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전문직 시험 응시자 급등세 + 7급 공무원 저점매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641736
안녕하세요 백양나무입니다. 오늘은 전문직 진로와 관련하여 재미있는 통계를 가져왔습니다.
전문직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이라면, 이 통계는 확인해 볼만 합니다.
1. 2024년 LEET 응시생 1만 7519 명, 7년 연속 역대 최다를 기록했습니다.
- - 2024년 지원자 1만 7,519명으로 7년 연속 최다 기록 갱신
-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며 법학전문대학원 진학 수요 증가 추세
2. 8개 전문직 처우
- 8개 전문직군 중위 연봉: 약 7,000만원 수준 (일반 직장인 평균의 2배)
- 경력자 및 파트너급 연봉: 수억대 가능
- 일반 직장인 대비 높은 소득 안정성
3. 전문직 커리어 장점
1. 높은 이직 가능성
2. 개인 개업 기회
3. 우수한 금융 혜택 (대출 등)
4. 전문 자격증의 가치
4. 최근 트렌드
- 상위권 대학생들의 전문직 시험 공부 조기 진출 증가
5. 틈새 시장: 은근히 7급 공무원 경쟁률이 내려간데 어쩌면 틈새시장이 될 수도 있을 거 같아요.
- 7급 공무원 경쟁률 하락 추세
- 최근 5년 지원자 변화:
- 2020년: 34,703명
- 2021년: 38,947명 (12.2%↑)
- 2022년: 33,527명 (13.9%↓)
- 2023년: 29,086명 (13.3%↓)
- 2024년: 26,532명 (8.8%↓)
출처; 법률저널
http://www.lec.co.kr/news/articleView.html?idxno=746715
예전에 공시 준비하던 사람들이 다 전문직쪽으로 관심이 쏠린 것 같아요.
공직 사회가 좀 경직된 분위기이고 하지만, 7급 공무원은 안정성도 있고 연봉도 나쁘지 않고 괜찮은 길일 수도 있겠죠?
지인도 저점매수한다고 7급 공시 준비한다던데, 전공으로 취직하기 힘든 문과생들은 7급 공무원 준비도 괜춘한듯 싶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어머니가 스터디코드 이런 인강강사 거르세요 보여줬음. 물론 난 바로 거름
-
비문학 풀 때 0
지문 읽고 푸는 것보다 문제 먼저 보고 하나하나 찾으면서 푸는 게 시간도 두 배는...
-
오르비잘댜 9
오늘하루도 다 저물엇다
-
내가 알기로는 8
다군이 쓸데가 많이 없고 그래서 추합이 많이 돈다 다군 최초합이 개빡세다 그래서...
-
난너가필요없어 4
전화해줘지금
-
물1생1에서 지1생1로 바꾸려고 합니다. 물리가 재밌어서 계속 끌고 왔는데, 표점도...
-
전 카뱃
-
왜 안피곤하지 2
보통 야간알바 오면 이시간에 많이 피곤해서 5분 정도 쪽잠 자야 되는데
-
넵
-
안녕하세요. 4
뉴비에오. 가끔 문법관련 팁 올리고 싶어오. 고마워오.
-
왜 욕 투표한거에요?
-
다 휘발됨. 스터디코드, 연고티비 영상 100개는 봣을듯 지금보니 ㅂㅅ같음...;;
-
옛날 수학쌤 썰 4
예전에 다니던 힉원 수학쌤이 한번 과학도 강의해보겠다고 시범강의 하는데 수성이 밤에...
-
인수분해를 못함 ;;
-
ㄹㅇ
-
사람정신이안무너지겠냐
-
ㅇ
-
가 나 다 군 이런거 원서쓰는전략 같은거 ㅇㅇ
-
걍 바로 공부시작해서 가나다군이 뭐고 컷이 어쩌고 지역인재니 뭐니 다 모름 공부하고...
-
등록취소만 좀만 빨리하면 되는거였잨ㅎ아 이개씨발새끼들아
-
지금 말하는 계수비교가 걍 암산하는건가
-
나만 귀엽나 ㅋㅋ 오르비언들ㄹ귀여어
-
고경탈출프로젝트 8
드가자
-
나는 개똥벌레
-
걍 누구든 오래 친분 유지하는경우가 잘 없는듯
-
밤새서 공부 몇번해봤는데 진짜 다음날에 adhd걸린거 마냥 집중이 안되더라 강의는...
-
Team XX 메타로 밥먹으면서 보기 힘든 주제 한번 돌았던 것 같은데 이거...
-
그래서 내가 수학을 못하나?
-
내신 이후로 한번도 안써봄..
-
ㅈㄱㄴ
-
x³+6x²+11x+6 -> x=-1 근 (x+1)(이차식) x³=1 이차식: x²...
-
난 오르비언의 사고를 지배할 수 있다!!
-
조립제법하니.. 2
레고 조립하고싶어짐뇨 ㅠㅠ
-
고2 때 조립제법 해야하는데 나눗셈 할 뻔한거 친구가 빡갤에 박제시켜서 념글갔음 ㅅㅂ
-
고1수학 농가도 살려야쥬
-
핑프 저능아에게 설명해주세요ㅠㅠ
-
6모 당일 9모 당일 10평 즈음에 수능 전날 저녁(S급) 수능 다음날 낮 나는...
-
조립제법은 조립제라는 중국 수학자가 개발한 음식입니다 3
백햄은 백종원이라는 북한 핵물리학자가 개발한 폭탄입니다 여러분 오르비 끄고 얼른 자러 가세요
-
고점 노력 x? 0
하
-
전 안 씀 1
거의 써본적 없는 듯
-
ㅋㅋㅋ
-
삼차방정식부터는 1
조립제법~~~
-
제가 하는 방식에 확신이 없는데... 시간재고 풀이->채점->오답 답지 안보고...
-
생윤<-- 2
말장난이 화작같은 느낌인가요? 만점 목표인데 생윤, 한지 중 ㅊㅊ부탁드립니다. 근데...
-
ㄹㅇ쓸일이..
-
이번에 강민철 강기분 독서 3주차까지 끝냈고 문학은 5주차까지 끝내고 너무 안맞아서...
-
이거도 찍는게 됨요??
-
그럴수있나 그럴수있다
-
3차 4차 인수븐해 어케함요?
-
조립제법 2
대치동 어둠의 스킬
문...직
ㅋㅋㅋ
바람직한 현상이군요..
전문직 경쟁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네용 ㄷㄷ
저점매수 아니고 우하항임 일본에서 공무원 인기 망한거 생각하시면 됨
말씀하신 일본의 사례처럼, 공무원 인기도가 지속적으로 하락할 가능성도 분명 존재합니다. 하지만 몇 가지 중요한 관점을 함께 고려해볼 필요가 있을 것 같네요.
1. 장점
- 중소/중견기업 대비 안정적인 고용과 복지
- 국가직 주요 직렬의 경우 여전히 경쟁력 있는 처우
- 워라밸(....? 부서BY부서...겠지만요)과 정년 보장의 가치
2. 현실적 고려사항
- 전문직/대기업 대비 낮은 보상
- 경쟁률 하락이 지속될 수 있는 가능성
- 공공부문 축소 가능성
- 헬 부서 걸리거나, 초임 주무관에게 업무가 과중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음 : 랜덤 가챠
결론적으로는, 개인의 상황과 목표에 따라 선택지로서의 가치는 다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전문직이나 대기업을 목표로 하시는 분들에게는 '7급 공무원'이 매력적이지 않을 수 있지만, 안정성을 우선시하는 분들에게는 여전히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겠네요.
현재의 하락세가 지속될지, 아니면 어느 시점에서 반등할지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안정성을 원해도 공기업>7,9급이라..
공기업을 갈 수 있으면 공기업이 좋죠 ㅎㅎ
최상위권~상위권들이 7급 공무원을 준비할 인센트브는 좀 부족해 보입니다.
'전문직, 대기업, 공기업'이 훨씬 더 나은 선택이죠.
오히려 그 점이 중위권 학생들에게의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경쟁자의 수준이 예전에 공무원이 인기 있었던 시절보다는 낮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