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질문 1,2,3,번 왜 틀림? (덕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706473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더 문학이랑 화작 괜찮나요????
-
11번까진 무난하게 12,13 = 허수킬러 14 = 난 이거 통합이후로 가장 빡센...
-
진짜 제정신이 아니었음 매치포인트 따인 상태에서 밀리는 와중에 뒤집어엎고 마지막은 갈리오
-
진짜 찐막 인증. 16
공부 잘하게 생겼다는 나쁜 말은 ㄴㄴㄴㄴㄴㄴㄴ 펑
-
ㅇㅈ 15
-
수학 잘 하시는 분들 조언 좀 부탁드려요 작년 고2 3모 3등급 중반 정도 나오는...
-
평가원에서 안낸지 꽤 지났는데 나올 가능성 있을까요? 진심 못풀겠음
-
롤 우승 6
어케해야지 이기는 거임ㅍㅍㅍㅍ??? 룰을 진짜 아예모르는데 계속 보는 중 재밋어서
-
7번이 진짜 딱 좋을듯
-
잘잤다 0
.
1) 배정한 거 자체는 실험처치가 될 수 없음, 걍 분류만 하고 변화를 준게 하나도 없으니까.. 실험처치라고 할만한 거라면 “c집단 투입여부를 달리하고 다시 다섯 문항에 답하게 한 것”이 처치라고 할 수 있을듯
2) 고의적으로 틀리는 C집단을 넣은 A집단은 절반이나 답을 못골랐고, 안 넣은 B집단은 전부 정답을 골랐으니까 실제와 반대되는 집단적 응답(c집단)은 개인의 응답에 영향을 주는 것임. 즉 가설 기각
3) 종속변인을 측정하는게 사전검사인데, A집단으로 붐류된 사람들은 이미 개인의 응답(종속변인)을 다섯 문항을 물음으로써 측정당했으니까 사전검사 당했다고 볼 수 있음. (독립변인을 처치한 (c집단을 넣어서 차이를 확인) 후의 결과가 사후검사 결과) 무엇보다 분명 다맞췄던 사람들이> 독립변인을 처치했더니> 그 중 절반이나 영향받아서 달라졌다. 이거 자체가 사전(원래 다맞음)과 사후(못고름)를 비교해야 도출할 수 있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