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쥐와 밝은 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658386
중세국어에는 그래도 현대국어보다 비통사적 합성어가 조금은 많이 보이는데 동물명에서도 좀 있다.
대표적으로 예전 틀딱 문법 지문에 나온 '두더지'라든가 이번에 소개할 '박쥐'가 있다
중세국어 ‘두디쥐’는 동사 어간 ‘두디-’와 명사 ‘쥐’가 결합된 비통사적 합성명사이다. '뒤지다'의 옛말은 ‘두디-’인데 얘가 구개음화하면 현대국어의 '뒤지다'가 된다. 즉 '두더쥐'의 옛말인 '두디쥐'는 왔다리 갔다리 하면서 땅을 들추는 습성이 있고 쥐처럼 생겼기 때문에 이렇게 붙은 것이다.
비슷하게 '박쥐'가 있다. 박쥐의 중세국어 어형은 'ᄇᆞᆰ쥐'로 첫 음절이 누가 봐도 '밝다'의 'ᄇᆞᆰ-'이다. 아마 박쥐가 출몰하는 환경이 동굴같이 어두운 곳이다보니 눈이 밝게 빛나서라든가 아니면 어두운 밤에 활동하는 야행성동물인 박쥐의 눈이 밝았을 거라서 이름을 그렇게 지었을까? 아무튼 15~18세기까지 'ᄇᆞᆰ쥐'로 쓰이다 자음군단순화가 적용된 '박쥐'라는 표기는 19세기에야 등장한다. 이는 어원 의식이 옅어짐에 따라 '밝쥐'로 쓰지 않게 된 것이고, 현재로선 더 이상 복합어로 인식되지 않는다.
즉 '두더쥐'와 '박쥐' 모두 원래의 형태와 달라지면서 단일어화를 겪은 것이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6모 백분위 91 9모 백분위 88인데 이감만 보면 67~72정도 왔다갔다하다가...
-
강민철 feed100 작년 이감파이널지문 재탕아님? 2
현대소설 5회분 풀자마자 느낌 딱 오는데
-
와 저거 코드입력 무슨 포인트 얻으려고 초딩들 저격하는 유튜브 채널같네 0
라고하면 안되겠죠
-
성균관대 논술 관련이면 좋겠어요. 제가 성대에 세 번 붙었기 때문에! (2019...
-
국어실모 추천좀 2
이감 파이널하는데 이게맞나싶음 걍 계속 해야되나
-
서양쪽은 망하기 직전인데 중국이라도 멀쩡해야 그나마 롤판이 돌아가지 않을까요
-
???: 하하 그 정도 수업인가요? 칭찬 감사합니다 ...
-
36 와 마지막 회차 ㅈㄴ 빡빡하네 시즌 4 점수 기록 26 50 47 36
-
시그모 파트 하나 정도 밖에 못 풀것 같은데 시그모 중에 파트 머가 제일 좋아여?
-
22,23이 24,25보다 어려운거같은디 나만 그럼?
-
저는 귀 심심한거 싫어해서 유튜버들 노가리 영상 틀어두고 자는데 먼가먼가 수면...
-
로크 입법권 0
입법권은 원래 입법부가 가지고있는데 저항할때는 시민 스스로가 입법권을 가지는거면...
-
밤 새야하는데 16
안자더라도 눈 감고있으면 피로 회복에 도움 되나요
-
얼버기기상 3
-
좀 많이 뒷북이긴 한데 오르비 활동을 시작하려구 하는데 뱃지 신청하고 메일 답장한지...
-
N수는 올해가 마지막이다. ㅋㅋㅋㅋㅋㅋㅋㅋ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