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적으로 독서 1등급 받는 방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577096
안녕하세요. 카르마 아카데미아 원장 소테리아의 길 입니다.
각설하고 설명하겠습니다.
아무리 문제를 많이 풀고, 양치기 선지분석을 해도 3등급 4등급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학생들이 있나요?
그런 학생들은 두 가지를 빡세게 키우면 됩니다.
가. 문장 이해력
나. 배경지식
1. 문장 이해력이라는 건,
문장을 읽고 본인이 사전에 이미 알고 있던 지식과 개념으로
타인에게 설명이 가능한 정도를 말합니다.
실제 기출로 설명하겠습니다.
아래는 2019학년도 수능 <서양과 동양의 천문학 이론> 비문학 지문 입니다.
첫 번째 문장은
"16세기 전반에 서양에서 태양 중심설을 지구 중심설의 대안으로 제시하며 시작된 천문학 분야의 개혁은 경험주의의 확산과 수리 과학의 발전을 통해 형이상학을 뒤바꾸는 변혁으로 이어졌다."
이 문장 자체를 이해하고 남에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옛날(약 500년 전), 대부분의 사람들은 “지구가 온 우주의 중심”이라고 믿었어. 그런데 어떤 용감한 학자들은 “사실 태양이 중심이고, 지구를 포함한 다른 행성들이 태양 주위를 돌고 있어”라고 주장했지. 이 새로운 생각은 그냥 믿는 것에 그치지 않고, 실제로 하늘을 관찰하고(경험), 별과 행성의 움직임을 숫자로 계산(수학)하는 방식으로 뒷받침되었어. 그렇게 하다 보니 세상을 이해하는 방법이 달라졌어. 즉, “그냥 믿는 것”에서 “보면서 계산하고 확인하는 것”으로 바뀐 거야. 이 변화 덕분에 사람들은 눈에 보이는 현상을 바탕으로 좀 더 정확하고 믿을 만하게 세상을 이해하게 되었고, 그 덕분에 과학이라는 새로운 생각의 뿌리가 깊어지게 된 거란다."
한 문장을 빨간색 문장처럼 설명할 수 있을정도로, 읽고 완전히 이해를 하는 훈련을 해야합니다.
그래야 수능 국어에서 필요한 독해력 자체를 키울 수 있습니다.
별 필요하지 않은 스킬과 유명 강사의 강의만 따라간다면 '본질' 그 자체를 잃어버릴 수 있습니다.
-> 핵심은 한 문장씩 이해하려는 노력을 해야 합니다.
시간이 없는데 ?
= 그럴 수록 다시 기초를 닦아야 합니다.
이 훈련을 얼마나 해야 하나요?
= 학생들에게 45일만 제대로 시킵니다.
2. 배경지식
배경지식이 없다면, 한 문장씩 이해하려고 노력해도 지식을 연결하기 어렵습니다.
그렇다고 책을 읽기엔 시간이 없고 (고등학생들의 상황을 잘 압니다.)
논문을 보고 싶지만, 수준이 높고.
이럴 때는 유튜브와 칼럼(사설)을 통해 배경지식을 쌓아야 합니다.
흉내만 내지 말고, 정확히 제대로 위 두 가지만 키운다면 독해력과 이해력은 분명히 올라갑니다.
그 후 강의를 듣고. 스킬, 선지 분석을 하는 것 입니다.
명심하세요. 순수한 독해력과 이해력 그 자체를 쌓는 게 중요한 시험이란 걸.
- 앞으로 독해와 논술에 대해서 유익한 글을 많이 올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꾸벅.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오랜만에 ㅇㅈ 10
.
-
24수능 언미영생지 백분위로 98 99 1 98 95였음 24 수능 이후로 국어랑...
-
스카 다니면서 독재했는데 공부 시간은 어느 정도 나오면서도 너무 생활패턴이...
-
질문글 10
저 올해 6모 몇등급 가능할까요??
-
https://orbi.kr/00028826951
-
칼럼 주독자층을 대변할 심사위원은 나밖에 없다 이말이야
-
잘 4
자요
-
인서울 높공 전자공학을 꿈꾸고 있는 학생입니다. 그런데 제가 공부할 때 처음에는 좀...
-
크아악
-
조까튼 월요일 5
축구도 비겨서 짜증나
-
느린맘이라는 강민철 프사랑 그사람 따라하는 빠른맘이라는 강민철 프사가 메인에 같이...
-
낭만의 언기물지 4
참가부탁
-
안녕히 주무세요 6
잠 잘자고 여러분 같이 의대 갑시다
-
뻥이야 미안해
-
그럼.. 공부도 gpt없이하고 과제도gpt없이했다고요? 어떻게요? 꺄아악
-
메디컬 스카이 에피센츄 고트들도 심사위원에 있어야하지만 칼럼의 주된 독자층인...
-
다 덮인 앞머리 있는 상태로 나가는 걸 존ㄴㄴ나 싫어함
-
흐물흐물 1
말랑말랑
-
새벽마다 나 6
띠발..
-
또는 집착 심할거같다 하는 사람 있나요

잘 읽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