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금융권 관련 칼럼 읽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901230
일단 들어가기 앞서
요즘 금융시장 불황이라 금융권 진입 고민도 생길 있는데,
증권사, 자산운용사가 국장 주식만 하는게 아니라, 해외증시, 채권, 선물, 옵션, 부동산 등 대체투자도 포트폴리오 많은 지라 수익성 걱정은 No No
즉, 요즘같은 시장에도 역대 수익, 성과급 등이 나와 표정관리하는 하우스들도 꽤 있음
증권사, 자산운용사, 보험, 연기금 자산윤용 등의 금융권에 진입하기 위해
물론 학회, 학과, 투운사, 신분사 등 자격증도 중요하지만
요즘 대세는 인턴 경험이고,
학회를 잘 선택하여 들어가면 학회 선배님들이 물심양면으로 노력하여 아래와 같은 유명 금융권 인턴을 연결해 줌

물론 학회 활동하지 않고도 인턴을 찾는 방법도 많음
0 XDK (+0)
-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빈칸 고난도 2문제 도전!! (실력되시는 분들만 도전) 10 1 너무 고난도로 해석조차 안될만한 수준이라면 의미가 없기 때문에 수능에 등장할 수... 
- 
        
        님들 이거 수능이면 몇번임? 14 1 ㅈㄱㄴ 
- 
        
        수특같은 수능연계면 모를까 제가 지문을 공부하고 있는지 국어를 공부하고 있믄지 잘... 
- 
        
        논리실증주의자는 예측이 맞을 경우에, 포퍼는 예측이 틀리지 않는 한, 1 2 논리싫증주의자는 관심이 없다 
- 
        
        독서실에서 자는데 2 0 독서실에서 바지내리고 돌아다니는꿈꿈.. 
- 
        
        찬우야이 0 0 꼬두메로 가자잇 
- 
        
        홋카이도 계획 다짬 6 1 히히히 
- 
        
        님들 거리곱 씀? 6 1 난 안쓰는데 요즘은 보편화된거도 같아서 궁금함 
- 
        
        얼탱 
- 
        
        핸드폰에 앉았다 먼지인가 누르니 꾸욱 푹 그렇다 벌레였다 씨발 
 
                
             
     
     
     
     
     
     
     
     
     
 
     
 
     
                  
근데 재능없으면 바로 목날아가는곳 아닌가요?
선입견에서 비롯된 오해입니다.
금융권 중에 buy side인 자산운용 부문은 안정성을 중요시, 연금, 공제회, 보험, 그리고 자산운용사 등은 고의적 또는 중과실이 없는 한 장기 또는 정년 근무 케이스가 많아요.
Sell side인 증권사 프런트 부서도 회사 따라 다름
예를들어 NH투자증권 등 많은 증권사에서도 재능 없으면 성과급이 없는거지 해고 쉽게 하지 않는 분위기
단순히 금융권 취업만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연세대 상경계열(경제학+응용통계학 복수전공)에 진학해야할지 고려대 경영학과에 진학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연세, 고려대 둘다 좋습니다. 문과 이면 경영학과 선택이 더 나아 보입니다.
공대도 최고 선망하는 컴이나 전전인데 그래도 공대보다 경영,경제가 취업이 더 나은가요?
올해 취업보면, 대기업 취업은 전전이 제일 양호
금융권 취업만 보면 경영, 경제가 유리한데
전체적으로 전전, 컴공, 경영, 경제 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