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182119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2년 쉴줄은 몰랐음 20
나의 무지를 탓하고싶구나
-
이걸 뭐라고 말하지
-
스시집 알바
-
독재 가야겠다 1
ㅜㅜ
-
방금에타 ㄹㅈㄷ 기만글 14
남잔데 이거보다 작은데 ㅋㅋㅋㅋㅋㅋㅋㅋ
-
세개 어케 병행하는게 좋아여 님들
-
으흐흐 0
왜클릭
-
생윤 사문 하고있는데 생윤은 리밋 진도맞추서 들으면서 기시감도 열심히 풀고있고...
-
빅포텐 받았는데 7
생각보다 얇네요 아 왠지 다행같기도 하고요ㅋㅋㅋ
-
교시사이에 이동시간 17
10분이면충분???
-
샤브 입니다
-
ps 유툽에서 나온거 빌린건데 한화는 짜장면에 탕수육까지 야무지게 쳐먹고 있는데...
-
서울대(동대문캠)
-
뭐임?
-
옯쓱 1
-
밥먹고 공부 ㄱㅈㅇ
-
시발
-
그냥 부러워서요
-
중앙대 약학대학 신입생 카페 가입 안내 안녕하세요,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제 41대...
-
중경외시 공대에 입학했는데 무휴학으로 연대 인문논술만 준비가능할까요..? 연대...
-
60대이상은 뭐가 더 대단하다생각함?
-
키따라 많이 다르고 사실 근육량도 보긴 해야하는데 순수하게 키랑 몸무게만 보면...
-
팩트는 저게 팩트라는거임...
-
보통 다른학교보면 수학과가 엄청 높은과는 아니잖음 공대가 훨신높지 근데 설수리는...
-
고려대 추합 몇번까지 돌았는지는 어디서 확인 가능할까요?
-
대구사람이었노? 개추운데
-
강제 금연실패...
-
수능 성적표 들고 가야 하나요? 아예 제출하고 오나요
-
병호햄 고마우이 대병호 최근 나오는 귀납적 수열 문제는 다 술술 풀림 ㅈㄴ 짜릿하네
-
과외1주차는 좀 어색했는데 2번째 수업준비는 너무 잘 풀려서 수업자료 개빠르게 풀고...
-
가능. 3
-
그것만으로도 나름 성공인 거 아닐까 작년엔 시발 내가 이 학교 이 학과에...
-
27일까지 일정 있어서 28-30일로 제주도 갈까 생각했는데 생각해보니 2월은 28일까지만 있었음
-
(서울대 합격 / 합격자인증)(스누라이프) 서울대 25학번을 찾습니다. 0
안녕하세요. 서울대 커뮤니티 SNULife 오픈챗 준비팀입니다. 서울대 25학번...
-
식물행사 가는중 6
후후
-
헬스끝 0
플랜핏이 하라는대로하면 쉬운건 개쉬운데 허리빠질건 허리빠질거같네
-
오늘은 별로 안 춥네요 17
-
그리고 신분상승 (2025) Let's go
-
아 ㅈㄴ잠오네 0
더 ㅓ저고싶은데그러수가업서
-
공부못하고키작고돈없고얼굴뭉개지고자존감없고과체중이면 16
어떡함?
-
(대구2호선)
-
자살각임?
-
개잘가르치네ㅅㅂ
-
2년 후에 서울대 경영학과 가능성이 어떻게 될까요? 1
안녕하세요. 제가 유학가다가 부득이한 사정으로 한국에 돌아오게 되어서 입시를...
-
로블록스할사람 2
로블록스할사람?로블록스 로블록스할사람
-
어케해야돼노 ㅜㅜㅜㅜㅜ
-
어디로 가야하는가. 츄가모집
-
대학 친구들이 기분 나쁠수있자너
-
내신이 모의고사식으로 나온다 들어서 뉴분감하려 하는데 작년거 들어도 되나요? 교재가...
이번 국어에서도 유의미한 성과를 거두셨나요?
하나 틀려서 좀 아쉽네요
올해 더 높은 곳으로 가시나요
옮기긴 할 것 같아요
얼마나 많이 올릴 수 있을진 아직 잘 모르겠어요
작년에 몇개 틀리셨고 올해 몇개 틀리셨나요
5->2 입니다
본만님 정도의 성적권에선 한 문제 더 맞추느라 분골쇄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하실텐데 중간에 현타오거나 멘탈이 나가진 않으셨나요
개인적으로 올해는 실력이 오르고 내린다는 느낌보단 실력은 이미 어느 정도 자리 잡혀 있는 상태에서 매 모의평가를 칠 때마다 주사위를 던진다는(실력보다는 운이 더 중요하게 느껴지는) 느낌이 더 강해서 그 부분은 스트레스였던 것 같습니다. 본질적인 실력을 더 올려야겠다는 것에 대한 스트레스보다는 어떻게 해야 실수를 안할 수 있는지에 대한 스트레스가 더 강했고, 더프를 칠 때마다 한 두개의 실수에 따라 매달 대학 라인이 오르락내리락 하는 것을 보면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던 것 같습니다.
방가워요
수학 다맞으셨나요
22번 틀렸습니다
이번 시험에서는 이게 제일 아쉽네요
수학에 대해서 여쭤보고 싶습니다!
1. 한문제에 대한 다양한 풀이 모색하기 vs 일관된 풀이로 문풀수 늘리기
2. 인강 딸린 n제들 인강 다 듣기 vs 그냥 궁금한 것만 듣기 vs 걍 안 듣기(저는 두번째를 선호하는데 강사들은 생각치 못한 풀이가 나올 수 있으니 첫번째를 권유하더라구요)
3. 수준에 맞는 n제로 난도를 계단식으로 높여가기 vs 어려운 n제로 뚝배기 깨져가며 공부하기(상,하반기에 따라 달라질까요?)
우매한 질문 죄송합니다ㅜ
1. 상반기에는 다양한 풀이들을 시도해보면서 시야를 확장시키셔야 하고, 하반기에는 상반기에 가졌던 경험들을 바탕으로 시험장에서 일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풀이법들을 좁혀나가는 학습을 하셔야 합니다. 궁극적으로 전자의 학습에서 시작하여 후자를 향하는 방향의 학습이 이뤄가야겠네요.
2. 두 번째로 학습하시더라도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답을 맞췄을지라도 조금이라도 애매하다 느껴지는 부분들은 최대한 강의들을 다 들어보시길 권합이다.
3. 계단식으로 학습해나가시는 것이 더욱 효율적일 것이라 예상합니다.
2411 독서 VS 2511 독서
어느 게 더 난도있었다 생각하시나요..?
2511이라 생각합니다
과탐 속도, 정확도 높이면서 킬러 잡아내는게 개어려운데 이거 하신방법
이번 수능을 본 현여기임다 서울대 공대나 자유전공학부에 가고 싶은데 올해 수능에서 물리가 병크가 터져서 결과가 아쉽게 됐습니다. 내년에 반수를 하게 되면 계속 물리를 해야 될까요 아니면 물리 대신 다른 과학 탐구를 선택해야할까요 저는 개인적으로 투과목 중 화2를 선택해서 2~에서 꽉찬 3을 목표로 하고 다른 과목 세 개를 더 완벽하게 할까 생각중입니다.
작년 수능 과목은 어떤거 선택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