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1122 관련된 글들 보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471117
언제 기출 연계다, 뭐랑 아이디어가 비슷하다면서 별별 기출 다 나오는데
정작 제일 비슷한 얘네 둘은 언급된걸 한번도 본적이 없음
위에서부터 200430(나) 181030(나)인데
교육청 기출 푸는 사람이 없는건가?
교사경도 기출인데 거르고 n제부터 박치기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은듯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사탐 과탐 하나씩하는데 사탐은 50나올 자신있는데 과탐얘가...
-
차은우씨와 이동민씨의 관계는 매드클라운과 마미손의 관계인가요? 7
아님 최진우님과 케인님의 관계와 같나요?
-
동기부여+실전연습
-
근데 연대는 무슨과든 10
다 유배 1년 가야함?
-
구라일수도 있다고 생각하는게 편하긴함 당장 저만해도 나이성별 이런거 다 주작인데
-
물2 좀 억울한거 14
작수 안 쉬웠는데 쉽다고 내려치기 당함 솔직히 23빼면 24가.. 내가 코앞에서 1...
-
양승진t모고 풀었는데 해설할때 문제 어떻게 풀어야 했는지, 조건보고 무슨 생각...
-
확통n제 풀었는데 불로내면 정답자 0명이게 할수있는 문제였음
-
궁금한게 있는데 0
목표 대학 특성상 솩 100이 목표라 솩 많이 공부해야하는 사람들은 다른 과목...
-
모솔 정의 8
섹은 원나잇 이런거로 해봤는데 사겨본 적은 없으면 모쏠인가요?(물론 제 얘긴 아닙니다)
-
28 시간 + 능지 이슈로 못품 30 정수가 된다는거 제대로 못구해서 200 나오고...
-
2025학년도 정시 전형 - 한국항공대, 한국교통대, 경찰대, 서울여자간호대 0
안녕하세요 나무아카데미입니다! 어느덧 수능을 한 달 앞 둔 가을이 왔습니다....
-
이차곡선에서부터 다 나가리될 줄은 상상도 못했네
교육청은 기출이라고 보기에는 애매하지 않나 걍 사설아님?
교육청기출도 기출분석 되어있어야함
사설컨보다는 우위인건 맞지만 기출분석의 의미가 있음? 평가원이 내는게 아닌데
이것조차 동의가 안되는사람도 많을듯…
평가원에 안 나왔지만 교육청에 나와서 실전개념화되는 것들도 많음
좋은문제인건 저도 동의하는데 실전개념화되는게 많다는게 님 주장을 뒷받침하는지는 잘 모르겠음 언제나 교육청 출제요소들은 "미출제요소"인거고 그이상의 가치는 없다봄
온갖 사설문제들은 평가원 교육청 기출 안 가리고 연계 및 변형해서 내는데 사전 이론학습이 안 되어있으면 그 문제들을 풀어서 얻어가는 게 적을 수밖에 없죠
예를들면 이런거 180330(가)
넓이의 미소변화율
저거 한줄짜리킬러 ㄹㅇ…
저거 조건이랑 윗문제 Am조건 엮으면 걍 231122임 ㄹㅇ
둘다 엄청 좋은 문제인데
요즘 안 푸는거같기도하고
매우 동의합니다. 정작 새롭다 느끼는 엔제 문제들도 알고보면 교육청 기출 변형한 경우들이 많죠.
231122 글 제가 올렸는데
첫번째 교육청 기출이랑 231122 연관 있다는 것은
이미 많이 알려진 사실이고 많이 풀어봤으며 충분히 인지하고 있었습니다!
다만 대학 수학에서 평균값 정리와 관련된 내용을 학습하다가 230608과 완전히 똑같은 예제가 있어서 거기서 깊게 생각하다보니 “당해 6평에서 미리 평균값 정리 주제를 암시한 건가?” (확신x) 그런 생각도 들어서 올려본 거예요
글쓴 의도는 사람들이 교육청기출을 낯설어한다지 231122랑 그런 기출들이 관련없다는 아니라서 님이 해명할 필요는 없음
근데 님 글 읽어봤는데 솔직히 그 문제는 평균값정리로 푸는 한가지 방법이 있을뿐이지 좀더 염두에 둔 수식풀이는 부등식 양변 정적분일듯
만약 평균값정리가 메인 풀이였으면 문제에 그 발상을 떠올릴 그와 연관된 어떤 단서를 흘렸을거라 봄
그 문제의 메인의도가 부등식 양변 정적분이라는 말씀은 납득하기 어렵지만 교육청 기출이 중요하다는 점은 충분히 공감합니다
원함수 함숫값차 문제니까 도함수 정적분 발상은 개연성이 있죠
그리고 평균값정리가 메인이라고 해도 같은 개념이 쓰였을 뿐 쓰인 방식도 다른데 그걸 연계라고 보기엔 사후적으로 끼워맞춘 감이 없잖아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