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고려대 관련 질문 받습니다 ^~^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586976
댓글로 남기기 좀 그런 것들은 오픈채팅으로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시간 날 때마다 틈틈히 답변 드리겠습니다
오픈채팅은 제 프로필에 달아두겠습니다
오픈채팅 확인이 빠르지 않습니다!!
답장 없다고 바로 나가지 마시고 조금만 기다려주세요 ㅠㅠㅠ
제가 쪽지를 잘 안봐서 쪽지보다는 오픈채팅 부탁드립니다!!
모두 수능날까지 파이팅 !!!
암거나 ㄱㄴ 선넘질 ㄱㄴ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 20학번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21학번 (현재 휴학)
2022년 신입생 준비 위원회 회장
2023~2024년 단과대학 학생회 집행위원
2023~2024년 단과대학 새터기획단원
일반대학원 국어교육학과 학석사연계과정 준비중
현재 96학점 이수 / 학점 4.33
평가원 국어 7연속 1등급 (19수능~21수능)
과외 올해 5년차 / 현재까지 수능 국어 과외 40명 이상
피램T 현강조교 (2021~2023)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못알려주겠음
-
수시러라서 6장인데 어떻게 써야할지 고민되네요ㅠ 원래는 3치대교과+서연고 쓰려고...
-
소화불량 2
한달 넘게 지속 된 분들 있음..? 지금 한달째 속 안좋은데 미치겠구먼..
-
왤케 무기력하지 1
진짜 아무것도 못하겠어
-
공부는 ㅈ도 안하고 있지만 "N수의 자신감"을 얻었으면 7ㅐ추
-
작수 전과목 3~4등급대입니다 화작 미적 생윤 사문이구요 모두 개념부터 다...
-
수능수학 3등급이었다가 재수해서 적백찍은애도봄 ㅋㅋㅋㅋ
-
전자 vs 후자 2
솔직히 후자가 나은거같음...
-
삼수해서 국숭세 공대 갔는데 1년 더해서 어디는 가야 성공이라고 보시나요
-
맞팔 ㄱㄱ 0
5명만 더!!
-
안녕하세욤! 저는 이번 현역으로 수능칠 고3입니당 제가 정보가 별로 없어서 생명과학...
-
전생꾸준글기억난김에 11
전생게시물몇개훑어봤는데 그리운얼굴이너무많네 다탈릅했구나 하하...
-
용산 모 초등 교사분 학부모와 전화로 싸우다 실신해서 병원으로 실려감(작년10월)....
-
국어 ㅈㄴ 못하고 수학은 백분위 89라서(평균보다는 잘하는거임) 문과계열은 지원하면...
-
요즘 플래너 쓰는 맛으로 공부하는뎅 ㅇㅅㅇ
-
나도 뱃지 1
한의대 약대 둘다 받았다++현역때 까먹었던 경희대까지 ㅎㅎ확실히 색은 약대가 이쁘네요
-
우럭우럭 전생의꾸준글
-
100%진심은 아니지만 어느정도 진심포함되어있음
-
어디가시나여
-
시대기숙 vs 강대스투vs대치시대 아직도 못골랐어요.,,,, 0
다 노장학이고 인문입니다… 국어가3이라 국어 못하면 강대가라는 사람들 많던데...
-
맘 아픔 04현역설물천아돌아와
-
아는누나가... 3
서경대에서 반수해서 건대갔는데 이거 성공임?
-
꾸준글
-
다 쓸모가있음
-
국어 높3 수학 1컷 영어 2 사탐 2 사탐 2 이정도는 자신있는데 이정도되면 어디감뇨
-
지금은 개늙엇음
-
폭로글 0
폭삭늙은글
-
중고마켓에서 쿼터 모의고사랑 같이 구매했는데 다 푼거 줌 ㅅㅂ ㅠㅠ 사용감 잇다고...
-
아직도 토욜이네 4
사실 딱히 무언가 기다리는건없음
-
언제나 기분이 좋네요 내 주제에 이분들의 10명 안에 들었구나.. 하는 기분 특히...
-
걍 어색한 그 공기와 말한마디한마디 신경 곤두서고 말걸려면 생각 개많아지고ㅠㅠㅠㅠ 너무 피곤함
-
고2때 인강패스 들어보신 분들 내신 준비할때 (국수영탐) 강의 듣는 비중이 많나요?...
-
떠나지말아다오반가워서그래
-
내 레벨이 너무 두렵다 11
내가 언젠가 30렙이 된다면 옯창이 되었다는 인증같아서 나 자신이 괴물이 되어간다는...
-
다시 복귀합니다
-
저거보고 진짜 기절할뻔함 ㅋㅋㅋㅋ
-
저녁을 탄수화물 폭탄으로 먹고 공부해야하는데 잠이 막 올 때 어떻게 참으세요? 한...
-
가정의 평화를 잃어버림ㅠㅠ
-
반수 성공 13
현역 35434 입니다 솔직히 공부도 내신때문에 공부열심히 안하고 놀았던 거 같아서...
-
저는 똑똑이에요 1
일베가아닙니다
-
아무리 전국에서 온사람들 많을거라지만 광주에서 저 정도면 ㄷㄷ
-
헤헤
-
반갑네
-
수능 공부할 때 현우진 풀이 보고 감탄 했었죠. gx 점대칭 판단해서 곱함수 대칭...
-
언제 또 안하나
-
???: 분명 수능 전까지 다 외우라고 했어 안했어
-
[국어]3월 모의고사까지 한 달 동안 이건 할 것 같습니다. 0
반가워요! 저는 국어를 가르치는 서성수입니다. 벌써 2월도 반이나 지났습니다....
-
진학사 수능 지원 미인증은 다른사람 합불여부 못보지않냐 수능 지원 미인증에 추합여부...
-
일단 전 고2 문과고, 내신 공부+수능 국어 공부 주로 예정입니다. (내신 선택과목...
작년에 수능을 앞두고 고대를 가겠다고 밥약하자고 꼭 약속했었는데.. 아쉽게 원서 넣고 떨어져서 못지켰네요ㅠㅠ
정시 ㄱㄱ
작년에 정시로 고대 원서 쓴거예요
아아 작년이구나 잘못봄 ㅋㅋ
그럼 올해 고대 가실꺼예요?
아뇨 24입시 때
고대 서강대 지원해서 서강대 붙어서 다니고 있습니다
아마 우선 서강대에 계속 있다가 향후 수능을 준비하게 된다면
문과 한의대나 계약학과 쪽을 목표할 것 같네요
이젠 나이가 나이인지라..
저랑 똑같으시네요..
전 고대가려고 반수 중입니다 ㅜ
헉 그래도 고생하셨어요!! 학교생활 즐겁게 하시고 나중에라도 아무때나 꼭 연락주세요 ㅎㅎ 꼭 고대생끼리만 밥약할 수 있는건 아니니까!
안녕하세요! 문법 공부하면서 항상 궁금했던 게..
용언의 활용에서 르 불규칙은 왜 '어간'이 바뀌는 활용으로 볼까요?
흐르다 -> 흘러 처럼 ㄹㄹ이 되면서 어간, 어미 둘 다 바뀐 것 같은데 말이죠
푸르다 -> 푸르러 도 똑같이 러가 됐는데 이건 어미가 변하는 활용으로 보는 것처럼요
이걸 따지려면 중세 때로 올라가야 하는데
원래 ‘-ᄅᆞ다’, ‘-르다’ 류의 용언이 어미 ‘-아/-어’와 결합할 때 ‘ㆍ’, ‘ㅡ’가 탈락해서 ‘-라/-러’로 활용되었지만, 이렇게 활용하게 되면 ‘-ㄹ다’ 류의 용언에 '-아/-어'와 결합할 때와 동음이 됩니다. 이를 피하기 위해 ‘-ᄅᆞ다’, ‘-르다’ 류의 용언이 어미 ‘-아/-어’와 결합하여 활용할 때는 연철 표기하지 않고, 초성에 ㅇ(음가 있는 ㅇ)을 넣어서 분철 표기를 했습니다. 예를 들어서 설명하겠습니다.
1) ‘달다’(-ㄹ다)의 어간 ‘달-’에 어미 ‘-아’가 붙으면 현대 국어에서는 ‘달아’가 되고, 중세 국어에서는 연철 표기로 인해 ‘다라’가 됩니다.
2) ‘다르다’(중세 국어 ‘다ᄅᆞ다’, -ᄅᆞ다 류)의 어간 ‘다르/다ᄅᆞ-’에 어미 ‘-아’가 붙으면 현대 국어에서는 ‘달라’가 됩니다. 중세 국어에서는 원래 ‘다라’가 되어야 했으나, 1)과 동음이기 때문에 초성에 ㅇ을 넣어 분철 표기를 했고, 그 결과 ‘달아’가 되었습니다.
이렇게 ‘ㅇ’을 넣어 구별했던 사례도 있지만, ‘ㄹ’을 넣어 구별하는 사례도 있습니다.
3) ‘모르다’(중세 국어 ‘모ᄅᆞ다’, -ᄅᆞ다 류)의 어간 ‘모르/모ᄅᆞ-’에 어미 ‘-아’가 붙으면 현대 국어, 중세 국어 모두 ‘몰라’로 활용됩니다.
이렇게 중세 국어에서는 ‘동음’을 피하기 위해 ‘ㄹㅇ’(2번 사례), ‘ㄹㄹ’(3번 사례)으로 표기했는데, 현대 국어에서는 이 둘을 통일해서 ‘ㄹㄹ’으로만 표기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해주시면 됩니다!
근데 동음 회피를 위해 ㅇ을 첨가한다는 얘기와 적극적 ㅇ(후두유성마찰음)이 쓰인다는 얘기는 별개 아닌가요? 분철로 동음을 피한다라는 건 ㅇ이 주로 무음가인 걸 주장하시는 분들의 주장으로 알고 있어서요
이 기문(1962)에서는 후행하는 음절 초의 ‘ㅇ’이 자음 [ɦ]이기 때문에 분철된 것으로 본 반면, 정 연찬(1987)에서는 후행하는 ‘ㅇ’을 무음가의 공음소로 보면서 이것이 음절 층렬을 반영하기 위해 분철 표기된 것으로 보았다(박종희, 2008). 여러 논의가 있었던 것 같긴 한데, 이 논문 읽어보니까 이후에는 말씀하신 내용이 맞네요. 제가 이기문 교수님 교재를 주로 봐서... 위 댓글에서는 음가 관련 내용만 제외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선생님 국어사개설은 직접 구매하셨나요. 혹시 거기에 한자가 많을까요... 한자엔 영 젬병이라
한자 진짜 많습니다...... 진짜... 진짜 많습니다...... 국어사 공부할 때 너무 힘들었어요
![](https://s3.orbi.kr/data/emoticons/orcon/004.png)
아... 답변 감사합니다참고로 ㅇ의 음가에 대한 선행연구는 배영환(2011: 164-168), "중세국어 후음 ‘ㅇ’에 대한 몇 가지 문제"에서 잘 정리가 되어 있으니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겁니다.
아래는 김지은(2022), "중세.근대 국어 자음체계 연구의 성과와 전망"의 일부입니다.
오 저 방금 이거 읽었습니다 ㅋㅋㅋ ㅇ 기능/음가 유무 기준으로 연구사 정리해둔 논문 감사합니다!!
와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뭔가 엄청난 전문적인 대화가 오고갔었네요ㄷㄷㄷ
이번에는 꼭 고대 가겠읍니다.
올라프야 심심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