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원자핵공에 대하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572817
원자력 관련 종사자이고요. 원자력에 대해서만 말씀드리면
1. 굉장히 느린 학문 : 큰 줄기의 변화는 굉장히 더디지만, 내부에서의 연구개발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 (연구개발 펀드 많음)
- 그래서 나이가 들면 들수록 인정받음. 55~58세 정도가 최고의 대우를 받음. 타 학문에 비해서 길게 일하는 게 가능 (65세정년 이후에 70세까지는 대부분 자신이 원하면 활발히 연구활동을 하심. 그 이후도 하시고.)
2. 진로
- 대학만 졸업 후 공기업 : 생애 연봉만으로 보면 더 많을 수도 있습니다. 남자의 경우 군대 빠르게 다녀와서 27세에 공기업 취업을 하면 무려 40년을 일하게 될 겁니다. 아마도 현재 기준 연봉으로만 봐도 40억이 넘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안정된 삶을 누릴 것이고 결혼이나 향후 삶도 굉장히 안정적일 것이고요. 그리고 대부분의 에너지 공기업이 석/박사 지원제도가 있습니다. 이 또한 그리 어렵지 않게 갈 수 있습니다. 의지만 있다면 취업 후 석/박사를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대학원 졸업후 연구원 : 연구원 소득과 공기업 소득은 큰 차이가 없습니다. 만 40세 정도 1억 정도 보시면 됩니다. 다만, 일 자체가 좀 다릅니다. 보다 자유롭고, 연구개발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에서 일을 하게 됩니다. 근로자의 선택지로 보면 제 기준에서는 거의 최고입니다. 워라벨부터 모든 것들이 완벽합니다. 실제로 소위 잘나가는 현대차 팀장급이 2억 정도이지만, 원자력연구원/공기업 책임급 대부분 비스무리하게 1.3~4억 정도이고요. 그럼에도 공공기관을 훨씬 더 추천드립니다. 성과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정말 즐거운 삶을 살 수 있습니다. 유연근무제(자율출퇴근), 재량근무제(회사를 안 가도 됨. 시간 자체의 구속이 없음) 등...
2. 학문의 공공성 :
- 거의 모든 직장들이 공공기관임 (한양대 정도 들어가면 공공기관 취업은 거의 확실시...) : 안정적이고, 에너지 공기업의 특성상 연봉이 나쁘지 않음 (현재 만 40세 기준 1억 정도는 됨). 현재는 61~2세이나 65세까지 마음편하게 근무 가능할 것으로 보임
- 공공성이 짙고 전력기금에서 국가 펀드가 형성되므로, 산업의 흐름과는 상관없이 굉장이 안정적임.
- 외부에서는 정치적인 색이 강하게 입혀져 있기 때문에 정권에 따라 많이 휘둘린다고 보지만, 공공기관이므로 수입, 연구 활동 등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음. 무시하고 살면 됨.
- 다만, 타 학문에 비해 공공성이 워낙 강해서 벤처 등은 쉽지 않음.
- 물론 민간회사를 원하면 서울대 핵융합 전공시 박사로 삼성전자 하이닉스등 반도체 업계로 아주 쉽게 취업이 가능함. 개인적으로는 국책연구기관, 공공기관이 훨 낫다고 봄.
그리고 서울대의 장점
3. 서울대의 장점 :
- 종합대학으로서 규모와 서울에 위치... 이런것도 있지만 사회에 나와서 보면 서울대의 어느 분야를 나오던 그 분야에서는 탑임
- 그리고 서울대의 인적 네트워크는 막강한 위력을 발휘함. 카이스트와 비교하면 대부분의 직장에서 서울대가 높은 급의 관리자에 위치할 확률이 왜 많은지 생각해 보면 됨.
- 또한, 카이스트의 색깔이 보편적으로 개인주의적이지만, 서울대는 굉장히 탄탄한 동문의 힘을 형성함. 사회 생활에서 엄청난 힘이 됨.
그리고 현재 기준으로 한양대 원자력공 이상은 취업은 전혀 걱정할 필요없습니다. 모자라서 서로 데려가려고 난리입니다. (석,박사 기준)
다만, 원자력 학문이 느린 이유는 배울게 많아서입니다. 그래서 꾸준히 공부하고 연구하면 더 재밌는 삶을 살아갈 수 있어요. 참고로 공기업 연구직 직원들도 70% 정도는 석사 이상의 학위를 가진 사람입니다.
궁금한 점 있으면 물어보세요~
0 XDK (+0)
-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04년생#05년생#07년생 인증O) 탈탈털린 짱르비 33 22 
- 
        
        #공지#국어#독학생 9모 '두 출발' 떠 먹여드림 98 30 
- 
        
        ㅈ반고 수준 ;;; 1 1 어그로끌어서 죄송합니다 내신 1.05에 생기부 중간 정도면 어느 의대 선까지... 
- 
        
        설대 핵심 권장 과목 0 0 획통 미이수 지균인데 뒤집힐까요? 아슬아슬한데 
- 
        
        점공계산기 서울대 지균 1 0 지균이 교과 40프로 들어가는데 셈퍼님 계산기에 이것도 반영되는건가요 
- 
        
        관리형 스카 와이파이 3 0 인강 앱이랑 오르비(이건 왜 되는지 모름) 빼고 다 막혀있는데 유튜브 해강도... 
- 
        
        설대 3칸합 가능? 12 0 인문 지균이고 학생부는 ab 기대해볼수있을거같아요 
- 
        
        광운대 농어촌 가군하나 다군하나 쓰고싶은데 가능하나요? 1 0 제제곧곧내내 
- 
        
        출처: 2025 기균 정보공유방 의대 31명 치대 8명 한의대 5명 약대 62명... 
- 
        
        서울대 과 선택 도와주세요ㅜㅜ 3 1 서울대 공과대학 광역 서울대 학부대학 서울대 첨융 중에 고민중이고 공대 광역은... 
- 
        
        서울대 경제 정시 권장과목 2 1 경제학부 권장과목에 미적분 있던데... 고등학교 때도 미적 안 들었고 수능도... 
- 
        
        기균 이거 sky 가능함?? 4 0 제 동생이 대학가는 데 자꾸 차상위로 기균을 신청할 수 있는 데 뽑는 인원이 적다고... 
- 
        
        정시 기균 기회균형 질문 0 0 국어 4 화작 백분위 60 수학 3 미적 백분위 81 영어 5 생명 5 백분위 41... 
- 
        
        어라 어딨는거쥐 
- 
        
        어떻게 하누ㅠㅠㅠ 
- 
        
        수시 반영 정시 4 0 정시에서 내신성적으로 교과평가 들어가는 것 처럼 수시 반영하는 정시전형 어디대학교... 
- 
        
        이투스패스 월간결제 취소 2 0 되나요?? 자동결제 해지를 안해서... 당연히 강의 시청은 안했습니다. 
- 
        
        고려대 학추 0 0 수학교육과 빠질 예정이신 분 있나요 간절합니다 
- 
        
        고대 수교과 2 0 고대 수교과 학추로 빠지시는 분 있으신가요? 제발ㅜㅜ 
- 
        
        경희치 합격!! 8 4 
- 
        
        서울대식 406.5 16 1 서울대식 406.5점, 내신 1.9이고 경제학과에 지원하려고 합니다..! 진학사에서... 
- 
        
        대학라인이 가늠이 안되네요 4 0 현재 희망하는게 일단 서성한이상 공대를 바고보고 있긴합니다 근데 또 상황에따라... 
- 
        
        이번애 원서 넣는 고3은 아닌데 학교에서 정시 지역 균등 전형 지원서를 받더라구요... 
- 
        
        Gist vs Unist 1 0 Gist는 버스타고 5시간 거리이지만, 환경 분야에 있어서 아시아 탑급이라고... 
- 
        
        경희대 예비인데 0 1 지균 간호학과 앞에 8명 빠졌는데 2차 때도 몇 명 정도는 더 빠지겠죠??? 제발? 
- 
        
        수시 추천좀요 0 0 님들 진짜 아웃풋만 보고 선택좀 
- 
        
        디지유 3 0 서성한 공대랑 같은 급 맞나요? 요즘에도 
- 
        
        서경대 예체능 0 0 학비 얼마인지 아는분? 홈페이지에 없길래 
- 
        
        12월 26일 까지 예비번호가 안 바뀌는데 합격여부를 어떻게 판단하죠??ㅠ 예치금... 
- 
        
        제주대 합격 됐는지 아닌지 알려주세요ㅠㅠ 등록예치금 내야 하고 기다려야 하나요?... 
- 
        
        현역 문과 설공 내신평가 1 0 현역 때 내신은 총 1.9에 우상향 곡선이긴 했는데 문과라서 통합과학 말고는 거의... 
- 
        
        설대식 392면 4 2 이거 서울대 추합도 힘들겠죠…? 생지여서 과도 한정적인데 
- 
        
        크리스마스 이후 진학사 표본 0 0 수시등록 마감 이후에 표본이 더 많이 들어오나요?? 크리스마스 이후가 진짜라는 글... 
- 
        
        ex)조선의(조선치도 과1만 반영하나요?) 
- 
        
        서울대 원자핵공에 대하여 9 3 원자력 관련 종사자이고요. 원자력에 대해서만 말씀드리면 1. 굉장히 느린 학문 :... 
- 
        
        지역인재는 그냥 0 3 그거 잘 활용해서 들어간 사람 문제 없고 사실 겉으로는 지방학생들을 차별 완화... 
- 
        
        진학사 바로 위 표본인데 3 0 95 99 2 97 100 지역인재로 경상국립대 의대 가능?? 
- 
        
        중앙대 예비 1 0 융합공학과고요 예비 18번 가능할까요? 모집인원은 35명인데 올해 수시 지균 전형... 
- 
        
        이번엔 4명뽑고 작년엔 5명뽑아서 16번 제작년엔 5명뽑아서 8번까지 돌았는데... 
- 
        
        현역으로 카의 합격! 19 19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사랑해요... 가톨릭대! 
- 
        
        고신대 의대 지역인재(수시) 이거 추합 붙냐….? 0 0 그냥 정시로 서울대 낮공 즈음으로 가고 싶은데 Ufo 납치되나요? 
- 
        
        서울대 합격 ㅇㅈ 31 34 아직도 실감이 안나네요;; 이제 하산하겠습니다 
- 
        
        텔그 낙지 서울대 문과 0 0 지금 어떤가요...? 짠가요 아님 후한가요? 아직 표본이 다 안들어오긴 한 것 같은데.... 
- 
        
        아니 난 아닐줄알았지 5 0 본인 06이고 전과목 내신 1.16?7?임 원래 그냥 스카이나 가지 했다가 성적... 
- 
        
        과기원 서성한 16 0 한양대 화공 성균관대 공학계열 유니스트 디지스트 이렇게 중에 고민해 봐야할 거... 
- 
        
        서울대 지균 질문 7 0 서울대 지균이랑 일반 교과평가 기준은 똑같은건가요? 지균도 대부분 BB 받는건가요?... 
- 
        
        . 
- 
        
        이번엔 좀 제대로 꺾였다 0 1 무슨일이 있어도 차분하게 수험생활을 해나가기로 했지만 이번엔 좀 많이 꺾인 듯..... 
- 
        
        서울대 교과평가 질문 2 0 서울대 일반이랑 지균이랑 교과평가 똑같이 하나요? 지균이 더 빡세다는 말도 있어서 머리가 아파요.. 
- 
        
        3합4 3합5 최저는 맞춤.. 올해 경쟁률 역대급 오르고 최저 맞춘 사람도 많아... 
 
     
                
             
     
     
     
     
     
 
 
     
 
    






 
 
                  


보통 학부생들은 한수원을 목표로하는지가 궁금합니다
서울대를 간다는 의미는 한수원을 목표로 한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그럼에도 일부 학부 졸업 후 취업을 하는 학생들이 있는데, 한전기술, 한전원전연료, 한수원, 국가정부기관 등 다양하고요. 게을리 살지만 않았다면 (학점 기준 3.0 미만) 대부분 쉽게 갑니다. 여담이지만 관리자들이 서울대를 바라보는 시선은 이미 실력은 검증되었고, 인성만 제발 좋아라... 이런 기도 정도 ^^; 그리고 한수원도 좋은 곳이지만 워낙 좋은 공공기관들이 추가로 있기 때문에 서울대생들에게는 최소한 석사라도 하고 아주 쉽게 그런 곳으로 가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게 가성비 최고입니다. 서울대 원자과 학생들은 자소서를 제대로 안 써본 친구들도 많습니다. 그냥 취업이 되어버려서.... 석/박사때 연구하고 있으면 그냥 데려갑니다 ㅡ,ㅡ 그리고 중요한 건 취업후의 삶입니다. 냉정히 이야기 해서 카이스트는 취업을 하고 나면 자신이 하드캐리 하지 않는 이상 올라가는 게 어렵습니다. 주변에서 도와주는 사람도 없고... 서울대는 성격만 모나지 않으면 많이 챙겨주고... 직장 내에서도 잘 나가더라고요.
화학이 되게 안 맞아서 생지를 했었는데 화학을 안했으면 많이 버거울지 궁금합니다!
화학은 안해도 큰 문제 없습니다. 화학 관련 과목이 있긴 하지만 오히려 물리에 가깝고 화학과 크게 관련 없는 분야가 대부분입니다. 다만 물리가 부족하면 문제거 좀 있을 수 있어요
현재 반도체 계약학과 재학중이고 대학 미적,물리 수업이 재밌고 반도체과도 적성에 잘 맞는거 같습니다, 이번 수능 서울대 공대권 가능한데 생지 선택으로 첨융,재료공 두학과로 고민중이였는데 원자핵과가 반도체로 빠질수도 있나요? 생지 선택으로 전기,기계는 지원불가합니다ㅜㅜ
조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꾸벅
좀 늦었지만 답변드리면 반도체로 빠지는 루트는 생각보다 꽤 많습니다. 우선 과 내부만 설명드리면 반도체 제조 공정 중 플라즈마 식각 관련 부분을 다룰 수 있는 분야가 몇 없어 원자핵공학과 출신이 요구됩니다. 당장 하이닉스 개발총괄사장님이 원핵공 출신이십니다. 혹시 관련 분야가 궁금하시면 원핵공 홈페이지 교수님중 응용 플라즈마 분야와 일부 핵융합 관련 분야 교수님 연구실 홈페이지를 구경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Alumni를 확인해보면 삼성전자가 꽤 큰 부분을 차지합니다
또한 과 외부로는 인공지능반도체등 연합전공을 통한 루트도 있어 반도체 분야로 진출이 힘들까 하는 고민은 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다만 계약학과 시면 지금도 어느정도 높은 학부이실텐데, 대학원이 아닌 취업이 목적이시라면 굳이 옮길 필요 있나 싶습니다. 더 높은 목표가 있으시다면 고민해 봐도 좋을거 같아요
보실지는 모르겠지만 질문 남깁니다.
현재 제주대 원공으로 가게 될 것 같은데
원자로, 방사선 쪽에 관심이 많고 SPK 대학원까지도 생각중입니다.
이런 점에서 가능하다면 경희, 한양 편입 or
현 대학에서 전공을 더 열심히 공부하면서 학부연구생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좀 늦지만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공기업에서는 대학교를 보지 않는 걸로 아는데 학벌이 공기업 취업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