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계의 흐름이 바뀌어도 학교문법은 크게 바뀌지 않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981435
대표적인 예시가 바로 변형생성문법임(근데 이건 너무 어렵긴 함. 이건 교과서에 안 넣는 게 맞음. 아오 놈 촘스키). 학교문법은 여전히 구조주의를 따르고 있음. 다만 어느 정도 학계의 개신이 반영이 되기도 함. 7차 교육 개정에서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을 부사절을 안은 문장으로도 볼 수 있다는 서술이 추가된 게 그 예시임. 이 때문에 종속절에 대한 서술이 좀 애매해짐
참고로 ㅣ 역행 동화의 경우 2011 개정 '독서와 문법'의 경우 교과서 6종 중 창비와 지학사에는 실려 있었음. 근데 2015 개정으로 언매가 도입되면서 아예 교과서에서 ㅣ 역행동화 자체가 빠졌음. 지엽적인 것도 빼겠다 이거지. 2022 개정으로 뭐 바뀌는지 나중에 함 봐야 될 듯. 누가 정리한 거 없나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니면 5칸을 하나 넣어야하나요?
-
홍뱃 신청 넣음 1
전화추합했던 물론 안 갔지만
-
요 귀여운 자식을 어떻게 놀려먹을지 고민되는 기분이 들죠
-
실제로 먼저 인스타 아이디 달라고 몇번 졸라대서 줬는데 수능 후 인스타에 수능성적...
-
중앙대 다빈치 외대 글로캠 충남대 이정도를 학원쌤이 ㅊㅊ해줬는데… 하 ㅠ...
-
주말에 일하기 싫어서 그런게 정배임?
-
n수생입니다.메디컬 목표인데 생1지1 선택했었고 매번 생1이 3~4등급...
-
스나 질문 0
님들 스나하고 하면 고속 기준 몇점정도 차이나는건가요??
-
5칸은 분석해본 결과 안전한 최초합 5칸이고 합격률도 98퍼라 적정~안정 그 사이쯤...
-
애니 5편 보는라 8시간 밖에 못했네...
세줄 요약 좀
걍 읽지 마
내가 미안해...
이건 네글자요약인데
님 ㄹㅇ 박사인가
할아버지 본업 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