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물리학I 총평 및 해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950517
안녕하세요. 수험생 여러분. 시험 보고 오시느냐고 고생 많으셨습니다.
특히 물리학 I을 응시하신 분들께는 쉽지 않은 시험 보느라고 더욱 고생 많으셨다는 위로와 격려의 말씀을 먼저 올리고 싶습니다….
간단한 총평과 해설 영상 올려드리겠습니다.
[총평]
이번 수능 난이도는 '중~상' 정도로 평가하고 싶습니다.
①기출에서 크게 벗어나는 유형이 없었고, ②킬러 문항이 없었기에 문제의 난이도 측면에서는 '중' 정도로 평가하고 있으나, 지난 6모 9모가 쉬웠다는 점을 감안하면 수험생들에게 체감 난이도는 '상'정도로 느껴질 것 같아서 '중~상' 정도로 평가했습니다.
[주요 문항(정답률-메가스터디 기준)]
▣18번(정답률 35%) -계의 운동 분석
특정 힘이 제거되었는데도 계의 가속도가 동일하다는 것은 힘 제거 전후로 계에 작용하는 합력의 크기는 같고 방향은 반대라는 의미입니다. 이를 이용하면 C의 빗면힘을 구할 수 있습니다. 그 이후 제 강의에서 자주 언급되는 '전체'와 '부분'을 나눠서 분석하면 됩니다.
(아래 사진이 유사 기출 문항입니다.)
▣17번(정답률 45%) -전류에 의한 자기작용
난이도가 엄청 높은건 아닌데, 마지막 페이지에 있어서 정답률이 낮아진 것 같습니다.
세기가 I_0인 전류가 흐르는 도선이 d만큼 떨어진 거리에 작용하는 자기장을 1이라고 설정하고 상댓값을 이용하여 문제를 풀면 됩니다.
(단, 자기장의 세기가 (가) 일 때가 (다) 일 때의 2배라는 조건에서 방향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가)와 (다)의 자기장 방향이 같은 경우와 반대인 경우 두 가지 모두 고려하며 문제를 풀어야 합니다.)
▣13번(정답률 51%) -전기력 점전하 유형
점전하가 무려 6개나 등장했지만, 오히려 이런 문제일수록 특정 패턴이나 규칙(대칭성 등)이 두드러지기에 이를 잘 활용하면 문제가 쉽게 풀립니다. (가)와 (다) 그래프를 이용하여 A와 B의 정보를 파악한 후 대칭성을 이용하여 (나)를 분석하시면 됩니다.
▣20번(정답률 54%) -역학적 에너지 보존 유형
계속 비슷한 난이도로 출제되고 있는 역학적 에너지 보존 유형입니다.
상댓값 잡아서 식 세우고 연립하면 쉽게 풀어낼 수 있습니다.
▣16번(정답률 56%) -등가속도 유형
A와 B가 4L과 9L을 통과하는 시간이 같다는 조건이 포인트입니다.
시간은 '거리/속력'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문제를 해결합니다.
(단, 등가속도 운동의 경우 속력에 평속을 사용)
+
올해 초반에 오르비에 첫 글을 쓰고, 유튜브에 첫 영상을 올렸던 게 새록새록 한데 벌써 수능이 끝났네요….
정리도 안된 칼럼 올려도 좋아요. 팔로우 눌러주시고, 영상 시청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내년에는 싹 다 갈아엎고 발전한 칼럼과 영상으로 찾아뵙고 싶습니다.
다들 행복한 연말 보내시길 바랍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얼리버드 0
오늘부터 빡공 시작!! 얼리버드 파이팅~
-
ㅅㅂ
-
9모성적=수능성적
-
이거 1컷 42 이상으로 뜨면 수능 입문도 안 하는게 맞아보이는데요? 높아도 41같은데
-
사문 1컷 1
몇일거같나요?
-
시발 새로운 선지가 자꾸 나와!
-
소문 듣고 궁금해서 와봄
-
2등급 가능할까요?? 주관식 진짜 어려웠어요..
-
진짜 망했네,,,,,,
-
수학 72점 1
3가능함? 그리고 미적 4점 쳐다보지도않았는데 난이도 어떰??
-
쌍윤 절대 ㄴㄴ 진지함 ㅋㅋ
-
시간 딱맞게 생윤 끝난적 처음임ㅋㅋㄱㅋㅋ
-
몇등급예산??
-
연계보고 쳤으면 시간 더 괜찮았을러나 .. 내년수능 걱정되네
-
왜 나만 쉬운거같지
-
이제 제가 현역이란게 믿겨지지도 않고 고3 형,누나들이 지금 수능을 치고있단것도...
-
사문 1
답 공유좀
-
22 28 29 틀렸어욥
-
수능안치는건가?
-
지구 7개 1
지구 7개 틀린거같은데 4가능...?
1컷 45될 가능성은 없나요?
제 소견으로는 45까지는 안떨어질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