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들 고생 많으셨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952672
잘 봐서 기쁜 사람도 있고, 무언가 아쉬울 수도 있고, 후회될 수도 있지만
지금 당장은 다 잊어버리고 푹 쉬었으면 좋겠습니다.
이 시기에 흔히 하는 실수가
너무 열심히 달려온 나머지 계속 뭔가를 하려고 해서 스스로 스트레스를 받는 일인데,
그러지 말고 하루종일 게임하기, 영화보기처럼 가급적이면 별로 의미가 없을 일들을 하면서 보내셨으면 좋겠습니다. 지금처럼 한가할 수 있는 시간이 많지는 않으니..
물론, 논술 보는 분들은 조금만 더 열심히 달리시고 이후에 즐기시길 바랍니다.
올해로 벌써 몇년째 수능과 함께 하고 있는데
시험이 결코 쉽지 않았다고 생각하는데도
작년의 영향으로 컷이 높게 나오고 있는 거 같습니다.
(22 -> 23 넘어갈 때도 그 시험지가 화작 1컷 96..)
모쪼록 아직까지 정해진 것은 없으니 안 들여다 보는 게 정신 건강에 이롭습니다.
논술 볼 것이 아니면 가채점 라인도 필요없습니다. 물론 궁금하면 안 볼 수는 없죠..
그렇지만 가채점과 실채점은 다른 경우가 많고, 실제로 혼자서 정확하게 보려면 J사조차도 시간이 어느 정도 흘러야 하다 보니 지금 딱히 보는 게 의미는 없을 거 같습니다.
수험생 분들 정말 고생 많으셨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91 100 2 50 47 화작 미적 영어 생1 지1
-
23수능 재림이네
-
수능점수에는 순수노력 외에 차지하는 요소들이 너무 많은거 맞습니다 0
운도 물론 있고 또 경험이 진짜 중요한것 같아요. 뭐 경험을 쌓아가는 것도...
-
여러분이 예상하는 등급컷에 투표해주세요!!
-
고대 문과 어느 정도까지 가능할까요???
-
ㄱㄴ??
-
an도 등차수열인줄 알고 뻘짓하다가 시간날림
-
하 ㅠㅠ
-
미적사탐이고 문과계열 아무데나 될까요?
-
제가 올해 수능 등급이 3등급 뜰 것 같습니다.. 내년 수능을 한 번 더...
-
탐구 실수가 너무 아쉬운데 어디가 될까요? 문이과 상관없어요…..
-
현장에서 29는 되게 쉬웠던 것 같은데 |a|=10 a=10/3 차이 3배니까 공비...
-
수능은 또 긴장도도 있고 듣기도 억까당할거 꽤있던거같고 순삽 난이도가 좀 있고...
-
과탐 원과목 하지말고 사탐이나 투과목 하라는데 가장 괜찮은 투과목...
-
그래프 다그리고 k에서 정의되는 조건이 없어서 삽질 좀 했음
-
11은 무슨 3점급이고 15도 특수 찍기하면 답 나와서 ㅋㅋ
-
드디어 기어나온 꺾마 14
설대정시 입시 잘아시는분 쪽지 점 주세여...

코기토님도 올 한해 수고많으셨어요극상향평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