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182119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코에가유 이케토유우
-
약 먹으면 안 아픈거 아녔냐고 ㅠㅠ
-
수시납치 0
수시납치 피하려면 상향지원하거나 면접전형으로 하는수밖에 없나요
-
ㅇㅈ 2
이걸 받을 때 심장 떨렸는데
-
별이삼샵재밌네 3
이런 연애물이랑 판타지로 ㅈㄴ 싸우는거 2개만 보는듯 전독시/히어로킬러등등..
-
강대마냥??
-
epimetheus1008 얘도 300을 향해 가는군요
-
하고 싶은 게 너무 많다
-
재종 개학해서구나
-
불편해? 1
불편하면 자세 예
-
겨울에 노상 까는 건 미친 짓임
-
아직 추합 끝나기 전이긴해도 오늘 대성 n수 할인마감인데 걍 사놓을까? 좀 병신인가
-
수능 및 내신 수학에서는 어느 정도 분류에 따른 풀이 틀을 잡아놓아야 하는 게...
-
미국유럽호주쪽 애니 좋아하는사람인데 (보잭홀스맨, 쉬라, 스마일링프렌즈,...
-
수업 맛있었다 오늘
-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동국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동국대생, 동대...
-
참고로 제 정답률은 처참합니다
-
현역 때 성적맞춰 동덕여대 들어감. 대학 이슈 터지기 전부터 여대 너무 안맞는 거...
-
돈이 없어 0
ㅠㅠㅠ
-
어 야발 1
두시간이나 잤네
-
미쿠단으로 넘어오세요 호김고닉 정시의벽이 함께 합니다
-
시발점 하기전에 0
안녕하세요 이제 제대로 공부 시작하는 예비고2입니다.시발점 대수 들어보려고 하는데...
-
글리젠 십ㅋㅋ 2
망
-
팬티에요 2
-
일반 모고사이즈임?
-
ㅋㅋㅋㅋㅋㅋ
-
ㅇㅈ 3
..
-
세종대 전화추합 0
이제 마지막 추합남았는데 지금예비16번인데 마지막에 기다리면 될까요?? 208명...
-
문제 풀이를 0
올릴 가치가 업다 하아..
-
졸린데
-
도와주세여...
-
이런적 처음이네요
-
건대였나
-
추합 0
이렇게 안도는 이유가 뭐지? 정원 10명이고 예비 13번 받아서 다군이니까 되겠다...
-
비용: 에리카(자취) > 광운(기숙사) 거리: 에리카(편도 3시간) > 광운(편도...
-
전화추합 1
막판에 전화 받은 사람이 등록한다고 해놓고 등록 안하면 모자란 인원은 어디서...
-
표창 키우기
-
여르비 3
아닙니다 쪽지 금지
-
박원순이랑 김새론의 차이점이 뭔지 설명해주실분? 박원순 : 비서 성추행, 경찰...
-
??
-
ㄱ? 3
ㄱ?
-
이게 붙네? 14
이대 과교 예비 18번이었는데 그냥 떨어지겠네 그러고 있었는데 붙어버림... 엄청 울었어요....
-
특정당햇을 때 아무상관없다 이정돈가요
-
사랑니 빼고 집 왔어 아직은 마취 안 풀려서 괜찮다.
-
응응
-
학원 쉬는 시간에 발바닥에 불 나도록 계단 뛰었습니다 ㅋㅋ
-
배먹어배
-
사문 질문 3
학습법(?) 개인적인 고민(?) 다 받아요 편하게 질문해주세요
이번 국어에서도 유의미한 성과를 거두셨나요?
하나 틀려서 좀 아쉽네요
올해 더 높은 곳으로 가시나요
옮기긴 할 것 같아요
얼마나 많이 올릴 수 있을진 아직 잘 모르겠어요
작년에 몇개 틀리셨고 올해 몇개 틀리셨나요
5->2 입니다
본만님 정도의 성적권에선 한 문제 더 맞추느라 분골쇄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하실텐데 중간에 현타오거나 멘탈이 나가진 않으셨나요
개인적으로 올해는 실력이 오르고 내린다는 느낌보단 실력은 이미 어느 정도 자리 잡혀 있는 상태에서 매 모의평가를 칠 때마다 주사위를 던진다는(실력보다는 운이 더 중요하게 느껴지는) 느낌이 더 강해서 그 부분은 스트레스였던 것 같습니다. 본질적인 실력을 더 올려야겠다는 것에 대한 스트레스보다는 어떻게 해야 실수를 안할 수 있는지에 대한 스트레스가 더 강했고, 더프를 칠 때마다 한 두개의 실수에 따라 매달 대학 라인이 오르락내리락 하는 것을 보면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던 것 같습니다.
방가워요
수학 다맞으셨나요
22번 틀렸습니다
이번 시험에서는 이게 제일 아쉽네요
수학에 대해서 여쭤보고 싶습니다!
1. 한문제에 대한 다양한 풀이 모색하기 vs 일관된 풀이로 문풀수 늘리기
2. 인강 딸린 n제들 인강 다 듣기 vs 그냥 궁금한 것만 듣기 vs 걍 안 듣기(저는 두번째를 선호하는데 강사들은 생각치 못한 풀이가 나올 수 있으니 첫번째를 권유하더라구요)
3. 수준에 맞는 n제로 난도를 계단식으로 높여가기 vs 어려운 n제로 뚝배기 깨져가며 공부하기(상,하반기에 따라 달라질까요?)
우매한 질문 죄송합니다ㅜ
1. 상반기에는 다양한 풀이들을 시도해보면서 시야를 확장시키셔야 하고, 하반기에는 상반기에 가졌던 경험들을 바탕으로 시험장에서 일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풀이법들을 좁혀나가는 학습을 하셔야 합니다. 궁극적으로 전자의 학습에서 시작하여 후자를 향하는 방향의 학습이 이뤄가야겠네요.
2. 두 번째로 학습하시더라도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답을 맞췄을지라도 조금이라도 애매하다 느껴지는 부분들은 최대한 강의들을 다 들어보시길 권합이다.
3. 계단식으로 학습해나가시는 것이 더욱 효율적일 것이라 예상합니다.
2411 독서 VS 2511 독서
어느 게 더 난도있었다 생각하시나요..?
2511이라 생각합니다
과탐 속도, 정확도 높이면서 킬러 잡아내는게 개어려운데 이거 하신방법
이번 수능을 본 현여기임다 서울대 공대나 자유전공학부에 가고 싶은데 올해 수능에서 물리가 병크가 터져서 결과가 아쉽게 됐습니다. 내년에 반수를 하게 되면 계속 물리를 해야 될까요 아니면 물리 대신 다른 과학 탐구를 선택해야할까요 저는 개인적으로 투과목 중 화2를 선택해서 2~에서 꽉찬 3을 목표로 하고 다른 과목 세 개를 더 완벽하게 할까 생각중입니다.
작년 수능 과목은 어떤거 선택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