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시 내신반영은 삭제되야 합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707616
제 의견 입니다.
(1) (연대/고대 등에 해당) 정량 평가의 불가능
학교마다 수준이 달라서 내신으로 정량평가가 불가능합니다.
ㅈ반고에서는 전교 1등이 수능 3인 경우도 있는데 특목고 같은데는 수능 안정 1이 내신 4등급 받는 경우도 있는 것 처럼 학교별 편차가 매우큽니다.
다만, 수시(교과/학종/논술)도 유지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 (서울대) 정성평가 및 반영식의 문제점
정성평가시 자세한 기준을 공개해서 준비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AA/BB/CC의 기준이 불명확해서 준비하기 매우 어렵습니다.
또한 반영식에서 수능 점수를 더할때 최고점과 2배수 최저점 사이에서 자신의 위치를 산출해서 더해지기 때문에 최저점수가 극히 낮은 경우 수능의 점수는 사실상 의미가 없게 되고 내신만으로 평가하게 됩니다.
(3) 전체적인 문제점
고등학교때 병이 생겼거나 경제적인 사정이 안좋아서 내신을 못보게되면 수습할 방법이 재입학을 제외하고는 없습니다. 또한, 내신반영은 고등학교때 (교우관계, 학교 커리큘럼의 부적응 등)잠시 방황 한 자에게 기회를 영원히 뺏습니다.
(4) 내신 반영을 대체할 방법
대학 입장에서는 내신 반영을 반수생들을 거르고 선택 과목이 과에 맞지 않아 대학 공부에 적응하기 어려운 비율이 높은 등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겁니다.
그러면 전 면접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면접에서 고등학교 수준을 넘지 않는 관련 전공 지식을 묻는 등 대학 학과에 들어가고 싶은 열정을 알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기존의 방식대로 내신으로만 평가하면 학교 이외에서 배운 지식들은 평가하지 못합니다.
Ex) 1단계 수능(100% 1.5배수) 2단계 (수능 90 면접 10)
(5) 공교육 약화?
내신반영으로 공교육을 강화시키는 것 보다 공교육의 질을 높이는 것이 옳은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6) 현재까지 내신 반영 대학 정리
(검토해주세요)
서울대- 정성 20%
연세대 -정량 5%: 비교 내신(검정고시)시 수능 성적 100%(26수능부터)
고려대 - 정량 20% 전형과 수능 100% 전형 둘다 있음
(개인적으로는 고려대 방식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한양대 - 정성 10% (26수능 부터)
부산대(의/치) 정량
결론: 고등학생에게 재시도의 기회를 박탈해 버리는 내신의 정시 반영은 사라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보통 체감상 미적 27 28 29 30 이랑 공통 11
13 14 15 21 22 비교하면 뭐가 더 어려움???? 미적분 공부 첨 하는뎅...
-
2학년 때 화생지 했는데, 공학계열은 절대 못가죠? 저희 학교가 물리가 거의 없어서...
-
별 상황 없으면 카톡 1분안에 봐야되는게 정상임 왜냐 여자들은 하루종일 핸드폰을...
-
아님 바로 육군을 갈까
-
젤 많이 받는 사람이 그정도라 함 특난도 모의고사 퀄 좋은 이유가 다 있었던거임 ㄷㄷ
-
ㅅㅂ 여사친이 카톡.. 15
8분째 안보고있음 ㅈ됨
-
내 여자고딩동창 나랑 같은 학교인데 졸업반이라 인턴 돌돌하고 있더라 계절학기를 빠짐...
-
개념만 했을 땐 그랟ㅎ 할만할 거 같은데 문풀들어가려니까 쫄리네요..ㅎ 천체 3단원 많이 어렵나여
-
ㄱㄱ
-
공돌이로 취직하는 경우 많은가봄 국제통상학과 사촌형 모비스 개발직무 붙었다네요 ㄷㄷ
-
으악-! 3
학교 앱에서 알림이 뜨기 시작한다
-
풀베터리 검사 결과 보시고 의사선생님이 너는 문과머리다라고 하시며 요즘 취직 문제로...
-
필교 두 개 다 잡았다 ㅅㅅㅅㅅㅅㅅㅅㅅㅅㅅ
-
으흐흐
-
자취방 구할 때 조건은 비슷한 상황에서 헬스장 카페 맛집 다 있는 역세권인 곳이랑...
-
사탐 세지 노베 2
갈아탈까 하는데 어떤가요 나라 어디에 붙어있고 이런 기본지식은 좀 있는거같음생윤1...
-
종소리 2
우리집 앞에 있는 고등학교 종소리 들린다 ㅋㅋㅋㅋㅋㅋ
-
원래 회생불능까진 아녔는데
-
주키마 7권 vs 스키마 n제 1권 주키마에만 도식 해설 있다길래 주키마로 살까 싶은데 어떰요
-
동국대 시립대는 노땅은 생기부 우편으로 내라해서 정시모집때도 추가모집때도 계속 생기부 떼는 중
-
인스타 블로그 카톡 다 징징ㅈ거림 친구한테 전화해서 징징거림 학습상담에서도 징징거림...
-
문득 궁금한게 8
의대는 타 학과보다 이수학점이 많나요? 에타 보면 다들 15 18 이러는데 저만 22이길래
-
지금 300번대 중반쯤인데 앱스키마 전엔 들어갈 수 있나요..? 보통 300번대면...
-
얼버기 2
모닝~
-
다들 학고반수면 최소 학점으로 수강신청 하던데 이유가 뭔가요? 망했을때 복구가...
-
그래도 5시간반 잤으면 충분히 잤지 뭐..
-
베르테르 59번 0
을종배당이자소득세님 Bonsam님이 도와주셧슴니다 존내 어렵습니다
-
기출을 분석하니까 행동 강령이 조금씩 생기면서 빨라지는듯 (첫단원 스텝1을 풀며)
-
다들 와서 25
신청 학점 쓰고 가기 전 22 두근두근
-
재수생입니다. 독학 재수를 시작한지 3개월 정도되었어요. 요즘 수학공부가 너무...
-
물지하다가 물리는 도저히 안될거 같아서 지구과학과 사탐 과목 하나 하려는 데요....
-
릴스에서 들어본정도였는데 국힙인줄몰랏음 식케이랑릴드래곤도데려오고...
-
ㅠㅠ 어떡하냐 4
실수로 휴대폰떨어트려서 온수매트 찍힘 이거 어떻게 감추지..
-
학교 특정 말구 시간표 평가좀.. ㅋㅎㅋㅎ 궁금해요.
-
시간표 어떰요? 10
기대기대
-
팬도 안티팬이 있는거잖아 우리의 대 민 철 선생님은 그런게 없으신가
-
학고반수 렛츠고
-
배고파요 8
뭐먹야하지
-
11시부타 5시까지 2시간 단위 수업 3연강인데 점심은 어케 먹는건지 모르게씀...
-
3모 끝나면 1
~~ 성적으로 대학 어디까지 되나요 지금부터 열심히 해서 수능 때 올릴 수 있을까요 글로 도배되나요
-
중경외시까지만 가능
-
수학 노베 질문 2
50일 수학 끝내고 시발점 수 1 하는데 갈수록 너무 어려워서 못하겠습니다. 강의...
-
적극지지 2% ㅋㅋㅋ
-
본인은 당당한 지구과학1 수강자이기 때문에 대충 알 수 있음
-
요즘 의반땜에 모르겠음
-
경북 조선 충북은 살짝 의외긴 한데 나머지 메디컬은 다 추가모집이 걱정한 학교에서...
-
이제 학교를 다닐 수만 있으면 된다!! 제발...
-
걍 서로 과하게 조심조심하는 친구들만 모여서 의자에 테니스공 끼워둔 부엉이도 있었고...
-
근데 우리 과외쌤은 뉴런이 교과서라고 뉴런이나 먼저 끝내라함 ㅜ 수2지금 삼차의...
'되'가 아니라' 돼' 아닌가요
죄송합니다. 모바일로 급하게 써서 맞춤법 검사도 안했습니다
ㄹㅇㄹㅇㅇㄹㅇㄹㅇㄹㅇ
인성, 학폭이력땜시 비교과 보는건 인정인데 내신보는게 좀 아닌듯
저도 학폭등의 큰 문제가 아니라면 반영하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서울대 기준 학폭은 2점(물론 cc도 주겠지만), 내신 cc는 최소 5점 감점하는것도 이상하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1)의 논리는 수시자체가 문제가 있다는 결정적인 부분이지요 저는 수시자체를 없애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면 자퇴율이 많이 오르지 않을까요?
자퇴를 내신 반영으로 막는 것보다 공교육의 질 향상으로 줄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상적이긴 하지만 구조적으로 공교육이 사교육을 따라가는건 불가능하다고 생각해서 수시를 없애는건 어렵다고 생각해요
별개로 글 내용에서 정시에 내신 대신 면접을 도입하자는 주장에는 동의가 됩니다
그렇긴 합니다 사실 지금도 자퇴생은 늘고있긴하죠
동의합니다
서울대 ㅆㅃ련들
서울대 정성평가 한다는게 내신 낮게 받은 갓반고 출신들 특혜주는거라 오히려 좋음
혹시 2의 두번째 문단 조금만 더 자세히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ㅠㅠ
https://namu.wiki/w/%EC%84%9C%EC%9A%B8%EB%8C%80%ED%95%99%EA%B5%90%202023%ED%95%99%EB%85%84%EB%8F%84%20%EC%A0%95%EC%8B%9C%20%EB%82%B4%EC%8B%A0%20%EB%B0%98%EC%98%81%20%EB%85%BC%EB%9E%80#s-4
나무위키에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제가 설명하자면(틀릴 수 있습니다)
서울대는
1단계: 2배수 수능 100%
2단계:수능 80% 내신 20%로 선발합니다.
수능 성적 80점은 60+ 20*(상대적 위치) 인데
(상대적 위치)의 값은 최고점자:1 최저점자:0 으로 하여 결정됩니다.(최고점자와 최저점자의 차이가 20 이상)
최고점자와 최저점자 차이가 20 이하일때는
60+ (최고점자)-(최저점자)로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X학과의 지원자 A의 최고점 400 최저점 200 내 점수 380이면 (상대적 위치) = 380-200/400-200 = 0.9이고, 수능 점수는 78점이 됩니다
내신 성적 20점은 15+(실제 점수) 이고
AA(5) , AB(4), BB(3), BC(1.5) CC(0)을 더합니다.
AA가 서울대 수시 합격 정도의 내신
BB가 일반고 기준 3~5(최근 컷이 더 높아지는 추세)
CC; 검정고시, 5등급 이하 대부분 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앞선 지원자 A가 CC를 받으면 내신에서는 15점을 받아 총 93점이 됩니다.
한편, B는 수능에서 340점을 받아 수능 74점, 내신 20점(AA)를 받아 총 94점이 됩니다.
따라서 A는 B보다 40점 우위에 있지만 B보다 최종 점수가 낮습니다.
참고로 탐구 1개가 1->9로 될때 40점 정도 떨어집니다
실제로는 내신 1점이 수능 1점과 같고(최고점자- 최저점자의 점수 차이가 20점 이하) 최고점자와 최저점자 차이가 20이 넘어가면 내신 1점이 수능 1*(점수 차이)/20이 됩니다.
CC는 AA대비 최소 5점 최대 무한 점의 점수를 손해봅니다.
대략적으로 100점 이상 차이가 난 사례가 있었고요(주로 대형과)
극상향지원자가 2배수 안에 들어올때 주로 발생합니다.
https://www.docs.orbi.kr/00065193945
https://orbi.kr/00059381436
https://orbi.kr/00061209900/%EC%84%9C%EC%9A%B8%EB%8C%80%20%EC%A0%95%EC%8B%9C%20%EB%82%B4%EC%8B%A0%20%EB%B0%98%EC%98%81%20%EB%B0%A9%EC%8B%9D%EC%9D%98%20%EA%B5%AC%EC%A1%B0%EC%A0%81%20%EB%AC%B8%EC%A0%9C%EC%A0%90
이 글들도(다른 사람이 작성) 참고하면 좋습니다
와 완전 내신파티네요.. 장말 감사합니다!!
5점만 감점되었으면 내신 버린 내가 잘못했고 수학 한문제 더 맞춰서 극복해야 하겠다는 생각이 들었었을 것 같은데
이건... 입학을 원천 봉쇄한 것과 다를 게 없습니다.
27학년도까지 내신 반영방법이 바뀌길바라는 방법밖에 없군요 ㅠㅠ
아쉽게도 바뀌기는 커녕 점점 내신 반영 기조가 타 대학으로 퍼지는 느낌입니다 ㅠㅠㅠㅠ
전 내신반영의 안타까운 장점으로 N수생들이 대거 줄어드는 점을 생각합니다. 물론 그것 빼고는 눈씻고 찾아봐도 장점은 없고 폐지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서울대는 진짜 기준을 제시해줘야함 ㅠ 너무 애매
내년에 말도안되는 핵빵꾸나와서 부랴부랴 바꿀수도 있져..ㅎㅎ 아직 많이 남았으니까 화이팅하세요!!!
삭제되야 하는데
교육부 관료집단과 높으신분들이 내신반영을 통한 검.고충or뒤늦은 장수생 사다리걷어차기같은 엘리트 순혈주의 감성을 너무 좋아해서 안될듯
검정고시 서울대 무조건 cc 아니고 연세대는 비교내신 받아서 더 이득
그거 검정고시는 그렇다쳐도
내신 5 이하는 실제로 거의 cc에 연고 이하에서도 내신점수 낮은지라
뒤늦게 정신차린 사람은 정말 억울한거 맞지 않음?
03년생 04년생 05년생까지는 억울할만 한데,
06년생부터는 사실상 1학년때부터 서울대를 비롯한 주요대학이 내신을 반영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으므로 딱히 억울할건 없다고 생각해요.
뒤늦게 공부 시작한 사람.. 안타깝긴하죠.
근데 제도가 그런 소수의 억울함까지 모두 반영할만큼 완결성 있게 만들어지는 것 자체가 어려운 것 같아요.
하나의 억울한 사람도 없으려면
취업때 학점도 보면 안되고 로스쿨도 leet하나로만 끝나야 합니다.
1,2학년때 놀다가 3,4학년때 정신차린 사람도 기회를 줘야하니까요.
근데 이렇게 되기는 쉽지가 않죠..
제가 취업과 로스쿨 쪽은 모르기는 하지만 내신반영은 면접이나 자소서등으로 이를 소명할 기회조차 주지 않아 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물론 로스쿨이나 취업도 내신 점수가 정량적으로 반영되어 소명할 기회가 사라지는 경우도 있지만요)
또한, 고1부터 실수할 기회주차 주지 않는 것은 악독하다고 생각합니다. 청소년기에 꿈을 탐색하고 끊임없이 바꿀 수 있는 기회를 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고등학교 커리큘럼이 안맞아 자퇴를 하거나, 잠시 번어웃이 와서 쉴수 있는 시간을 주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대학교에서는 꿈이 바뀌었을때 전공 기초부터 다시 배워야 하고 학점은 전공에 대한 이해도를 나타내어 의미가 고등학교 때보다는 조금 더 크다고는 생각하지만, 학점으로 사람을 판단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내신반영 체제는 중등때부터 한번도 지치지 않고 살아가는 것을 강요하는 것 같습니다.
물론 한번도 지치지 않고 열심히 살아온 사람들에게도 혜택을 줘야 한다고 생각하고, 그것이 수시라고 생각합니다.
검정고시 출신이 연대 가려고 하면 꽤 괜찮은 건가요? 검정고시는 거의 만점이고 수능 때 탐구 하나 잘 안 돼서 서성한 쓰고 반수하려 합니다
검정고시 출신자는 수능으로 비교내신을 한다는데 구체적인 건 잘 모르겠습니다
비교내신 반영 방법이 더 구체적으로 알려져야 알 수 있지만 괜찮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