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 개념 상충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573307
어제 적생모 풀다가 선지에 ‘연구자와 연구 대상자간의 신뢰도’ 가 나왔는데 제가 알고있던 개념은 신뢰도는 문현 연구법 제외 모든 자료수집 방법에 해당하는 것 (윤성훈쌤 커리탐)으로 알고 있어서 윤성훈 쌤이랑 최적쌤 qna에 둘다 올려봤는데 역시 윤성훈쌤 연구소 답변은 제가 알고있는 것과 동일했고
최적쌤 연구소 답변은 신뢰감 형성은 질적연구의 대표적인 특징이라고 하네요 이럴땐 어떻게 해야하는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문학황 모심 8
이거 1번 왜 틀린 건가요..? 화자와 꼬여 가는 것 = 줄기, 너와 내가 ~~ <...
-
걍 한번 실타래 놓치면 운지던데
-
흑흑
-
9평이 수능이고, 물리 1을 골랐을 때 생기는 현상(feat.통합변표) 6
9월 모의고사 기준으로 산정된 사회, 과학 통합표준변표입니다. 똑같이 원점수 만점일...
-
보통 수학 많이 푸시는 것 같은데.. 아직 개념중이라 ㅜ 영단어 외우고있습니다..
-
12번 문제 3번이 답인데 3번도 틀리지 않나요?? ”A국에 진출해 있던 B국의...
-
지수법칙 관련 된거 3번 개 좆병신마냥 틀리고 멘탈 개 나가서 진짜 러셀애 더...
-
우울
-
강기원모 6
아직 답지 안나온거죠?
-
난 귀여웡 3
-
미친거 아니냐 .. 할말이 없네 자취하고 싶은 생각도 그냥 없애버리게 만듬…
-
물1화1을 한걸까....
-
화작해야지…
-
올해수능 말고 내년수능 대비해서 공부할려고 하는데 알바하면서 공부할건데요 1. 지금...
-
보정 3임?
-
더프생윤 본사람 18
등급컷예상좀 자연과윤리틀림 ㅅㅂ…
신뢰도의 대표 = 질적연구
신뢰도가 요구됨 = 질 앤 양 아님?
잘 모름 ㅇㅇ
안 나오니 걍 넘기세요
신뢰도는 양/질 상관없이 당연히 중요한거고 ‘정서적 교감’ 이라는 키워드는 질적연구에서 중요시 된다고 배웠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