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는 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700878
사람마다 다 다르냐
누군 천천히 읽으라 하고
누군 빠르게 읽으라 하고
누군 영어 자체로 받아들이고
누군 해석하고 이해 해야 한다 하고
으아
분명 현역땐 영어에 걱정 없었는데 진짜 미치겠네
2년 연속 9 수능 6 9 ptsd 옴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경희대 전전컴 3칸뜨고 (과탐가산O) 경희대 자유전공 9칸뜨는데 (과탐가산X) 4점이면 큰건가요?
-
ㅇㅇ
-
공부하고싳은데 마음은 불타오르는데 집중이 안돼요…하 시험 17일 남았는데 집중...
-
서울교대는 6
낭낭하게 되네 지금 후하지만..고1때 가고싶었던 곳
-
그치만....화학이 좋은걸....
-
약간의이상치(5살)말고는 오르비할때가 전체적으로 제일 행복했던거같음
-
운 같은 거 없다? 다 본인 노력으로 왔다? 그런 생각 하는 분들은 자신을...
-
뭐 잘봤으면 잘본대로 못 봤으면 못 본대로 어디 써야할지 고민되는거 이해는 되지만...
-
지금 고2가 올해 수능 수학 미적으로 97분 재고 풀어서 공통 다 맞고 미적에서만...
-
???
-
아오
-
ㄹㅇ
-
어디에 써먹음?
-
사문 내가 잘하는 줄 알고 유기하다가 망하기 goat과목이라 자기가 귀찮거나 자만...
-
지능 ㅈㄴ낮은데 한번 더하는건 시간 버리는 짓 같아서 무서워요 이제 나이도...
그냥 무작정 천천히 읽는 것, 무작정 빨리 읽는 것 둘 다 아닙니다. 중요한 부분은 천천히 이해하며 읽고, 빨리 넘겨도 될 부분들은 빨리 넘기는게 맞습니다.
이건 academic reading의 가장 기본적인 원칙이에요. 잘 읽는 법은 어느 정도 정형화되어있습니다. SAT, LSAT, GRE, GMAT 등의 영어 기반 해외 시험을 준비할 때도 속도감은 살리되, 중요한 정보를 이해하며 내려가는 연습을 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정보 경중 따져서 강약 조절하면서 읽으면 되는 거죠? 그리고 굳이 영어 자체로 이해할 수 있으면 굳이 해석하려 노력하지 않아도 되는 건가요??
영어를 굳이 억지로 해석하려고 들 필요는 없는 것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