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청받은 '나라'의 어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818018
'나라'는 일단 중세국어에선 '나랗'으로 소급되는데 보이다시피 ㅎ 말음 체언이었다. 최초 문헌 기록은 용비어천가의 '나라ㅎㆍㄹ'과 '나라히', '나라해'이다. 그리고 월인석보나 석보상절 등의 다른 문헌에서는 '나라마다' 등의 표기가 보이니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오거나 ㄱ이나 ㄷ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오면 ㅎ이 나타나지만 이 외의 조사와 결합하거나 단독으로 쓰일 때는 ㅎ이 나타나지 않았다. '나랗/나라'의 교체를 보인 것인데 16세기부터 원래 ㅎ이 쓰이던 자리에서도 ㅎ이 탈락한 예가 보인다고 한다. 그러나 여전히 '나라'와 '나랗'은 서로 공존하였는데 이는 19세기까지 지속된다. 그러다 종성의 ㅎ이 탈락하여 '나라'가 정착하게 되었다.
중세국어 이전에는 'ㄱ' 받침이었다고 추정되는데 이건 ㅎ 말음 체언 특이다. 보통 ㄱ 말음에서 ㄱ이 마찰음화를 겪어 ㅎ이 되었다고 본다. 즉 '나락'이었던 건데 이 추정을 확인시켜 주는 기록이 존재한다.
바로 신라 향가 안민가인데
"國惡太平恨音叱如(나라 태평하나이다)"라는 구절이다.
'國惡'가 바로 '나라'의 고대국어 표기인데 이는 말음첨기라는 방식으로 한글이 없던 때라서 國만 보면 얘를 한자 발음으로 읽을지 아니면 고유어 뜻으로 읽을지 모르기 때문에 고유어임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뒤에 무언가를 추가하는 거다. 惡 자가 바로 ㄱ 말음을 나타낼 때 쓰였던 표기이기 때문에 '國惡'의 國는 음독(국)이 아니라 훈독(나라)이라는 걸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나락'으로 재구하는 거다.
다른 표기로 일본서기에 쓰인 '素奈羅(소내라)'와 '須奈羅(수내라)'라가 있는데 금관가야를 뜻한다. 앞의 素와 須는 '금(쇠)'를 뜻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뒤의 '내라'는 '나라'의 음차 표기로 보인다. ㄱ이 보이지 않는데 그 때문에 ㄱ을 접미사라고 하기도 하고 아니면 ㄱ을 그냥 생략한 거라고 보기도 한다.
따라서 '나라'는 삼국시대부터 존재한 단어라 할 수 있는데 여기서 '나라'를 한 번 더 나누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기문 교수는 '나라'의 '나(na)'를 땅, 흙을 뜻하는 말로 보고 뒤에 명파접 '-랗'이 붙은 것으로 보았다. 만주어와 골디어 등의 남방 퉁구스 제어에서도 'na'가 '흙'을 뜻하였다고 밝혔다.
"Ma. na ‘earth, land,’ note also, Nanai na ‘id.’ (the ethnonym itself means ‘local people’), K. nalah 나랗 ‘country, land’ (-lah is a suffix)."
ㄴ Lee & Ramsey (2012), "A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이 견해에서는 '나라'는 땅을 뜻하는 '나'에 장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라(ㄱ)'이 붙은 것이다.
문제는 알타이어설을 부정하는 입장에서는 저 재구가 문제가 있다는 건데 Vovin(2009)에서는 여러 언어에 na와 비슷한 형태가 재구된다는 게 잘못된 재구라고 주장하며 알타이어족이라는 (가상의) 어족으로 잘못된 비교를 하는 걸 지적한다. 알타이학자들의 재구가 일관되지 않은데 이에 따르면 '나라'의 '나'가 na가 아닐 것이다.
Vovin (2009), "Japanese, Korean, and Other 'Non-Altaic' Languages"
0 XDK (+1,100)
-
1,000
-
100
-
https://orbi.kr/00024616378/%EB%AC%B8%ED%95%99%...
-
맨날 보는 사람들 밖에 없는데 아 그냥 부계 하나씩 파주세요
-
밖에 돌아다니는 커플들 아니 주변 친구들만 봐도 그저그런 얼굴이나 솔직히 조금...
-
말로는 설명 못하는 묘한 끌림이 있는 사람이 있단말야
-
과제 해야지 2
보고서 다 쓰면 오겠다.
-
3모 성적 = 수능 성적이다. 탐구 한두등급 오르는 정도. 오르는 학생은 진짜 극소수라고 봄.
-
노베인데 수특 독서 풀면 도움 될까요? 수특 문학은 중요하다해서 하고 있습니다.
-
재생이되었으면 좋겠다
-
님들도 지금 방에 모기 들어옴? 아니 창문을 못 열겠노 방충망 뚫고 오는 건가
-
다니는 독서실 (잇올같은데에요)에 좋아하는 딴 학교 분이..있는데 서로 친한 사이도...
-
혀녁땐가 4
친구가 의자왕 에디션 인강커리탔는데 인강만 하루에 8시간씩봄.. 근데 인강공부법으루...
-
미분파트 가형부터 21 30번급만 쭉 풀었는데 이게 젤 오래 걸림... 계산이 ㅈㄴ많네
-
어떤 질문이든 좋습니다
-
이제 나도 어둠의 현강자료 받는다 히히
-
ㅈㄱㄴ
-
ㅁㄹ 걍 암산해 1
암산을 줄일바에 암산실력을 늘리겟다도저히 손으로 못 쓰겟다 귀찮아서
-
작수 문과 만점자분은 가군에 왜 한양의 안쓰고 연치쓰셨는지 아시나요? 확통이라...
-
넌 그 찰나를 판거야 나는 내가 기억하는 한 영원이 되는거고
-
나 국어 폼미 2
3덮 98 3모 98 테리듬 평균 98 허슬 평균 95 국어저능러 성장 뭐지
-
또과제야 2
아아아ㅏ아ㅏ악
소소한 감사비

나라현의 지명 “나라”가 국가를 뜻하는 한국어 ‘나라’에서 유래됐다는 설이 있다. 한국어 ‘나라’는 매우 오래전부터 쓰던 단어이고, 나라가 일본의 중심지였던 옛 야마토 시대에 일본과 당시 한국(삼국시대)은 굉장히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음모론 아닙니다https://en.wikipedia.org/wiki/Nara_(city)#Etymology
그런 논의가 있긴 있었군요. 꺼무인 줄 알았는데 아니네...

진실은 아무도 모르지만 그래도 삼국시대 교류가 있었다는 점에서 어느정도는 가능성 있을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