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시 컨설팅 성과 조사하면 수요 있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157072
(많이 볼 수 있게 좋아요 부탁)
데이터에 관심이 많은 사람으로서 정시 컨설팅의 효용성이 매우매우 궁금해왔음
마지막 문 닫은 사람을 자기가 배출했다거나 빵꾸 합격 사례가 있다거나 그런 거 말고
그런 사람 배출 하기 위해 몇 명에게 콜을 돌렸고, 몇 명이나 적중했는지 그런게 궁금했음
예를 들어, 200명 모집하는 가상의 학교가 있다고 했을 때 비슷한 성적의 250명을 상담 받아서 저기에 다 지원시키면 누군가는 문닫고 들어갈 거 아님.. 그래서, 적중을 시키기 위해 몇 명이나 떨어졌는지 못맞췄는지는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생각함.
성과 조사는 (만약에 수요가 있다면) 이렇게 진행해보려고 함
스나 적중은 사람마다 기준이 다를 수 있으니까, 파이널 콜 기준으로 컨설턴트가 추천해준 학교/학과가 무엇이었는지 그리고 최종업데이트 기준 진학사 칸 수가 얼마였는지를 받음.
그러면, 각 컨설턴트(또는 회사) 마다 칸 수 별 적중률이 얼마나 되는지 알 수 있겠지. (표본이 쌓인다는 전제하에)
만약 더 여유가 된다면, 떨어질거라고 알려준 학과 (또는 컨설턴트가 말렸는 학과)가 실제 합격인 것도 조사한다면 더 신뢰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거 같음
물론, 전수 조사가 아니기 때문에 데이터가 편향될 수도 있음을 알고 있음.
하지만, 지금처럼 누가누가 잘하나 아예 모르고 광고에만 의존하는 것보다 훨씬 낫지 않을까.
댓글로 의견들 부탁해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21수능 <- 이놈이 가장 큰 원흉임 21수능이랑 이후 통합수능 전부...
-
디랩다니시는분? 0
밥맛있나요? 재종대성학원은 맛있던데
-
단조로운 당신의 인생에 한 줄기 영감을 드립니다!
-
이런사람을 보고 천재라고 하는거겠죠
-
추가모집 서류제출이 뭐야..? 원서접수 다음에 또 서류제출이 있던데
-
수능 끝나고 보자 14
-
장재원t 미적반도 공통수업나가나요?
-
그냥 커뮤에선 8
뇌빼고 생활하셈 본인 감정 심어봤자 서로 피곤하고 피바람 붐
-
두 평행선도 서로 만난다고 보는 관점이 잇습니다 특정 상황들에서 케이스를 분류할...
-
복싱부터 배워야지
-
오르비와의 마지막 밤 14
-
번호대상관없이 갑자기 문장이 안읽히다 다시 정신다잡으면 읽혀지고 그럼.......
-
애니는 딱히 보지 않지만 비스크돌이나 최애의아이같이 예쁜 거있으면 피규어도 사고...
헐 이거 하면 안 되는 거예요?
너무너무 좋은접근인듯
기대돼요
의견 감사합니다 !
괜찮은데요?
근데 아마 컨설턴트의 조력을 받고도 떨어진 사람이 더 과표집 될 것 같기는 합니다.
컨설의 도움으로 붙은 사람보다는 떨어진 사람이 억울한 마음에 어떻게든 더 컨설턴트의 평판을 낮추려고 노력할 유인이 크니까요.
그리고 컨설턴트의 픽을 신뢰하지않고 임의로 지원하는 학생들도 상당히 많은데.. 이 학생들의 응답 데이터는 어떡할 것인지..
저는 개인적으로 올해 컨설팅 한 학생들 성과를 다 데이터로 정리해두려합니다.
데이터로 정리하시는 것은 굉장히 바람직하네요.
우려해주신 부분에 대해서도 저도 생각을 해보았는데요,
1. 합격 최종 발표가 나오기 전에 조사를 한다면, 어느 정도 보정이 되지 않을까 싶었습니다. 설문을 받을 때, 대학 환산 점수를 받아두면, 내년도 원서철에는 해당 점수가 합격 불합격인지를 알 수 있으니까요.
2. 제가 관심있는 것은 컨설턴트의 픽의 적중의 정도이므로 컨설턴트 픽에 대한 정보만 받을 생각이었습니다.
컨설턴트가 파이널에 추천해준게 무엇인지를 알 수 있다면 "환산점수, 칸 수"를 가지고 적중했는지 안 했는지는 사후 정리가 가능하니까요.
물론, 과표집에 대해 어떠하게 보정할지, 컨설팅 팀 별 형평성 (표본 수준에 따른 신뢰 정도)은 좀더 고민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전 좋은거 같아요.
저도 나무님글보고 올해입시까지 칸수별 합격률 발표할 생각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