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793539
‘사회 불평등 현상을 사회 병리적 현상으로 본다’ 이거 기능론이 긍정할 선지 아닌가요?
해설지에는 갈등론 기능론 둘다 해당하지 않는다고 하는데..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목요일 3시 30분 김 서린 그 날에, 나는 또 믿었다 종종걸음으로 느릿느릿...
-
뇌가 썩은 것 같네 11
-
라고 생각했는데 다시 보니까 3월 등급컷을 보고 있었음 그리고 절망함
-
밖에 추울것같은딩
-
아 힘드루 9
공하싫 그냥 누워서 잠자고싶다
-
급 헷갈리는건데 선상지는 경사가 급하다가 완만해지니꺼 유수의 흐름이 약해지고 가벼운...
-
목욕한번하고 따뜻하게 공부합시다
-
왜냐면 이제부터 기다림이 24시간이 넘을 때마다대가리를 존나 쎄게 쳐서 제 머릿속을...
-
이게 무보 100이 나오네 화작도 틀릴만한거 하나두개 있었는데
-
공간의 이동을 어디부분에서 알 수 잇나요?
-
작년6평비문학 푼 지 9개월정도 돼서 다시 좀 배운거 적용해볼겸 풀었는데 단어 1개...
병리적 ㄴㄴ
병리 = 일시적인 거고 비정상
기능론은 사회 불평등을 바람직한 현상으로 보니까
병리적이라고 안 봄
그럼 기능론은 대립과 갈등만 일시적이고 병리적현상이라고 주장하는건가요??
기능론은 ‘대립과 갈등’이라는 용어를 안 쓰고
‘사회 문제’(전체 사회의 균형을 깨거나 통합을 해치는 행위, 개인의 잘못된 사회화/부적절한 사회화, 주어진 사회규범 위반, 사회구성원 개개인의 미흡한 자기 역할 수행 등)
를 병리적 현상이라고 봅니다
완전 잘못알고 있었네요 감사함다 ㅠ
흠 갈등론은 병리적으로 볼수있을거같은데
둘다 아니라고 나와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