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 1 단층 퇴적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389719
단층이 생기면 지층이 어긋나잖아요, 그럼 지층 높이가 달라지는데 왜 문제들을 보면 항상 단층 위에 퇴적되는 지층은 평평하게 퇴적되는 건가요? 어긋난 결을 따라 퇴적될 수는 없는 건가요? 반드시 단층 위에는 침식이 일어나서 평평하게 되는 걸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그래야 불안하지 않아요 올해 무조건 될거라고 생각하는편
-
메디컬 목표로 성공할때까지 n수 박기
-
본명 좀 치우고 싶은데
-
덕코 없어서 다시 못 사잖아
-
중앙대를 질렀다. 난 중앙대의 노예가 될거다.
-
입결표를 보며 주의해야할 점, 학과 고를때 신중하게 결정하기 8
물론 누백상으로 시각화시킨 자료라 어느정도 라인을 잡는데에는 도움이 되긴 하나,...
-
다행
-
어떤 사람이 기하 올려달래서예각삼각형 ABC가 있다. AH_1, BH_2,...
-
슬프긴했어
-
한국수영탐탐 7
1+6+4+4+2+0
-
골치 아프네
-
평균적으로
-
진격거도 끝나니까 진짜 최신 애니들 볼게 없네
-
아진짜심심함맞팔해요 13
ㅃㄹ나진짜심심함나좀놀아줘
시간이 지나면 침식은 자연스레 동반되는거니깐요
입자가 그리고 쌓이자마자 딱 붙어잇는게 아니라...중력에 의해서 굴러가기땜에...
그렇다면 습곡이나 단층 위처럼 땅이 평평하지 않아도 그 위에 퇴적되면 그 위 땅은 아래 땅을 침식시켜서 평평하게 된다고 이해하면 되나요?
단층이나 습곡 이후, 어느정도 지면이 굴곡진(?)형태가 된다면 유체의 흐름
(바람 혹은 물의 흐름 -> 퇴적은 아무래도 물에서 더 잘 일어나므로 후자의 경우가 더 많겠네요.)에 의해서 굴곡진 면들이 침식되고 그 이후에 쌓이는게 일반적이라고 봅니다.
물론 평평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쌓일 수는 있어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