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1 첨 공부하는 노벤데 이 문제 틀리먼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521061
문제 많이 풀어도 1등급 힘든가요?
제가 지금 일어나서 이 문제를 왜 틀렸나 생각해보니까 그래프 길이가 얼마나 감소했는지를 따졌어야 했는데 그게 안됐습니다.. 이건 n제 많이 풀면 극복되고의 문제가 아닌가요? 생1 첨 공부해서 저 문제가 어느정도로 쉬운건지는 모르겠지만 초딩도 맞추는 문제로 듣긴 했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kt Rolster가 수원특례시와 함께 e스포츠 발전을 위한 상생 협력 MOU를...
-
레어 확인용 7
-
고심리 핵빵이라 이거 뭐 심리테스트 하고 들어가네 ㅋㅋ
-
아....고려대 경영쓸걸
-
집합!!
-
특정당해도되겟지요..?
-
말이 안되긴했다 630대나 640대쯤에 몇명 걸려서 630대 엔딩일듯 그래도 올해...
-
왜 1월1일이징
-
정상임?
-
복학하면 공학수학 들어야되는데 고등과정부터 다 까먹었습니다.... 1
복학까지 얼마 남지 않아서 지금부터라도 빨리 복습해야하는데 복습을 어디서부터...
-
그래도 재밌었다.
-
합격증 보고 기분 풀리신?듯 고려대의 위력은 강하구나..
-
630점대로 고대 스나넣었는데 내가 붙을 가능세계가 있었다는걸 인정할수없다
-
서잡대 일안하나
-
아오시발 강기분들을거야... ㅠㅠ..
-
상상 올해꺼 1
상상 올해꺼 풀어보신 분들 난이도 어떠신지.. 저만 이감보다 어렵나요ㅜ
-
수능 백분위로 치면 어느정도길래 난리가 ㅋㅋ
저런건 기출만 풀면서 연습해도 안틀려요
개체수를 보고 거꾸로 얼마나 감소했는지를 약간 추론(?)해야되는 문제는 기존에도 많이 있었나요?
백호쌤이 이게 정답률68%인데 이번수능에서 특징적인 문제고 그부분에서 많이들 틀렸대서요ㅠ
안틀려요. 저건 진짜 배경지식이 없어도 읽고 풀어 맞추는게 가능함, 시간 들이더라도 실수만 안하면 됨. 작수 47점인데 저도 저 문제보고 당황해서 시간 좀 썼는데 맞히긴 했어요.
문제가 신유형이긴 할텐데 개념만 정확하게 적용하면 안어려워요. 근데 단순 개념을 묻는게 아닌 적용 문제라서 아마 그냥 한번 기출로 공부만 해두시면 더 안틀릴듯요
실전에서는 빨리 풀려다가 실수하기는 좋은 문제긴 한데 난이도 자체가 어렵게 느껴졌다면 부족한거 같긴 합니다
문풀량의 극대화로 섬세해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