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470586
1.
현대국어에서 ㅕ = ㅣ+ㅓ 이고,
중세국어에서 ㅕ = • + ㅓ 인거죠?
2.
재출자가 만들어지는 순서가 어떻게 되나요?
초출자 + •, • + 초출자 모두 있나요?
3.
초출자 ㅗ, ㅜ는 • + ㅡ, ㅡ + • 로 만들어지는데, 이 때
'ㅡ'는 뭐 반모음이라고 따로 부르진 않나요?
그냥 'ㅡ'인가요?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중독인가
-
15325 21243 31411 45543 41234 52444 55252 44151 33352
-
감자를 조려봤습니다
-
관심없음. 0
키워드, 화살표(->), 연결, 그읽그풀, 이분법, 문제->해결 모두가 아는 스킬이 아닌가 싶다.
-
한 달간 올해 1년치 더프 구매해서 풀 예정인데 괜츈음? 2
알바해서 모은 돈으로 더프 1년치 이제 사서 풀려함 문제 퀄 어떰?
-
Ebs본문보는게 낫나요 아니면 간쓸개나 연계변형교재 보는게낫나요 마지막 연계공부
-
정신체리
-
핸드폰은 거의 1인1개니까 개많을건데 컴퓨터도 PC방에 회사에 몰려있음
-
수1 수열 귀납적 추론 빈칸추론으로 쓸만한 소재 구합니다. 0
등식 써주시거나 사진도 첨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1. 신경망에 일정한 주기대로 돌연변이를 가한다 2. 그러면 신경망상에 랜덤한...
-
ㅇㅈ 24
이제 지1하러간다.
-
그 비슷한 내용으로 메인글 간 사람 게시물 찾아주실 분 잇나요? 덕코 소량 드림
-
블랙홀때문에 우주팽창이 이루어진다는 말을 어디서 들어봤음
-
일반적인 최적화알고리즘 :역전파, 진화알고리즘 등은 무엇이 옳은가, 무엇이 답인가...
-
뒷자리 오버워치하네 15
십 스터디카페가 피방이 됐네
-
고2학평 에피 5
보통 전체에서 3-4개틀까진 뜨죠?
-
국어점수보존법칙 0
국어 모의고사 성적이 시험이 어렵든 쉽든 79~83인데, 뭐가 문제일까요?...
우선 발음과 글자의 생김새를 혼동하고 계십니다. 초출자, 재출자 이런 건 훈민정음의 제자해에 나오는 용어인데 "제자해"는 제자원리를 설명하는 파트입니다. 세종이 ㅕ라는 글자를 만들 때 ㅓ에 ㆍ를 합친 것은 맞습니다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문자의 생김새의 영역이지, 발음/음운론적 영역이 아닙니다. 현대국어나 중세국어나 ㅕ는 j계 이중모음으로 발음은 j(반모음 ㅣ) + ㅓ입니다. 발음이 아니라 제자원리를 얘기할때ㅣ, ㅡ, ㆍ는 기본자라고 합니다. 이 기본자들을 합쳐 만들어진 모양의 글자가 초출자입니다.
아하 초출자 재출자 이체자 개념은 제자원리에 대한 것이지 발음에 대한 것이 아니군요.
그럼 중세국어에서 발음에 대한 부분은,
ㅑ[j+ㅏ], ㅕ[j+ㅓ], ㅛ[j+ㅗ], ㅠ[j+ㅜ],
ㅘ[w+ㅏ], ㅝ[w+ㅓ], ㅢ[ㅡ+j]
ㅙ[ㅗ+ㅐ], ㅞ[ㅜ+ㅔ]
은 현대 국어와 동일하고
•ㅣ[•+j], ㅚ[ㅗ+j], ㅟ[ㅜ+j], ㅐ[ㅏ+j], ㅔ[ㅓ+j],
ㅛㅣ[ㅛ+j], ㅠㅣ[ㅠ+j], ㅒ[ㅑ+j], ㅖ[ㅕ+j]
은 현대 국어와 다르다
로 알고 있으면 될까요?
+중세국어의 모음 종류를 다 외우고 있을 필요는 없겠죠? 그냥 주격조사, 서술격 조사 등등 대비용으로 발음정도만 알아두면 될까요?
발음 부분에서 ㅐ, ㅔ가 이중모음이라 ㅙ, ㅞ는 삼중모음이었다는 점만 아시면 됩니다.
중세국어의 모음 종류를 굳이 아실 필요는 없는데 그냥 생긴 대로 발음됐다고만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ㅐ는 ㅏㅣ, ㅔ는 ㅓㅣ 이런 식이었으니까요
답변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