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스 해외 원조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870689
롤스가 ‘기아 상태의 사람들을 구제하는 해외 원조는 보편적 의무로 간주될 수 있다’에 왜 동의하는 건가용..?ㅜㅜ
기아 상태의 사람들은 ‘필연적’으로 원조의 의무는 아니지만 의무로 간주될 수 있는건가요…?
그리고 상대적 빈곤이 아닌 절대적 빈곤만 의무로 간주될 수 있다고 보나요?
ㅜㅜ 너무 헷갈려용 도와주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학실모 난이도 0
강철중 샤인미 설맞이s1 s2 난이도 순위가어캐되나여
-
제발.. 몰라서 틀리면 후회는 안할거같은데 실수해서 틀리면 진짜 짜증날거같아
-
위. 사촌.슴큼.츤데레.검사 아래. 선생님.작음.마법사
-
진짜 배때지 따숩고 다 떠먹여주니 사리분별 못하는 사람들 많네
-
수험생은 주무십쇼 지금
-
ㄹㅇㅋㅋ
-
수능때 다가오니까 왜이렇게 눈물이 날거같지.. 다들 진짜 잘봐서 성불했음 좋겠다
-
궁금하네요
-
호불호 갈린다던데 전 호인가봐요
-
국어 영어 2만 뜨게 해주세요 국어는 높3이라도 제발
-
32322 수학 미적 과탐2개라고 했을때 이과계열 대학라인 궁금해요
-
재정상황도 괜찮고 미달나는것도 아닌데 굳이..? 여태까지 공학 전환된 여대들 사례...
-
난 5번
롤스는 국제주의상 고통받는 사회를 질서 정연한 사회로 만드는 원조를 의무로 간주하는데, 그 원조 방법이 경제적 원조가 아니라 정치적 원조에요 (질서정연하지 않은 국가의 고통받는 사람들 -> 국가 단위의 정치적 원조를 통해 질서 정연한 사회로 인도할것)
상대적 빈곤이 아니라 절대적 빈곤인 이유는
롤스는 차등의 원칙을 해외 원조 이론에 적용하지 않는데 상대적 빈곤의 사람들을 원조한다면 그건 정치 제도의 개선이 아니라 부의 재분배를 통해서 전지구적 평등을 이루는거라 반대해요
간단하게 생각하면 북한 생각해보시고 정치제도로 인해서 (독재, 폭정 등) 고통받지만 잘사는 사람은 겁나 잘살고 못사는사람은 굶어죽는 사회에서 원조를 할때 경제적 원조 말고 그 체제 자체가 질서정연하도록 정치적으로 권고하는 원조를 주장하고
그 고통받는 국가의 잘 사는 시민을 원조하면 상대적 빈곤의 사람들을 원조하는거라 상대적 빈곤 상태의 개인 원조가 아닌거고
그 국가 내에 절대적으로 빈곤한=굶어죽고있는 그런 개인을 원조할것을 말하는거에요 근데 이것도 경제적이 아니라 정치적 원조의 방법으로 해야함
정말 감사합니다!! 예시까지 들어주셔서 이해가 잘 됐어요ㅜ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