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수능이면 백분위 보장이 안되니까 서울대 아래 대학들 지원하기가 역설적으로 위험할...
-
서울대 교과평가 BB 나올거같은데 일반 전형이랑 지균중에 뭐가 더 유리하나요?
-
양식이요
-
가능은 할까요..
-
아욕나오네 12
이게28만원짜리머리라니..진짜소리지르고싶네….ㅅㅂㅅㅂㅅㅂㅅㅂㅅㅂㅅㅂㅅㅂ벼ㅇ신…돈존나쉽...
-
똘똘이 X 1일차. 14
당연하게도 딱히 바뀐 것은 없다 그래도 몸이 쌩쌩하다 방금 글쓰기 전까지 1일채...
-
대학, 에피는 어케받나 궁금해용 모두말고 관리자만 볼수잇도록은 못하나요?
-
예비고1인데 22개정부터는 고등 수학에 행렬이 들어간다고 들었습니다 정보가 거의...
-
요리 배울까 0
갑자기 섹시해보이는데 요리하는 남자
-
어디목표에요??
-
그리고 진학사 가격 추후에 변동가능성 있나요?
-
수능이라는 단어에 또 심장이 설레 미치겠다 나 수능치는거 진짜 좋아하는듯 말이...
-
인하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주거 꿀팁 -기숙사 편]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인하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인하대생, 인하대...
-
ㅈㄱㄴ
-
써 볼만한 데 있을까요??
-
ㅂㅂㅇ 4
주무샤요
-
원딜차이가 좀 큼
-
엉엉
귀엽다 어원 알려다오
1. '사랑하다'의 옛말 '괴다'에 형용사 파생 접미사 '-압-'이 붙어서 형성되었다. 괴-+-압- > 괴얍>귀엽
2. 貴+-ᄒᆞᆸ-> 귀엽-(노엽다 역시 '노ᄒᆞᆸ-'에서 왔음). 여기서 'ᄒᆞᆸ'은 '하다'에 형용사 파생 접미사 '-ㅂ-'이 붙은 것
중,일이 사용하는 可愛 와는 관련이 아예 없는 것인지?
可愛의 중세 한자음은 '가ᄋᆡ'인데 여기서 ㅏ와 ㅚ는 너무 멉니다. ㆎ 역시 '여'와 너무 멉니다.
오늘도 쉬라몬 뽕 뽑아먹기 성공
현재 표준 한자음이 '가애'이기도 하고 일부 방언에서 '가의'로 반영되었을 가능성은 있겠지만 그렇다고 하여도 '괴/귀'를 설명하기가... 역시나 j계 상향모음인 'ㅕ'나 'ㅑ'로 바뀌었다고 설명하기 부담이 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