갠적으론 적성시험 취지 공감안가는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533631
적성을 제대로 측정하는지도 의문이고
다량의 지식을 얼마나 잘 숙지하고 있는지가 더 중요한듯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왜냐면 이제부터 기다림이 24시간이 넘을 때마다대가리를 존나 쎄게 쳐서 제 머릿속을...
-
이번주 진도문항 본교재 91번 어떻게 푸나요
-
이거 풀면서 똑같다고 나만느낌? 3모전에 나온건데 뭐냐 ㅋㅋㅋㅋㅋㅋ
-
6모 60일 남았는데 난 한게 없는 것 같고 실력은 그대로인 것 같고 그냥그럼 불안해서잠이잘안옴
-
피해망상 오지네 33
댓글 달았더니 반가워서 "오 준x씨 오랜만" 이렇게 댓글로 장난 한번 쳤는데...
-
5일차 ㅇㅈ) 2
3,4일차의 행방은 물어보지 마십쇼...
-
신고 완료 4
동일 뱃지 신상인지 확인 부탁드렸음.
-
확통 한완수를 하다
-
낼아침 4시간 과외
-
야 9
야 그냥 불러봤어 ㅎㅇ
-
하 시발 ㅈ됐다 진짜로 어카냐 나 반수해야하나
-
이대 교대 외대 여기 세개는 수시 선호도 높고 정시 선호도는 낮은듯 먼가 신기함
-
안되겟지
-
나보다 점수높은사람 오셈
-
무한n수드가자 0
학교통 개심해서 못견디겠음
-
파동끄읕 1
이제 전반사!
-
오야스미 7
코낸코내
-
진짠데.
-
내신 생명 2
서술형이 50%던데 그냥 달달 외워야 하려나요..?
-
한종철쌤 철두철미로 개념 돌렸는데 유전때문에 홍준용쌤 커리 탈려고합니다.. 개념서...
-
취미가 꽃꽂이라 하면 어떨 것 같나요?
-
미적분 빼고 하등 쓸데 없음 화학 물리 선택자 일반물리 일반화학 정도
-
메인 점령이야~ 0
다 합쳐서 좋아요 450개!!!
-
셔츠가 배꼽주변이 갈색이 되서 배꼽에서 피랑 진물나는거 확인함... ㅅㅂ 이제 감기...
-
한양대생들인줄 ㄷㄷ 과잠이 똑같네
-
아파서 시험공부 못하는게 힘들다고 하니깐 돌아오는 말이 애낳는게 더 힘들다는거라니…
-
라온힐조 얘임?? 13
재르비한거임?
-
아직도 서울 ㅡㅡ
-
plz
-
손
-
리젠이 멈췄다 2
-
11시 22분.
-
근데 이제 좀 일감이 많아서 피곤해짐 =_=.... 그래도 좋아하는 일과 공부를 할...
-
반으로 갈라져서 시네
-
50점 맞으면 되는 거 아닌가?
-
기술적취침 0
-
현우진쌤 카르텔 얘기한거때문에 못쓰겠다.. 리바이벌 제본할까 생각했는데 중고나라가서 찾아야겠다
-
사관 86점, 경찰 87점 사관은 뭔가 안어려운 느낌이였는데 4개나 나가고 경찰대는...
-
물리 고정에 화생지중 뭐할지 모르겠노 화학은 일단 ㅂㅅ과목이니까 거르고 생명 아니면...
-
학벌은 1
중경외시가 컷인거 같아
-
소주 7병 3
맥주 1.6L ㅎ
-
고3들 3모 보고 충격먹엇나봐
-
아..
-
대체뭐지
-
과외생을 위한 필기노트 10
교재에 개드립치는걸 좋아하는편
-
아쉽네 ㅠㅠ
모든 종류의 적성시험에 대한 글인가요
넹
MDEET가 극초반에 공간능력이라고 대놓고 공간지각 지능테스트를 넣었었어요
근데 그게 의치의학입문에 중요한지는 잘 모르겠긴.. 합니다
적성이 무엇인가, 또 어떠한 적성을 평가하고자 하는가부터 사실 골치아픈 주제인데
(그런 게 존재한다고 전제한다면) '순수 적성'의 측정에 가까워질수록 수험자의 노력과는 무관해지고 이는 노오력을 중시하는 우리 사회 분위기상 불평등하다는 인식이 쉽게 박히게 되는 것 같아요
맞는것같아요..그리구 저는 내용중심 시험에 이미 적성이 반영되어 있다고 생각해서 (적성에 안맞는 사람이면 그 양을 소화해서 합격하기가 어렵겠죠) 변칙적인 시험으로 변질되는 적성시험을 없앨 필요도 있다고봐요.. 적성이 어느정도 있으면 노력을 통해서 그 양을 소화한 사람에게 점수를 주는게 합리적이지않나 싶어요..! 만약 적성시험을 고수한다면 sat처럼 시험을 치르는 빈도나 횟수를 늘리는게 맞는것같슴다 연 1회시험을 적성 100으로 구성하는건좀..
SAT는 거의 매달 있고 그만큼 대입에서의 비중도 낮아서 동등하게 비교하기는 어려울 것 같아요
1994학년도 첫수능 때 2회 출제하고 '실패했다'고 인식돼서인지 다시 시도하기가 쉽지 않은가 봐요.. 아무래도 수능위주 정시모집 제도를 유지한다면 수능을 여러 번 치른다면 티오를 분할하거나 복수 응시내역 중 고득점 성적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해야 할텐데, 전자는 단일 시험 기준으로 정시가 더 헬이 될테고 후자는 회차 간 난도 조절이 이상적이지 못하다면... 난도 조절이 잘 안 된 회차의 성적은 대다수 수험생에게 휴지조각이 되겠죠
그렇다고 현행 정시 방식을 폐지한다면 국민정서상 후폭풍이 아주 클테니 그것도 안 될 테고 참 어려운 것 같아요
지금처럼 출제위원 장기 합숙에 영어듣기 시간 동안 비행기 이착륙 금지까지 거는 체제로는 다회차 출제에 부담이 크기도 하구요
이야기가 샜는데 결론적으로는 SAT처럼 자주 치려면 문제은행화 + (현행 방식의) 정시 폐지가 거의 필수적인 것 같고 그건 국민정서상 어렵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에요
하긴...그냥 좀 여러모로 쉽지않네요 에효이... 적성시험 선례를 보여준 미국이 적성시험을 다회 응시+비중이 낮다는 점만 봐도 적성시험이 특정 전형의 전부가 되는 것도 바람직한 건 아닌것 같은데, 한국은 너무 이 비중을 크게 도입을 해버리니 수험자의 부담감이 커진다고 생각합니다...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