는데, 치역=공역인건 치역은 실수전체인데, 공역은 알수없지 않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CD플레이어 돌리니까 음악이 아니고 대사만 나오길래 하. .. 내 돈
-
아쿠아 프사 8
가져가주세요.
-
아주 가소로워요
-
술이 들어간다 3
쭉쭉쭉쭉
-
비행기탑승모드를 켜요
-
덕코 돈주고 산다길래 경뽕에 취해서 그냥 지르는줄 알았는데 주급 3400은 ㅅㅂ...
-
숨진 파병 북한군 가족사진에 ‘개죽이’…한국밈 퍼진 듯 7
러시아에 파병됐다가 사망한 북한군 시신에서 한국 밈(memee· 온라인 유행...
-
많은 사람들을 웃게 해주고 싶어요 오르비의 원더쇼가 되.
-
해명하겠습니다 10
진심을 담아 적거나 비방하려는 글은 없었습니다 죄송합니다
-
별로 친하지도 않은데 확 그냥 차단해버릴까 얘 덕분에 방금 처음으로 활동 표시 기능...
-
가천대는 올 수 있어요?
치역은 공역의 부분집합입니다
치역이 공역의 부분집합인거는 이해했는데, 치역=공역인지 어떻게 아나요? 공역이 더 넓을수도 있잖아요
치역이 실수 전체인데 공역이 더 넓을 수가 있나요?
공역은 실수전체다, 라고 문제에서 말을 안해줘도 당연히 전제하고 있어야 하나보군요..
네 웬만하면 그냥 실수 전체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근데 공역=치역까지 고려해야 하는 문제는 거의 안 나오는걸로 알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