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학 공부하며 느낀 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631053
중상위권과 상위권의 차이는 엄밀성이 가장 큰 듯함
감으로 이렇게 될 것 같아서가 아니라 논리적으로 설명이 가능한 경지에 올라야 하는데 나는 그럴 실력도 의지도 부족했고 결국 2등급에서 더 못 올라갔음
이 연장선상에서 22번급 추론 킬러도 일관성 있는 전략이 아니라 대충 직관으로 때려맞추고 그게 맞으면 맞고 아니면 틀리는 식으로 쭉 갔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인생 망했네요 5
지난 15주차동안 나는 무엇을 하였는가...
-
메가스터디 기존 강의(25버전) 언제 사라지나요??(덕코드림) 14
26버전 다 올라오면 사라지나요? 아님 다 안 올라와도 사라질 수 있나요?
-
서울 주요대학 변환 표준점수는 언제쯤 나오나요..? 1
현역이라 입시가 처음인데 서성한중경외시같은 주요대학은 보통 변표를 언제 발표하나요?
-
커뮤하는이유 1
그야 재밋잔ㄹ아
-
이건 다 스윗남때문임
-
ㅈㄱㄴ
-
아니 이제는 커뮤까지 뺏어가냐… 커뮤는 도태된 사람을 위한 걸로 남겨둬라….
그래도 1년만에 4->2는 ㄹㅇ 고능아가 맞다
그런줄 알았는데 과외생중에 진짜 논리성은 엉망인데 문제 맞히는데는 도가 터서 올수능 96점 맞은 친구도..
직관에 도가 튼 친구네요
친구 중엔 직관성은 엉망인데 논리에는 도가 터서 완벽하게 문제 푸는 방식으로 가형 1등급 맞았던 친구도 있구요 근데 논리성이 되면 직관성도 결국 나중에 늘더라고요
맞네요 어찌 보면 직관은 곧 논리의 시각화라
직관은 논리를 어느 정도는 대체할 수 있다 생각해요
얼마나 커버할 수 있는지가 역량의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