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법 헌법소원심판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900002
이 두 문제에서 갑이 청구한 헌법소원심판이 다르던데, 재판 진행 중이면 권리구제형 헌소랑 위헌심 둘 다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어요.
하나는 ㅇㅇ법 시행령이라 법률이 아니라서 권리구제형이라고 하던데, 항소심 계속 중이라는 것처럼 재판이 전제된 상황이면 권리구제형이랑 위헌심 어떻게 구별해야하나요?
하나는 권리구제형이고 하나는 위헌심인 이유를 다른 근거로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어어 안되는데 ㅋㅋ + 9모 수준으로 출제된 게 아니라 9모 경향이라네여
-
ㅇㅇ?
-
존나 기대되는거 2
지문형<- 이번엔 이새끼로 무슨짓할까?
-
나온 글 들 분석해보니, 밖에서 문제 접한 사람=물, 현장 체험=불 0
일단 비문학 쉬웠고, 작년처럼 괴랄 맞지 않아서 입시와 관련없는 사람들이 보기엔 =...
-
한정기술구 언어논리이런거나오면 ㅈㄴ 어렵더라
-
열심히 했다 1
그것만으로 가치있다 그리고 내일도 열심히 하자 이왕이면 잘 하자!
-
총평 부탁드려요
-
22번 15+30+47= 92 감사인사는 됐다
-
현우진 시발점 2
쎈발점 이러는데 쎈 말고 시발점 본책이랑 워크북 풀고 바로 기출 들어가도 될까요?
-
아미치겟다진자 1
ㅋㅋㅋㅋㅋ 어쩔건데~ 붸붸뷰ㅔ뷔ㅔ베베베ㅔ
-
난 작수화작보다 2
올해 6모 화작이 더 어렵던데… 제발 너무 어렵겐 안나왔으면 진짜ㅜ
-
막상 수능 시험지 보니 다시 준비하고 싶어짐 미쳤나? (물론 절대 안할 예정…)...
-
전 걍 유부초밥이랑 과일 몇개 싸가려고 하는데
-
그냥 비문학 하나 추가한 거 아닌교
-
후배가 생기고싶어요
-
EBS 에선 쉬웠다고 하네요 9모급이라면 개 쉬웠다는 건데 물수능이면 ㅋ 난리나겠는데요
-
좀
-
부정행위인가
-
비문학에서 크게 괴랄한 소재는 안보임.(물론 전 국어 강사가 아니라 소재에만...
1번은 위법심 위심소 가능(제청신청 기각 여부가 안나와있음)
2번은 권리구제
5번
'OO법 조항의 위헌 여부가 재판의 전제가 된다고 판단' 여기서 위헌 심사형 헌법 소원의 단서를 잡을 수 있고,
기본권을 침해한 공권력의 작용에 대한 단서를 찾을 수 없어서 권리 구제형 헌법 소원보다는 위헌 심사형 헌법 소원으로 보는 게 맞습니다.
9번
일단 법률만 위헌 법률 심판이나 위헌 심사형 헌법 소원의 판단 대상이 될 수 있는데 여기선 대통령령이 대상이라 그냥 권리 구제형 헌법 소원으로 확정되기도 하고, 이 명령이 재판의 전제가 된 상황도 아닙니다.
그리고 법률의 위헌성을 따지기 보다는 공권력의 작용이 기본권을 침해했다는 내용이 있어서 권리 구제형 헌법 소원의 요건을 갖추고 있어요
6평 선지를 보면 권리 구제형 헌법 소원은 '기본권을 침해한 공권력의 작용'에 대해서만 판단해요 그래서 기본권 침해에 대한 내용이 없으면 권구헌소가 될 수 없습니다
이것도 하나의 기준으로 두시면 좋을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