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해설의 맹점: 공부는 냉부해처럼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316952
옛날부터 써보고 싶던 학습태도 관련 칼럼임. 마침 최근 냉부해도 돌아와서 그 기념으로 써봄
수능 국어를 공부할 때 해설은 아주 중요합니다. 올바른 해설을 봐야 내가 틀린 점, 맞은 점을 정확히 알 수 있으니까요. 그래서 독학러들이건 인강러들이건 공부 제대로 하려는 사람들은 당연히 해설을 상세하게 봅니다. 내 생각이랑 비교도 하고 복습도 하고 다 하면서 해설을 외울 수준까지 공부하죠.
그런데 여기서 이상해지기 시작해요
"해설이 다 이해되고, 복습도 열심히 했는데 문제는 왜 안풀리지?"
"해설을 보고 나면 이해가 가는데 혼자서는 왜 그렇게 못읽지?"
"해설대로 하는게 가능은 한가?"
이런 의문이 1년 내내 따라가죠. 해설을 잘 이해하고 지문을 어느 정도 분석할 수도 있지만, '해설처럼' 시간 안에 푸는 건 안되는 겁니다.
이 문제는 그 해설 대로 생각하고 푸는건 불가능하단걸 몰라서 생긴다고 봅니다.
비유하자면 해설은 파인다이닝이에요. 완벽하고 잘 짜여졌으니 이대로 할 수 있으면 최고죠. 그런데 학생 중 대다수는 라면 맛나게 끓이기가 해본 요리의 최대일 겁니다. 그런 사람이 파인다이닝 메뉴를 혼자 재현할 수 있을까요? 물론 셰프가 친절하게 뉴비를 위한 파인다이닝을 보여줄 순 있겠죠. 그런데 그걸 따라하는건? 아에 다른 문제가 됩니다.
해설은 파인다이닝이에요. 아주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서는 그걸 따라할 수 없습니다. 거기에 수능 국어는 제한시간까지 있죠. 냉장고를 부탁해 보시면 알겁니다. 파인다이닝 셰프들도 시간 제한 걸어두면 그 시간 안에 파인다이닝에 나오는 고급 요리들 완벽하게 못하잖아요? 평생 그 일을 해온 대가들조차 못하는걸 우리가 어떻게 합니까. 당연히 수능 또한 그 수준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수능은 손님을 만족시키는 파인다이닝이 아닌 시간 제한이 있는 냉장고를 부탁해 입니다.
그렇기에 수능 국어는 김풍 작가님 요리하는 것 처럼 공부해야 합니다. 냉부해에서 김풍 작가님 보면 셰프들이 하는거 보면서 여러 기법들 야매로 배껴오고 뭐든 만들잖아요. 그런데 작가님이 메뉴를 베끼나요 아니면 방식을 베끼나요? 후자 아닌가요? 셰프들이 하는 큼지막한 방식들을 베끼지 메뉴 자체를 베끼진 않잖아요. 이렇든 국어도 잘 짜여진 해설(파인다이닝)을 재현하는게 아닌, 중요한 핵심(큼지막한 방식)을 읽는 것에 집중해야 합니다. 이걸 가르치는게 국어 개념 강의의 목적이고요.
그러니 앞으로 공부할땐 해설은 중요하지만 확인을 위한 거지 따라하기 위한 건 아니라는 생각을 가지고 해설을 보면 좋겠습니다.
마지막으로 냉부해 시즌2 많관부. 야매요리를 보여줘 김풍!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팩트는 옯찐따는 비호감 척도 조사도 못한단 거임,, 4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
ㄹㅇ 어렵네,팁 좀..
-
잘어울려요
-
내가 알음;
-
오감도 시제1호 13인의 아해가 도로로 질주하오. (길은 막다른 골목이 적당하오.)...
-
옯생을 잘살았다 2
호감도가 나름 높다 뿌듯하다
-
ㅇㅈ 15
-
저는 민감해서.. ㅜㅇ우긍으이읏생긋
-
막 되게 높게 써줫는데후에 되게되게 높게 호감인 사람이 나타나면 어떡함난 막 쓰다가 꼬여버릴꺼 같음
-
내일은 푹 쉬어볼게요
-
못생긴 여자도.
-
호감도 해봄 5
"호감도" 했음
-
여중생 나올듯ㅋ
-
저러면 해줄수밖에 업잔아....감동
-
댓글로 이유를 적어주세요....
-
난 비흡연자고 앞으로도 비흡연할 거지만 스트레스 받을 때 가장 가성비좋게 해소가...
-
사문 도표 5
화1 하다가 사문 넘어와서 도표특강 들으면서 기출 푸는데 도표가 왜 진짜 어려운건지...
-
호감도 메타 참전 31
100점 만점
-
잠이오는데 4
잠이안온다
-
허구한날 명품 아이쇼핑으로 집에 돈 많다는거 비틱하고 인증사진 뇌절 세번이나 올리고...
-
1년동안 빡세게해서 이성적 유지하면 가능한 점수대 인가요?
-
화학혁명:86.34 의문사:90 안유진:7 받았음 ㅁㅌㅊ??
-
안올릴거긴한데
-
인증단 처단은 개뿔 지원하자는 생각이면 개추
-
근래에 이보다 마음에 드는 작품이 없었네요. 모든 장면이 참 좋았습니다. 특히...
-
인간실격 에휴
-
큰 일 났 다!!!!!
-
호감호감ㅠㅠㅠ
-
코딩과제 완료 반수준비 시작
-
호감도 2
86.34받았다 히히
-
일클듣는강기원 채널 보니까 아이디 화면에 안 뜨는걸로 보아 화면 녹화는 아니고...
-
다음 닉 1
심심한노프사
-
동의동의ㅠㅠ
-
챗지피티 이새끼는 왜 날 자꾸 미취학아동으로 만드는거임? 6
ㅅㅂ 재미들림
-
아 토할거같아 2
씨발
-
선넘는 조언도 환영이오 어떻게 시발비갤보다 점수가 낮소
-
언젠간 오르비의 글을 바탕으로 블로그를 써야지 하고 생각은 하고 있다만 2
내 국어사 블로그는 영원히 쓰일 리 없을 듯 이놈의 귀차니즘
-
ㅇㅈ 5
머리 예쁘징//
-
이매진 매월승리 간쓸개 이감모고 다 하는거 개오바인거 같긴한데... 이감 안하면...
-
수능 때 생윤치는 애들 이겨야하는데.. 부족할까요 근데 원래도 자이 하나 풀고 수특...
-
아랍상 두부상 7
대충 눈코입 뽝!이면 아랍상임? 무쌍에 순하게 생기면 두부상인가
-
치킨 시켜서 맥주 까는 낙으로 일주일 버팀 행복해서 눈물날것같다. 오직 순간을...
-
.
-
왜냐면 이제부터 기다림이 24시간이 넘을 때마다대가리를 존나 쎄게 쳐서 제 머릿속을...
-
https://orbi.kr/00062221739 링크에 들어가기만 해도 노트북이...
이거 왜 기시감이..?

학습자료 태그 잊어서 재업함그러면 해설을 어떻게 활용해야할까요?
문제에 대해 내가 푼 방식과 해설이 푼 방식이 맞는지 확인하고 문풀 방식을 배우는 걸로 활용하는걸 추천합니다.
지문에 대해서는 다 읽고 나서 내가 읽은 것과 해설이 말하는 지문에 있던 것을 비교해보고 독해가 이상한 부분이 있었다면 그 부분을 해설이 어떻게 읽었는지에 집중하세요. 그런 부분이 없다면 이렇게도 읽을 수 있구나 라는 걸 아는거에 집중하세요
제 생각이지만 지문에 대한 해설은 독해의 고점을 높여주는 용도라 생각합니다. "이렇게까지 읽을 수 있구나"를 보는게 핵심이지 "이렇게 읽어야 하는구나"를 배우는게 아닌데 많이들 공부할때 후자의 방식으로 공부하더라고요
그큰틀을 기준으로 학습해야되겠군요
상세한 사고과정은 그리 중요하지는 않을까요? 제가 특히 큰틀보단 디테일에 집착하는것 같습니다
상세 사고는 큰 틀에 비해 중요도가 떨어진다 봅니다. 약간 파인다이닝에 어울리는 음료 같은거죠. 근데 우리 목표는 미슐랭 별따는게 아니라 냉부해에서 이기는 거에요. 그러니 우선은 큰 틀에 주목해 보세요. 글의 핵심 주제와 그걸 따라 이어지는 흐름, 논리 전개에 주목해 내려가보고 그게 어느 정도 되면 이제 디테일에 신경써 봅시다. 이 문장은 이렇게 읽어야 했구나, 이 문장은 이런 뜻으로도 읽어지는구나 이런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