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과 화학파트 질문ㅜ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479887
아래 문제를 어떻게 풀지 아예 모르겠어요ㅠㅠ 콴다에서는 (가) 용액을 산성으로 가정하고 풀어야 한다고 하더라고요 근데 잘 이해가 안 돼요... (가)가 중성이거나 염기성이어도 (나)에서 NaOH를 추가했을 때 전체 이온이 증가하지 않나요? 농도 없이 부피랑 이온수 만으로 어떻게 각각의 이온수를 계산할 지 모르겠어요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지브리 ㅇㅈ 17
좀 못생기게 나온듯 ㅠㅠ
-
이미지 ㄱㄱ 15
써주셈 아는 분들은 맞이미지
-
그런거임
-
당장 이런 게으른 출제를 선택하기도 너무 좋음 이런 스타일로 너덧개 깔아두면 줄세우기는 너무 잘되니
-
니가 들어가라
-
저는 3가지 꼽자면 1. 군대 빼기 위해 메디컬 목표 2. 남들의 인정으로 자존감...
-
훨 비호감 아닌가? 일본 싫어하는 애들은 거의 못봤는데
-
아
-
남자가 되고 싶다 12
-
지브리 존나게 느리네 18
-
호감도 메타 참전 31
100점 만점
-
아놔
-
고2 상위권 남학생, 생기부 너무 대충하는데 진짜 속터지네요. 내가 대학가냐 니가 대학가지…
-
그때 쌤은 진짜 어른이엇는데 지금생각하니 너무어림
-
생윤은 칸트를 잘 가르치고 있다 - 수험생을 위한 칸트 정리편 4
*이 글은 필자의 뇌피셜이 난무하는 글입니다. 오늘은 교육 과정에서 멀리 뛰기...
-
자러가요 9
굿나잇
-
하...나도 ㅇㅈ함 15
개쫄리네.
1가 + 1가 섞을땐 ½전체이온수 = 양이온수 = 음이온수 = 많은 것 개수입니다
(가)에선 산 염기 중 '많은 것'이 N개, (나)에선 '많은 것'이 1.5N개
고로 HCl 10ml이 N개, NaOH 10ml이 1.5N개일수밖에 없음
: ㄱ,ㄴ
기본적으로 염기물질+산성물질=물분자 생성됩니다. 이때 물분자(H2O)를 생성하고 남은 산성물질 또는 염기성 물질이 이온입니다. 따라서 처음 반응물의 산성비율과 염기성비율이, 반응 후 생성물에서의 이온 수(물분자 만들고 남은 산/염기 이온)를 결정합니다.
그래서 (가)인 처음 반응물이 중성/산/염기성이냐에 따라 물분자 반응 후 어떤 물질이 남는지 달라지기에 전체 이온수가 변화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