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이 안다고 생각하는게 이미 어린 것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225729
애초에 이 세상은 누가 많이 아느냐의 싸움이 아니라
누가 빨리 벗어나냐의 싸움
우리는 이미 모든걸 알고있는 존재인데,
우리를 제약하는 것들로부터 조금씩 탈피하거나 거기에서 잘 적응해버린 것을
새로 알았고 배웠다라며 착각하는 걸수도.
어린아이들이 "왜?"라는 질문을 끊임없이 하는 이유에도 답이 있을거라 생각.
우리는 당연한 것이 왜 당연한 것인지 모르는 경우가 부지기수임.
메인글 작성자는 일반적인 시각에선 무언가 많이 알고있음은 맞지만,
그 일반적인 시각을 바라보는 시각에서는 자신이 모른다는 것을 알지 못하는 것으로 보일듯.
뛰어나다고 칭찬해줄수록, 오히려 그런 관점에 영영 머물게 될수도.
소크라테스의 사상에 무지의 지가 괜히 있는게 아님ㅎㅎ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서성한 높공 가능할까요?
-
올해 사탐런하고 처음 사탐해본 사람입니다. 6.9.수능 독립 시행, 수미잡이라는...
-
야 짜장면사줘 1
나랑 사귈래?진짜 많이 고민했어. 장 난아니야…사귀면 정말 잘해줄게..사 랑해. 문자 보내줘
-
별이삼샵 화나네 3
우으으응
-
바램 11일차 2
무언가를 간절히 바라면 그게 이루어진대요 지구 2컷 37 11일차
-
쉬는 시간에 책 처읽고 사회화 좆박은 새끼였음 그래서 지금도 이 모양 이 꼴임
-
일단 아침7시에 일어나서 생각하자
-
만점을 위해선 화2랑 지1중에 어떤과목이 더 공부량이 많나요?
-
마크 재밌음 14
진짜 오늘 약속 나가기 전까지 마크만한듯
이건 맞음뇨 저도 어림뇨
응애
이게 약간 그거임
현명한 생각을 하려면
메인글 작성자같은 생각을 하는 과정이 중간에 꼭 있어야 함
그런 생각을 해봐야 본인을 성찰하면서
그 다음 단계인 진정으로 현명한 생각을 하게 됨
아 맞네요
성찰하지 못함에서 성찰함이 가능하니까..
제가 딱 저래봐서 압니다
문제는 요즘 커뮤니티가 너무 발달해서
어린 생각이 성장할 기회를 갖기도 전에
만인에게 표출되고 공개된다는 것이죠
저도 예전에 저런 성향이 짙었었는데, 그 시절을 그새 또 잊었네요. 그런 과정을 고려하지 못함에 있어서 저도 스스로를 돌아보게 되는군요.
결과만을 보지말자는 말 또한 결과가 되기에, 곤혹을 겪는 요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