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 1 단층 퇴적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389719
단층이 생기면 지층이 어긋나잖아요, 그럼 지층 높이가 달라지는데 왜 문제들을 보면 항상 단층 위에 퇴적되는 지층은 평평하게 퇴적되는 건가요? 어긋난 결을 따라 퇴적될 수는 없는 건가요? 반드시 단층 위에는 침식이 일어나서 평평하게 되는 걸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제 슬슬 다들 3
저를 팔로우하시죠 맞팔하겟읍니다
-
이아침에 신체검사 받으러가요
-
사러가긴너무 귀찮아
-
2023 수능이 마지막 수능인데 생1지1 86 98 나왔습니다 지1은 기억상 찍맞...
-
애들이 설잡갈바엔 경대가서 반수한다는 마인드or아예 경대 목표로 공부하는 애들도...
-
연치나 경희치같은 상위권 치대에도 많나요
-
진로 관련 질문 받아봅니다
-
취소표 계속 보다가 며칠만에 구함 ㅜ
-
오랜만에 안끊고 2시간째 보는중이에요
-
면접 정장입고옴 ? 19
수시 한사람 알려줘요 뭔다 정장이라는데
-
…
-
물리는 강민웅 5
강민웅
-
이거 진짠가요 그래프 생각만 해도 올라오는데 미적을 끌고 가야하나
-
1컷을 받고 싶으면 본인이 생각하는 만점 공부량을 목표로 삼는 게 좋음 그리고 가끔...
시간이 지나면 침식은 자연스레 동반되는거니깐요
입자가 그리고 쌓이자마자 딱 붙어잇는게 아니라...중력에 의해서 굴러가기땜에...
그렇다면 습곡이나 단층 위처럼 땅이 평평하지 않아도 그 위에 퇴적되면 그 위 땅은 아래 땅을 침식시켜서 평평하게 된다고 이해하면 되나요?
단층이나 습곡 이후, 어느정도 지면이 굴곡진(?)형태가 된다면 유체의 흐름
(바람 혹은 물의 흐름 -> 퇴적은 아무래도 물에서 더 잘 일어나므로 후자의 경우가 더 많겠네요.)에 의해서 굴곡진 면들이 침식되고 그 이후에 쌓이는게 일반적이라고 봅니다.
물론 평평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쌓일 수는 있어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