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1 기체양론 단계별 접근 - 1단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835403
네 안녕하세요, 정보글 하나 더 들고 왔습니다.
오늘은 화학1의 기체양론 문제를 단계별로 접근해 보겠습니다
요즘 킬러배제 정책으로 기체양론이 생각보다 이전보다 까다로워지고 있어요.
그런데 원리만 알면 간단합니다.
기본적인 개념은 안다고 가정하고 설명합니다.
저는 화1을 선택했다가 지금 전환할 생각중이나, 여전히 화1을 고수하시는 분들을 위해 한번 끄적여 보고자 합니다.
아마 6단계까지 있을거에요.
Step 1. 물리량에 대한 이해 (밀도비=분자량비)
일단, 기체양론은 오로지, 물리량에 대한 분석입니다. 얘가 몇몰 있는지, 분자량이 얼마인지, 몇그램인지...
그래서 물리량을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어야 해요.
대표적인 물리량에는
n = 분자 몰수
w = 질량
V = 부피
d = 밀도
M = 분자량
이 있습니다. 이거 말곤 없습니다.
밀도는 질량을 부피로 나눈 값(혹은 단위부피당 질량, 1L당 질량, 등등)
분자량은 1몰의 질량(1몰당 질량, 질량을 몰수로 나눈 값 등등)
그리고 여기서 가장 중요한게 분자량인데요,
분자량은 질량을 몰수로 나눈 값입니다. 근데 이렇게 외우면 안되고,
M = w/n
이렇게 외워야 합니다.
다시 말하면
엠(분자량)은 엔분의 따블유
입니다.
그리고 다르게 보자면,
n = w/M 인데요, 마찬가지로
엔(몰수)은 엠분의 따블유
입니다. 분자량, 질량, 몰수 중 두가지를 안다면 나머지 한 가지 값을 구할 수 있는거죠.
물론 여기까지는 다 아시는 내용이라 더 자세히 설명하진 않겠습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부분은, 같은 온도 압력 조건에서
1) 몰수와 부피는 비례합니다.
2) 분자량과 밀도는 비례합니다.
이 두가지를 명심하셔야 해요. (화1에서는 온도랑 압력이 일정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부피랑 몰수는 그냥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어차피 거의 비율로 처리하기 때문)
부피가 주어지면 그냥 몰수로 놓고 푸세요.
예를들어 이산화탄소가 5L 존재한다 = CO2 5몰이다 이렇게 놓고 푸셔도 무방하다는 겁니다.
(사실은 정확히 따지자면 섭씨0도 1기압에서 기체 1몰의 부피는 22.4L입니다.
1몰이 1리터려면... 온도가 영하 200도쯤 되거나 압력이 10기압이 넘어야 합니다. 근데 문제풀땐 정확한 부피를 묻지 않는다면 그냥 1리터는 1몰이라고 놓고 푸세요. 정신건강에 그게 훨씬 유익합니다.)
그리고 만약 밀도가 주어진다면, 분자량을 준 거구나! 하고 반응하셔야 합니다.
밀도가 주어졌다고 쫄거나 그러면 안됩니다.
그리고 또, 무조건 밀도비는 분자량비만 생각하면 안되구요,
기본적인 질량 나누기 부피도 생각하셔야 합니다. 때에따라 편한게 다르니까요.
그럼 문제 한번 풀어 보세요.
정답은....
분자량비는 구성원소의 분자량을 더하시면 됩니다. 실제 값은 30:40입니다.
부피비를 구할 때, "당신은 몰수를 줬는데 내가 부피를 어떻게 알아!"라고 생각하셨으면 반성하십시오.
물론, 정확한 부피를 구하려면 온도 압력과 그 당시 기체 1몰의 부피(아무튼 뭔가 추가자료)가 있어야 합니다.
근데 부피의 비율을 물었기 때문에, 몰수비와 같습니다.
총 원자수비는, 8원자*2몰=16, 7원자*3몰=21 이렇게 구하면 됩니다.
질량은 분자량 곱하기 몰수입니다. 분자량이 1몰의 질량이기 때문에,
1몰의 질량을 구하려면 그냥 분자량 쓰면 되고,
2몰의 질량을 구하려면 분자량에 2를 곱하면 되고,
x몰의 질량을 구하려면 분자량에 x를 곱하면 됩니다.
그래서 곱하면 1:2이고 실제값은 60:120입니다. (단위는 그램)
밀도비를 구하시는데 질량을 부피로 나눠서 풀었다면 반성하셔야 합니다.
아까 말씀드렸다시피 밀도비는 분자량비와 일치합니다.
바로 위에서 분자량비를 적어뒀는데 밀도를 다시 구한다면 시간낭비가 아닐 수 없겠죠.
(물론 그게 틀린 풀이는 아닙니다만 1분 1초가 아까운 상황에서 시간도 단축하고 계산실수도 줄이기 위해선 풀이를 간소화하는게 중요합니다)
그럼 열심히 연습하시고
다음 글에서 뵙겠습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랑 팔로우 부탁드리고
도움이 안되었다면 좋아요랑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참지못함
-
못참잖아
-
2026학년도 서울대 입학전형 안내(2025년 04월01일 발표) 0
2026학년도 서울대 입학전형 안내(2025년.. : 네이버블로그
-
님들 내일뭐할거임? 12
1윤씨 관심없고 공부하기 2.하루종일 뉴스보기,정치커뮤보기
-
반수의 아이러니 4
6월부터 달려서 될 지능이 작년 1년 달려서 왜 안되는
-
의대,약대,서울대 선배들이 직접 본인의 경험담을 공유해주는 무료 세미나가 있어...
-
심각함 곧 죽으려고 그러나
-
혹시 시대 수학컨(브릿지,엑셀) 사실 분 계신가요? 3
* 2026 브릿지 4회(판완) * 2026 브릿지 전국 4회(판완) * 2026...
-
"강철용기"
-
반수러라 시간도 없고해서 컴팩트한 전형태t 풀커리 타려는데 들어보신분들 어땠나요? 좋나요?
-
조한창 김복형 정형식 김형두가 기각해서 그냥 기각될듯
-
산에 있어서 ㅅㅂ 다리아파
-
의외로 국어와 비슷한 점이 있다 다만 국어에서 독해하다보면 눈에 들어오는...
-
인용이냐 기각이냐 각하냐
-
07현역정시 설대 심심한 캬
-
설대 말고는 인설공 거의 다 미적기하 가산도 없는 걸 방금 전에 알게 됬는데,...
-
제가 9월에 자퇴해서 2차 검고만 볼 수 있어서 학원, 학교 응시 다...
-
얼버기 10
사실 구라고 학원알바가는중 오늘 하루 힘내봅시다
-
전교과기준 내신 3.8(2학년 2학기까지)이고 생기부는 평범한 편입니다. 마지노선...
-
사문 언제 떡락함?
-
응가 1. 명사 어린아이의 말로, 똥이나 똥을 누는 일을 이르는 말. 2. 감탄사 어린아이에게 똥을 누라는 뜻으로 내는 소리. 1
응가 1. 명사 어린아이의 말로, 똥이나 똥을 누는 일을 이르는 말. 2. 감탄사...
-
26 6 9 수능은 어떨까 2406만 해도 상상도 못한 쉬운 수학
-
현우진 확통 개정 시발점 완강했는데 좀 부족한거 같아서 실전개념 들을려그러는데 추천좀 해주세요
-
작수 12242이긴 한데 언매97 확통89 (둘다 턱걸이) 4합8 맞추려고 본거라...
-
하지만 등급컷표를 보고 물이라 해서 욺
-
‘그림과 같이‘는 왜곡 없이 그래프 준다는 얘기 아니었음? 16
올해 수특 삼각함수 문제인데 실제 그래프보다 좀 많이 왜곡되어있는데 ‘그림과...
-
국어 도식화 1
쉬운 지문은 그냥 잘 읽히는데 어려운 지문은 문장을 납득하는데 주의를 기울이다보니까...
-
한 달에 4번 쉬는 재수생임 보통 쉴때 운동,독서,산책해요 근데 내가 서울 가는걸...
-
헉!!!
-
안그러면 당신 이름으로 일베에 가입하겠습니다.
-
너만을 사랑하고 있다는 걸들어줄 사람도 없이 빗속으로 흩어지네너의 이름을...
-
왤케 하나하나 다 좆같냐 갑자기
-
독재학원에서 한달정도 공부중이고 그전까지도 집앞 독서실에서 공부를 해왔었어요 근데...
-
명제 다보탑은 경주에 있다 명제 다보탑이 경주에 있을 수도 있다 두 명제는...
-
이상형 발견
-
보통 수능준비하시는 1년동안 수학엔제 얼마나 푸시는거같나요??? 4
얼마정도 푸시는거같나요???
-
문제를 정확하게 풀면서 피지컬 늘리기 6월 모평 이후에 문제 양치기 하기 어떻게 생각함?
-
가끔 지피티가 지브리로 변환을 못 하겠다고 하는 경우가 있는데(feat. 도긩이) 2
그때 지피티한테 "그럼 이 사진을 지브리 느낌/스타일로 만들려면 어떤 프롬프트가...
-
N수땜에 메가패스 사려고 며칠 뛰려하는데 알바몬에서 신청하면 될까요? 많이...
-
뭐가 다른거임? 쎈 대수 미적1 사도 됨?
-
좋은 선택일까요? 재슈생이어서 시간은 많습니다.
-
진짜 존예노
-
작수 미적 3틀 84점이었던 반수생입니다. 제가 그래도 공통은 나름 자신있는데,...
-
제가 6모때 21221 9모때 11211를 받고 작수에 미끄러져서 31222를...
-
도전VS포기 다른과고 어디에 출몰하는지 암
-
넹
-
빤쮸 샀는데 5
되게 만족스럽네
-
오랜만입니다 11
어제 너무 아파서 거의 하루 오르비에 못들어왔네요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