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681505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세지 vs 정법 0
사문은 끼고 할거임여 ㅊㅊ좀 이유잇음 댓글 부탁드림니다
-
나도 과외 끝 1
시범과외 하나 추가로 준비해야지
-
대통령제로 성공한나라는 미국말고 없고 그 미국도 트럼프때문에 나락가는중임 양원제 내각제가 답이다!!
-
흐흐
-
이정도로 정치적 중립 유지 의무를 껍 씹어버리는 국회의장은 처음 본다 ㅋㅋ 걍 대변인이나 할 수준임
-
갑자기 서바 시즌 악몽이 막 떠오름 정신병 max 찍던 시절이라 아 아직 ptsd 남아있구나..
-
뉴분감 0
수분감 스텝 0만 먼저하고 스텝 1,2이랑 병행해도 괜찮나요? 시냅스도 같이 푸랴고요
-
화장 처음해봣는데 마음에 들엇음ㅋㅋㅋㅋㅋㅋ
-
위에가 제풀이고 아래가 문젠데 n×n+1×n+2가 18k라는거까지 구했는데 그다음에...
-
현정훈 역학특강 0
내신 휴강때 역학특강 들을까여 아님 트레드밀 vod를 볼까요? 3등급입니다
-
종강하고 여행 간다고 생각하고 가야지..
-
국어를잘하고싶다 5
나도만표150을..
-
기원쌤이랑 프롬겜 같이 해보고 싶네요
-
대체 왜지. 보이지 않는 장벽이 나를 막고 있는거 같다. 진짜 3등급도 간당간당 나올거 같아요.
-
오늘은 이거다 2
스킬 연마하러 감 ㅂㅂ
-
그냥 정시 군 폐지하고 수시든 정시든 싹 다 원서 개수 무제한으로 하면 안 됨??...
-
천일수학같이 어려운수학문제집 뭐가 있을까요???
-
너무 배부른데 11
몸이 안 움직여짐
-
수특 사서 풀고 5개년 기출 슥슥 풀면되나 한자 3급 딴 적있어서 노베는 아닌디 이렇게 하면되나
-
고1 내신용 통사 통과 문제집 어떤게 좋을까요? 통사는 방과후 교재에 문제집 한...
-
* 자세한 문의는 아래의 링크를 통해 연락 바랍니다....
-
진도가 너무 밀림 숙제좀 해!!!!! 앉혀놓고 시키다가 가야지
-
물2 3등급은 쉽나요 21
아는 삼수생 형님이 물2 3맞고 농어촌 정시 설약 붙었다길래 계속 마음이...
-
볼건가요?
-
설수의를 향하여 2
-
전생슬 재밌나요 9
흠
-
컴포즈메뉴추천좀 2
컴메추
-
리제로부터 시작하는 확통 생활
-
문학은 쭉 독학하다가 강의 들으니까 속터질거같네요 피램하러감
-
김동욱 커리 타고 있긴 한데 강민철이 평가가 좋다더라구요 내신+수능 겸용으로 하려고...
-
아니 그럴 수도 있잖아 그게 아니면 이렇게 진을 잘하는게 설명이 안됨
-
뭐가 있나요? 수분감은 너무 간결해서 강의에 너무 의존하게 되는거같은데
-
0.5배 이상 나나
-
고2 정시파이터고 수업시간에 브릿지나 써킷 풀려하는데 몇분정도 재고 푸는게...
-
일요일에 잇올 0
지금가도 늦어서 못들어가니깐 좀더 쉬다 가야징~
-
검고합격 그리고 0
선택과목 정했음 07인데 이제정함 ㅋㅋㅋㅋ 언미생지 갑니다…. 재수지원 해주신다...
-
욕심이겠지 잘 가르칠 자신은 있는데
-
학생정신주입봉
-
님들 이거 나중에 정시 과외할 때 써먹을 수 있음? 2
한다면 국어 정시 과외 하고 싶은데 어머님 저도 공부를 못하는 아이였습니다 계속...
-
넵
-
https://www.snsmatch.com/news.php?server=new&ne...
-
계속 약해지게 되네 강한사람이 되자
-
그럴 때는 로또를 사서 이것만 되면 공부안해도 된다는 기대감을 품고 있으라하심...
-
날씨 따뜻하다 4
잠이온다
-
2시까지라도 잇올 가야겠네 ㅠ
-
올해수능에윤석열탄핵된거나올거같대요.제가현역수험생으로보였나봐요><
-
물론 손실보상,경합,헌정사,과징금,인허가의제 같이 노잼중의 노잼만 공부하는 헌법...
-
흔한가요
닥후 아님?
경금을 나오는 것보다 수학과를 나와서 컴공을 복전하는게 재무 금융 쪽으로 더 잘 빠질 듯
이건 진짜 닥후입니다
수학 컴퓨터 복전하면 취업은 잘되실텐데 금융일을 하시느냐에는 “?”일거에요. 금융권에 it직무를 취업하셔도 재무 금융을 다루지는 않습니다. 하시려면 퀀트 석박을 하셔야 가능핮니다. 차라리 서강대를 가시더라도 경제학을 하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숫자를 다루는 재무 금융 직업중에는 ‘보험계리사’ 가 있습니다. 해당 직업 기준으로는 서강대보가 성균관대 한양대가 보험 학회 및 선배 이끌기가 잘 되어있습니다(성균보험학술회, 한양보험학회 가 국내 유이한 보험학회입니다). 그래서 저는 한양대를 추천하긴 합니다만, 어딜 가시더라도 원하는 진로로 나아가실순 있을거에요.
한양대 출신 보험 업계인이여서 한양대 치중된 말일수있으니 서강대사람들의 말도 들어보면 좋긴 할거에요. 계리사 직업이 궁금하시면 답변 달아드리겠습니다.
마지막으로 한양대 어필을 하자면
나름 경제‘금융’학과여서 타 대학 경제학과에 비해 재무금융 과목 및 데이터 활용이 많긴합니다.
R, Python, spss등 을 활용해서 재무금융 데이터를 처리하고 예측하는 강의들이 많습니다.(직접 학과 커리큘럼 확인해보시면 좋습니다, 한양대의 공대적인 성향이 경제학과에도 미쳐있고, 대학원또한 데이터 쪽으로 bk21을 받았습니다.)
계리에 대해서도 아예 생각이 없는 것은 아니라서요 !! 한양대 경금 졸업하면 계리사 최종합 안하고도 학부 때 좋은 회사 잘 가나요 ?? 차라리 계리면 수학이 낫겠다는 생각도 있어요 ㅠㅠ 그리고 경금 졸업 후에 증권사가 아닌 대기업에 입사하면 주로 어떤 직무로 들어가게 되는지 알고 계시나요 ??
제 지인들은 거의 대형 손생보사 이긴합니다. 다만 정량적인스펙 만으로 모든 취업이 결정되는 것이 아닌 오히려 면접 인상 태도 같은게 더 중요하긴 합니다.(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최종합 없이도 가긴 잘 가긴합니다. 무조건은 아닙니다. )계리면 수학이 낫겠다도 개인적으론 딱히이긴 합니다. 수학과에서 배우는 학문적 수리랑은 거리가 “매우” 멀어서요.
대기업은 보편적으로 경영지원 그중에서도 경영기획 혹은 재무회계를 가는것이 보편적이지만 그쪽길또한 워낙 다양하다보니 하나로 말씀드리기 어려울것같습니다.
근데 사실 보험학회라는 게 있다는 거부터가 말이 안되는 거임…서연고랑 서강대에 보험학회가 있는 거 봤음?? 리스크 관련 학회는 있지 근데 거기는 금융쪽 간다는 사람들 기준으로 2티어
ㅋㅋ... 2티어라뇨 애초에 목표가 다른거죠
계리하는 사람이 증권사 목표하지 않지만 낮은건가요..? 계리판 학벌은 서연고서성한으로 도배되어있습니다. 보험쪽은 학회문화가 자리 안잡아서 그랫던게 크구요.
자산운용 기준으로는 보험사 자산운용은 국내증권사 ib들보다 빡센경우가 많습니다.
보험쪽이 학회문화가 왜 자리 못잡았냐 하면
우선 통계학과 출신들이 절대다수 여서 일반적인 상경계랑 좀 달랐고, 보험계리사 시험이 생긴지 얼마 안됐으며 인원 증가도 비교적 최근 일이며, ‘보험사’ 만 노리기엔 뽑아가는 자산운용쪽 인력은 몇명 안되기에 학회로 이것만 목표로 하기 애매했기 때문입니다.
지금은 계리 인력의 수요와 공급이 과거에 비해 확 늘었기에 서서히 학회도 생기고 고려대에서도 하홍준(보험계리박사)교수님 모시고 하고있고요. (현재 이화여대에도 보험계리사반이 따로 운영되고 있고, 학회도 설립 준비중이라 들었습니다. 태동기이고 성대 한대가 깃발 먼저 꼽은것이라 이해하시면 좋을것같네요, 비슷하게 서연고서성한 모두 부동산금융학회의 역사가 굉장히 짧은데 대체투자 붐이 생긴지 그렇게 오래되지 않았기 때문이지 절대 부동산PF업계가 금융권에서 2티어였던게 아닙니다)
아이고 계리사는 전문직인데 완전 별도죠 ㅋㅋㅋㅋㅋ 그리고 금융쪽에서 보험 운용은 나중에 이직해서 가는 곳이지, 첫 직장으로 가는 곳이 아닙니다. LP 성격이 매우 강해서 특정 스킬셋을 요구하지 않는 곳이라서 그래요. 보험사, 생명사도 그렇고 카드사나 캐피탈사 대부분 재무/회계 및 영업 등 금융 관련해서 제대로 배우는 거 없이 그냥 대기업 직장인처럼 삶을 살게 되어서 그렇습니다. 현직 맞으신가요??
그리고 개인적으로 한양대 hyfe나 스탁워즈나 뭐 이런저런 학회 친구들 많이 아는데…ㅋㅋㅋㅋㅋㅋㅋ 솔직히 한양대 출신에 현업에 계신분이라면 아웃풋 등등 아시잖아요. 모른다면 그냥 겉핥기 수준만 아시는 거네요.
제가 보험업 현업 계리사인데요... 도대체
그리고 제가 시작부터 계리쪽 기준으로 보험학회를 말하고있는데 편집적으로 글을 해석하시네요.
운용쪽은 확실히 채용이 적어 학회가 안되어있다고도 했구요. 다만 신입채용이 없는건 아닙니다. 실제로도 간사람이 친구중에도 있구요. 진짜 겉핥기만 아시는건가 보네요.
금융권이 그리고 증권 자산운용쪽처럼 파격적이여야 금융권인가요. 대기업처럼 안정적인 금융권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가는거 아실텐데요.
그리고 계리사가 완전 전문직이라고 하기엔 취업시장 얼어붙어서 연고대 최종합 탈들도 꽤 많습니다. 시험이 어려운것과 별개로 개업위주의 다른전문직들과 사정이 좀 달라요.
비하와 조롱의 말투를 쓰시는 분이여서 더이상 댓글로 논쟁은 하지 않겠습니다. 행복한 연말 보내세요.
계리사는 학회가 있다해서 되는 것도 아니고, 계리사가 취업이 힘들다 하더라도 결국 증이 있는건 시장에서 천지차이입니다. 그리고 계리사 갖고 계신 현직이라면 더더욱 본인의 노력이 대단한 거지, 그걸로 학교를 왈가왈부할 수 있는 건 아니라고 봐요. 대부분의 학생이 가고싶어하는 금융권이라 할 때엔, 회계법인이나 세무법인, 보험 설계 등 자격증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분야가 아닌, 단순 개인의 스킬셋과 기타 요인 (인맥, 학벌) 등이 요구되는 분야일겁니다. 그리고 해당 분야가 증권사나 자산운용사, PE 등으로 귀결되는 거고요. 은행, 보험사 등 안정적인 금융권이라면 굳이 학회가 필요하지 않을 뿐더러 학교가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아서 댓글 남겼습니다. 다소 공격적으로 임한 점 사과드리며, 마찬가지로 즐거운 연휴 보내기길 바라겠습니다
수학과 가십쇼 다른 과에서 하는거 수학과에서 다 할 수 있습니다
금융권에서 수학과 출신 좋아함 수학과 ㄱ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