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문학 문장이 이해가 안되면 어떡하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471133
특정 지문은 문장이 머리 속에 이미지로 남으면 이해가 되는데, 예를 들어, "신채호의 사상에서 아란 자기 본위에서 자신을 자각하는 주체인 동시에 항상 나와 상대하고 있는 존재인 비아와 마주 선 주체를 의미한다." 같은 문장의 경우 머리 속으로 저 자신과, 그 와 반대되는 저의 어두운 내면이 있는 또다른 나라는 존재가 서로 거울을 마주보듯이 머리속으로 상상하면 추상적이여도 어염풋이 기억이 나는데,
"데카르트는 동일자 식별 불가능성 원리로 이원론을 지지하는 또 다른 논증으로, 육체의 존재는 얼마든지 의심할 수 있지만 정신은 의심할 수 없다는 것을 든다. 의심하기 위해서는 내 정신이 또렷하게 존재해야하기 때문이다."라는 문장에서는 의심이라는 키워드에 의구심이 먼저 생깁니다. 육체랑 정신을 의심한다는 건 뭐지? 누가 의심한다는 거지? 육체는 가시적으로 보이는데 왜 의심할 수 있다는 거지? 오히려 정신을 의심할 수 있는 거 아닌가? 의심란다는 게 이 문장에서 뭘 의미하는 거지? 라는 생각들이 복잡하게 얽혀 이미지로 그려지지도 않고 이해가 깨져버립니다. 어휘력이 부족한 걸까요 아니면 이해가 딸리는걸까요? 비문학 읽다가 안읽히는 지문들은 보통 이런 비슷한 상황을 겪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ㅈㅂ ㅆㅂ 미칠 것 같아 아니 풀었는ㄴㄷ 왜 답지 없냐 왜 답ㅈ 안줘요? 원래...
-
미리 말할게 다들 수능 잘쳐 그리고 나 안아…
-
무선공유기능이라서 소오름..
-
별 3개 짜리는 풀겠는데 5개 짜리는 풀라고 내놓은게 맞는지 진심으로 묻고싶어요
-
선생님이 문제 푸시는 방법을 제가 문제 풀때 따라서하면 되는건가요
-
인증의 단점인듯
-
오늘 투데이 레전드네 14
낼부터 오르비 줄여야지
-
많이 푸니깐 걍 평속 외의 다른 풀이로 뚫어야 하는 이유를 잘 모르겠음
-
언매 97 확통 97 (19번틀) 영어 92 경제 50 사문 42 수학 까아비
-
메가 컷 0
언매 93 94 미적 81
-
난 미확기 다 알고 수험생도 아니라 알빠노긴한데 찝찝하게 내긴 했네
-
18번 틀린건 뭐야 ㅆ.. ㅂ?
-
키 크다는 느낌 들려면 85는 넘어야 할듯
-
[한 달 만에 대학 레벨 올리기] 이것만 하면 영어등급 무조건 오릅니다! 1편 9
안녕하세요~ 일등들의 공부법학교 일공학교 입니다^^ 이제 수능이 한 달 남았는데...
-
레드벨벳 슬기
-
홍대 차은우 7
등장
그냥 정보로 처리하시는게 좋을 거 같은데요
아 데카르트? 육체는 의심할 수 있는데 정신은 의심을 못하구나? ㅇㅋ 이렇게 넘어가는게 최선 같은데..
철학이라 윤사같은 거 하면 배경지식 있어서 당연하게 넘어가지는데 아니면 그냥 정보로 처리하셔야해요
모든걸 이해하기보단 저런 정보는 그냥 그렇구나 하고 그 뒤에 저걸 전제로 어떤 추론 과정이 있거나 그런걸 이해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아요
지금 글쓰신 거 보면 그냥 정의로 처리하고 넘어갈걸 너무 이미지화해서 이해하려고 하시는 거 같은데 절대 나쁜 의도는 아니고 혹시 모든 문장 그렇게 하시면 시간 안부족하신가요..?
그리고 이미지화도 나쁜건 아닌데 그걸 잔상으로 남기고 문제를 잔상으로 푸신다면 세부정보에서 틀릴 수가 있어요
결국 지문으로 돌아가야 문제를 풀 수 있는거라 너무 독서는 무조건 이해다 이럴 필요는 없어보여요
저 문장을 이해하고자 한다면 의심하기 위한 전제가 또렷한 정신이니 그 전제를 의심할 수는 없구나
이정도로 가능할 것 같아요
문장 자체를 받아들여야지, 본인 맘대로 문장을 해석하는게 아니에요..
왜? 에만 매몰되서 그럼
걍 적당히 그렇구나. 하고 받아들이고 넘어갈줄 알아야함
왜 정신은 의심할수없지? 음, 또렷하게 존재해야하는구나.
완벽하게 이해를 못하더라도 뒤에서 계속 설명을 해준다면 그거까지 읽고 이해하면되고
저 말만하고 다른 얘기로 넘어가면 딱히 중요하지않은 문장이구나하고 넘어가면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