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법황분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751834


확실한거 두개가 나와서 맞긴 했는데 ㄱ이 틀린 이유가 명확히 납득이 안되네요 ㅠㅠ 알려주실분 계신가요?(행복추구권은 모든 기본권을 포괄하는 개념이므로 행복추구권에 속한다는 것은 사회권의 성격도 띄고 있다는것 아닌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국어에 시간 많이 쏟을 수 있음 문학이 상당히 모자란거 같아서 한다면 하루 모고...
-
첫수능 8... 재수8.... 삼수8... 사수 4.... 오수 8 ... 육수...
-
저녁 치킨먹을까 10
웅웅
-
지금은 개꿀인가
-
무파마 맛있네요 1
국물이 쥑이네~ 다 먹고 썬칩 먹어야지
-
김민주 영화나온다
-
메인가고싶어요 3
메인인님 한판해요
-
칸나 졸업이라니.. 너무 슬퍼 내 세상이 무너진다
-
생윤 수특 수완 8
10일 남아서 둘중 하나만 하려고 하는데 둘중에 뭘하는게 나을까요?
-
흐흐 취중공부 5
공부 효율 up
-
머리아파서 어제 오늘 공부 거의 못했는데 걍 망한거? 2
죽고싶다..왜 하필
-
일단 나부터 ㅋㅋ
-
경제쿨 돌기도 했고 수특에도 있었고 사라진 교수들도 보이니까
-
백남운 1
ㅅ
-
유튜브 올리시는건가 신기신기
-
돌총구구국 하악!!!!
행복추구권이 실질적 평등을 위해 등장한 권리는 아니니까욘
ㄱ은 사회권이랑 완전히 동치인 선지인데(수능정법에선) 사회권=행복추구권은 아니니
행복추구권이 실질적 평등의 실현을 목적으로 만들어진건 아니지않아요?? 포괄적 기본권으로 사회권도 이에 속하긴 하는데 목적성은 맞지않지 않나 싶습니다
그럼 혹시 저 문제에서 ‘태아 성별 부모 접근권’에 해당하는 기본권이 자유권인지 행복추구권인지, 사회권인지는 어떻게 판단하는 걸까요? 뭘 끼워넣어도 다 말이 되는것 같아서 헷갈리네요
올해 수특이고 보시다시피 헌재는 행복추구권의 사회권적 성격을 부정했어요

속시원수특 다시한번 봐야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