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문제 풀때 답지 그냥 빨리 보는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889735
일케 하는게 맞나요..?
주변에 잘하는 친구는 몇시간이고 고민해서 푼다는데 저는 그냥 빨리 답지보는 타입이긴 하거든요 도저히 생각이 안나서…
풀이를 이해하고 나서 암기하는 식으로? 공부해도 되는건가여..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지금 이미지 세젤쉬, 미친기분 시작편 다 2-3회독 돌리고 미친개념 들어왔는데...
-
근데 이렇게 예쁜 벚꽃을 같이 볼 사람이 없구나
-
수학만 다운로드해서 들을거라 안겹치게가능한데 가능하신분 채팅주세요!
-
깨알 자연수 뭔가 귀여움요ㅋㅋ
-
이따 국밥먹으러감 10
가족들이랑 밥먹으러 갈듯
-
신청했는데 떨어져서 다른 지점에 전화 돌리면서 자리 남았는지 물어봐도 괜찮나요
-
눈물이 나는 이유가 그냥 벚꽃이 예뻐서 그런건지... 제가 사랑하는 사람이랑 단둘이...
-
n제 푸는데 변곡접선 쓰는 문제가 한문제집당 하나씩은 잇는 더 같은데 나올 가능성이 잇나?
-
08년생 정시러입니다. 수분감 하면서 문제집 하나 더 풀려고 하는데 고2마더텅 푸는...
-
윤씨 0
윤성훈 쌤 교재 중에 엠스킬 12를 작년에도 했어서 아직 책이 있는데 그냥 작년...
-
토요일에 살걸
-
논술 ㅣ 인문학 수업과 철학 논문 수업에 대한 생각 1
원문 바로가기 :...
-
1년간의 최저점을 갱신했습니다 5%떨어졌습니다 10%떨어졌습니다 나도...
-
.
-
다놓침..
-
흠 칼럼 써보고 싶네요
-
상의 흰티에 이 후드티 걸치고 청바지입고 모자는이 모자 입고 다니면 약간 재는 왤캐...
-
기숙이들 투표 1
갑자기 궁금해진건데 기숙에서 수능 준비하시는 분들은 투표 어떻게 하시나요? 쉬는시간에 나갔다오나
-
김현숙 전 여가부장관이심 ㄷㄷ
-
매일 독서실 끝나고 집갈때 걸으면서 들어보려는데 도움될까요?
-
몇달 남은 거면 25거 들을까 그냥
-
상관없나요?...
-
작년과 비교해서 백분위가 얼마나 오를까요...? 작년에는 과탐 미/기 필수였습니다...
-
얼벅기 0
벅벅
-
(폭로) 입대 D-1, 수능 영어의 모든 것에 대해 밝힙니다. 11
안녕하십니까. 한대산 영어 연구소입니다. 한대산 영어 연구소의 팀장인 저,...
-
설맞이 아카이브 0
설맞이 아카이브 2023이랑 2024 문제 다른가요?두개 다 풀어봐도 ㄱㅊ은 건가요?
-
투표권 박탈좀 개시발 진짜
-
내 무습다
-
국어 독서 누구 들어야 할까요 지금 박준호(서준혁으로 이름 바꿈) 현강 듣는데 독서...
-
시범과외 꽤 다녔는데 시범과외는 거의 다 미성사되고 처음부터 정규 과외 맡기고...
-
카드 귀욥져 11
아침에 받은 따끈따끈한 K-패스임 지하철 15~60회 타면 30% 환급해줌
-
스카에 친구생김 0
2000원짜리 다이소 부엉이.. 유일한 친구임
-
현생사느라 바쁘네용..
-
S 1
S.
-
호감고닉이 되야지
-
진짜 깜짝놀람.......... 그냥 수특 사문 맨 뒤에 있는 도표 2개랑 무슨...
-
2026 이동훈 기출 https://atom.ac/books/12829 안녕하세요....
-
하 이날이 오네 6
잘있어라 오르비! 난 간다!
-
독해법만 만들고 싶어서 빠르게 인강 볼려고 그러는데 강기본을 들을까요 강기분 찍먹 할까요
-
수능으로 대충 몇등급정도 돼야하나요?
-
공군운전병 5
컷얼마 예상하시나요?
-
"바운디"
-
선생님이라고 불러주고 젤 아끼는 쌤이라고 칭찬해주고 이러니까 그냥... 자발적...
-
정시러만 뽑음? 아니면 상관없이 수능숳학만 잘보면 오케이 인건가
-
여긴 이제 꽃이 진다..
-
좋나여?
-
그땐 그냥 학교가서 잤던것같음
그래도 고민은 좀 해보는게 맞는듯
내가 고생한 경험이 있어야 기억에 좀 더 잘 남아요
그래도 좀 고민해보는게 나을듯 합니다..
결국 내신이나 모의고사 등에서 막히는 문제가 필연적으로 있을 수 밖에 없고, 그런 문제들을 실전에서 풀어낼 수 있는 능력을 다지는 기반이 결국 연습할 때 모르는 문제를 붙잡고 생각해낼 때 다져진다고 생각해서요
저는 생각하는 걸 엄청 싫어하고 또 집중력이 좋은 타입이 아니라서 모르는 문제 나오면 최대한 배웠던 개념들과 문제를 바탕으로 약 30분 정도만 생각해봐서 안풀리면 넘어가고
좀 텀을 두고(몇시간 후나 다음날) 다시 생각해봅니다 그렇게 텀을 두고 풀면 종종 머리가 전환되어서요
처음에는 몇시간 지났는데 푼 문제가 별로 안되어서 허탈할 수 있는데 오히려 그런 과정이 쉬운 문제 백날 푸는 것 보다 훨씬 값비싸다고 생각해요
덕분에 나름 방향성을 잡은거같아요 감사합니다!
저는 중학생 때 과외받던 스타일이 제가 선생님께 문제풀이한 방법 설명드리는 거였는데 가끔 숙제로 풀어야 했던 문제를 안 풀었을 때 해설지를 설명할 수 있게끔 이해하면서 외워가서 설명했었어요. 정 해설지를 바로 보신다면 그 해설지의 내용을 남에게 설명할 수 있게끔 이해해보고 직접 말로써 설명해보는 것도 좋아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