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법 자작문제 (정답 및 해설자 2천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572901
1. 다음 사례에 대한 법적 판단으로 옳은 것은? [3점]
11세 초등학생인 갑은, 11세인 을과 아파트 입구에서 놀고 있었다. 이를 목격한 74세 경비원 병은, 갑에게 퇴거를 요구하였으나 갑은 이에 응하지 않고 공연히 병을 모욕하였다. 이에 지나가는 42세 행인 정이 갑을 제지하였으나, 그에 분개한 갑은 정을 위험한 물건을 이용하여 상해하였고, 이에 주민들이 경찰에 사건을 신고하였다. 한편, 을은 정에게 폭행당했다며 고소하였고, 갑은 병을 아동학대 혐의로 고소하였다.
1. 갑과 을은 공동불법행위 책임을 진다.
2. 정의 폭행 혐의가 인정되어 재판에 넘겨진다면, 정은 국민참여재판의 신청이 가능한 재판을 받을 수 있다.
3. 갑은, 소년법상 교육 조건부 기소유예 처분을 받을 수 있다.
4. 정과 달리 갑은 형벌의 대상이 될 수 없고, 경찰이 현행 범인이 아닌 정을 체포하고자 한다면, 검사가 신청하고 법관이 발부한 영장을 제시하여야 한다.
5. 병이 퇴거의 요구가 정당하다면, 아동학대에 관하여 병의 책임은 조각된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킬러면 좀 쉬운 킬러쪽인가?
-
언매 0
지금 언매 내신대비 중이라 쫌 딥하게 들어가거든요? 짜피 내신 안 챙기기는 하는데...
-
미쿠아래잡 ㅋ
-
ㅈㄱㄴ
-
수1수2미적 전부다 담주까지는 어싸 유기된거 쳐내고 다담주에 하루에 60문제씩...
-
참을수 없어요
-
나데나데해줘
-
4덮 30번 마지막에 확인 계산 할때 로피탈 쓸줄 모르면 x-3 t로 치환하는게...
-
연습문제 풀고 쌓이는 실력은 일종의 기억임 그러니까 직접풀때 기억에 더 잘남는다는거임 왜일까?
-
잡동사니 재업 2
요즘 애니 안보는거 진짜 티나네
-
ㅇㅇ? 만약 비슷하다면 4규나 드릴같은 엔제들 난이도는 수특 레벨 몇정도 난이도임?...
-
개꿀인줄 알았어요.. 하지만 1/2+1/3을 2/5라 말하는걸 보고 벽을...
-
19틀 시간부족 ㅅㅂ 화1해도 되냐 12 15번 절은거 시발 하 감 왜캐죽노
-
자꾸 압축을 풀기도전에 드라이브에서 열어 기기를 몇개를 써야하는거야
-
삼성전자 배당금 들어왔노 바로 지갑 구매 ㅋㅋ
-
참고로 얘 지금 뉴분감 중임... 미적은 n제 건들지도 않음
-
친구가 게이 커밍아웃을 올해했었는데 나도 약간 생각이 바뀜 잘생기면 남자도...
-
난테토쨩을사랑함 만약애 테토쨩이 남자엿으면 사랑하지않앗을까? 그건아님...
-
수특 푸는데 쉽지 않네... 누가 수특 쉽댔냐 ㅡ.ㅡ
-
강대계열 학원 다니고 있고요 더프 끝나자마자 나온 오답률 순위표입니다. 첫 번째...
-
기만하고싶다 2
구라임 기만을당함보통
-
지금까지 강기분 했는데 6모전까지 김승리 tim 할까요 새기분+실모 이렇게 할까요?...
-
ㄹㅇ 보추는 가능할듯 이성 80 보추 20? 엄
-
시 지어봄 3
애미 시발 좆됐다 자살하러간다 18
-
워더링 하이츠는 40쪽읽다 유기해서 걍 새책임 애니 취향 개틀딱이네ㅋㅋ라고 할시 집 찾아감
-
그기바께 모타냐고
-
지금 중간 4일 남았는데 존나 죽을거같다 17학점 듣고있고 통학 3시간임......
-
과탐 사탐 비교 3
과탐이 우사인볼트 100명이랑 달리기 하는거라 하면 사탐은 100살 먹은 할머니...
-
뷰르릇 뷰르릇 파타핌 13
-
설마...
-
저리 좀 가셈;;
-
레이드 뛰고싶다 11
중간고사 보다 이게 더 중요하다...
-
ㄹㅇ로 ...
-
팔면 사는 사람 있을라나 그냥 버리기에는 돈이 너무 아까운데
-
무협 웹소 어지간한건 다 읽었음 특히 비문학, 고전시가, 고전소설 속독 할수 있음
-
다들 문제지에 적은뒤에 서술형 답안에 옮겨 적나요 아니면 바로 옮겨 적나요?
-
미적4점 3분컷내는 알파녀되고싶당
-
님들은 12
100프로 이성애자라 확신할있음?
-
시써봄 4
오르비 게시글을 착하게 잘쓰고 싶었다 이제는 그런 생각을 버린지 오래인 것 같다....
-
시대인재 북스 프로모터 올해 풀어보신분....?혹시 작년 프로모터랑 어댑터 많이...
-
Ebs 한보라쌤 0
윤사 고트
-
독서 구웃
-
머사야돼요
-
너가 여기 있잔아.
-
수1은 근데 또 다들 열심히 푸네
-
지금 국정원 독서 노베편 하고있는데 기출문제집을 기밀문서를 살까요 그냥 싼 마더텅을 살까요
-
이미 수능에서 50점을 받아봤던 + 내가 재밌게 공부할 수 있는 + 할게 많지 않은...
-
근데 앞서 엔수 어그로끌었던 봊이들이 하나같이 다 욕뒤지게 처먹는 허수라서 좀 그래
국민참여재판은 일반적으로 살인, 상해치사, 강간 등의 중대한 형사 사건에 해당할 때 피고인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정이 폭행 혐의로 재판을 받는다면 국민참여재판 신청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맞는 선택지입니다.
라고 2번이라고 gpt가 그러는데 맞나요
틀렸습니다. 단순폭행에 해당하는 경우, 중한 형사사건이 아니므로 국민참여재판이 가능한 형사사건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보니까 지가 말해놓고도 다르네 ㅋㅋㅋㅋㅋ
GTP는 공학 수학 관련해선 강한데 법 관련해서는 안쓰시는게 좋아요. 완전 개소리를 해서
4번이네유

해설도 가능하실까요1. 책임x
2. 경미한사건
3. 기소유예불가- 14세미만
4. ㅇ
5. 위법성조각
상금 보내드렸습니다 !
뭔가 현실에 있을거 같은 사례네요 재밋는문제에옹
https://orbi.kr/00069572400#c_69572898
오르비에서 기사보고 만들었어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평가원에서 사건의 경중을 명시해준 거 말고 직접 판단하게 하는 선지는 나온 적이 없지 않나요...?
국민 참여 재판 가능 여부 판단은 1심 담당 법원하고 피고인의 신청 이 두개만 물어봤던 거 같은데
소중한 의견 감사합니다.
경한 형사사건과 중한 형사사건의 기준은 교과서에 있습니다. 다만, 어느 죄가 중하고 경한지에 대한 각론은 교육과정에 없습니다. 기출문제를 보면, "항소심이 고등법원" 같은 표현으로 간접적으로 제시하여 물어보는 기조입니다.
다만, 제가 만든 문제는 어디까지나 사설입니다. 아래와 같은 이유로 기출이 점점 진화하고 있는 기조 상, 사설 문제도 보다 진화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2번이 선을 약간 넘었다고 볼 수도 있을 것 같아 4번에 확실한 선지를 낸 것도 맞습니다.)
200707을 예로 들면, 보안처분이 가석방이 있을 때 내려질 수 있다는 점과, 음주운전으로 인한 면허취소는 자격상실 형이 아니라, 행정벌임을 알아야 했던 문제였습니다.
이런 식으로 지엽을 넘어 교과에 없는 내용을 개념문제로 내서 변별하고자 하는 요즘의 기조상. 교과 외/내 에 대한 철저한 구분보다는, 상위권은 구별 없는 학습이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평가원 문제에서도 확인할 수 있고, 제시할 근거 기출문제는 많지만, 이만 줄이겠습니다.
해서 질문자님의 주장은 합당합니다만, 저는 이렇게 다른의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선지를 저렇게 구성했습니다.
아 넵 저도 문제가 이상하다거나 이런 말이 아니고 풀어봤는데 2번 선지 판단에서 사건 경중 판단 근거가 명시적으로 확실치 않은 거 같아서 말해봤어용 덕분에 개념 복습도 하고 좋았네요
4번에서 검사는 체포영장을 '신청'하는 게 아니라 '청구'해야 하는 거 아닌가요...?
제가 알기로는 '신청'을 사법경찰관이, 그에 따른 '청구'를 검사가 하는 걸로 알고 있어서요..!
제 표현이 맞습니다.
헌법 제 12조 3항.
③체포ㆍ구속ㆍ압수 또는 수색을 할 때에는 적법한 절차에 따라 검사의 신청에 의하여 법관이 발부한 영장을 제시하여야 한다. 다만, 현행범인인 경우와 장기 3년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죄를 범하고 도피 또는 증거인멸의 염려가 있을 때에는 사후에 영장을 청구할 수 있다.
사법 경찰관은 검사에게 영장 신청을 해 줄 것을
요청 내지는 건의 할 수 있는겁니다. (요청과 건의라는 말이 엄밀하진 않을 수 있습니다. 다만, 몇 번 출제됐다 할지라도 어쨋거나 개념에서 다루는 내용은 아니고, 그런 뉘양스로 받아들이면 되지, 윤리처럼 단어하나 바꿔서 변별하지는 않는 것이 사실입니다.)
문제에 관하여 소중한 의견 감사합니다.
형사소송법 제200조의2(영장에 의한 체포) ① 피의자가 죄를 범하였다고 의심할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고, 정당한 이유없이 제200조의 규정에 의한 출석요구에 응하지 아니하거나 응하지 아니할 우려가 있는 때에는 검사는 관할 지방법원판사에게 청구하여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피의자를 체포할 수 있고, 사법경찰관은 검사에게 신청하여 검사의 청구로 관할지방법원판사의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피의자를 체포할 수 있다. 다만, 다액 50만원이하의 벌금, 구류 또는 과료에 해당하는 사건에 관하여는 피의자가 일정한 주거가 없는 경우 또는 정당한 이유없이 제200조의 규정에 의한 출석요구에 응하지 아니한 경우에 한한다.
형사소송법에서는 체포영장의 신청/청구 주체에 관해 헌법과 다르게 표현해 놨었군요.. 형사소송법에서 쓰는 표현에만 익숙해져 있어서 사실상 혼용해서 쓰는 표현인 줄 모르고 질문드렸습니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